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05:31:28

신장림역

신장림역
파일:Busan1.svg
역명 표기
1호선 신장림
Sinjangnim
新長林 / 新长林 / [ruby(新長林, ruby=シンジャンニム)]
주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지하310 ( 장림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장림관리역 소속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부산교통공사
개업일
1호선 2017년 4월 20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심도: 25.31m)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요금7. 연계 교통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098번,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지하310 ( 장림동) 소재.

장림동의 새로운 중심이라는 의미로 역명이 정해졌으며 장림역과 함께 장림동에 지어지는 두 역 중 하나다.

공사 당시엔 이 역이 장림역이었고 현재 장림역의 공사역명은 봉화산역이었다. 이 곳도 사하역과 동일하게 선정할 만한 역 이름이 없어 정해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2. 역 정보

파일:신장림역.jpg
대합실
고려개발이 턴키입찰을 받아 이 역을 건설했으며, 2009년 11월 4일 착공, 2017년 4월 18일 기준으로 공정률은 100%로, 공사가 완료되었다.[1]

3. 역 주변 정보

연장 구간인 동매역~ 다대포해수욕장역중 유일하게 역 주변으로 유동인구가 매우 적은 곳이다. 인근으로는 많은 소규모 공장과 냉동창고등이 있으며 아파트 단지는 역 바로 앞에있는 장림현대아파트와 사하리버팰리스가 있고, 조금 더 가면 극동정림아파트가 있다. 그 외에 조금 떨어진 곳에 있지만 협성르네상스와 강남아파트, 국제마마아파트가 있으며 하나병원, 장림한서병원, 경희병원, 조경태 국회의원 지역사무소[2], 부산합동양조( 생탁) 장림양조장100% 천연수돗물 등이 있다.[3]

4. 일평균 이용객

신장림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06a00><bgcolor=#f06a00> 연도 || 파일:Busan1.svg ||<bgcolor=#f06a00> 비고 ||
2017년 5,559명 [4]
2018년 5,921명
2019년 6,501명
2020년 5,153명
2021년 5,360명
2022년 5,839명
2023년 6,151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2020년 기준 5,153명으로 1호선 전체에서 세 번째로 이용객이 적다.[5] 양 옆으로 산이 있어 역세권 범위가 좁을 뿐만 아니라 그나마 있는 역세권도 산업단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수요가 매우 낮다.

아파트단지 역시 도로변에 위치한 것이 아닌 봉화산 자락에 올라가 있어서 마을버스인 사하3번 사하3-2번에 의존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5. 승강장

파일:신장림역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파일:신장림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낫개
장림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낫개· 다대포항·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부산역· 서면· 동래· 노포 방면
다대포 구간의 3개의 곡선 승강장 중 하나이다. 낫개역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승강장이다.

6. 요금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 다대포해수욕장 신장림 서대신

7. 연계 교통

8. 기타

2021년 방영한 드라마 검은태양에서 서울역으로 등장했다.

9. 둘러보기

파일:Busan1.sv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역사내 준공표지판 기준으로 2017년 3월 17일에 완공됐다고 한다. [2] 승강기가 없는 구식 건물이라, 4층까지 걸어 올라가야 한다. [3] 신장림역에서 다대로를 따라 다대포역 방면으로 올라가면 공장들이 많이 나오는데 그 중에 부산합동양조 제조공장이 있다. [4] 2017년 자료는 개통일인 4월 2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5] 이용객이 가장 적은 역은 서대신역이다. [심야] 심야포함 [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