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02:37:21

스마트 그리드

1. 개요2. 특징 및 배경3. 장점4. 단점


[clearfix]

1. 개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란 전통적인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 ICT)을 융합하여 전력 생산, 전달, 소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이다. 스마트 그리드는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상호작용을 최적화 한다.

2. 특징 및 배경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전통적인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여 전력 생산, 전달, 소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이다. 스마트 그리드는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상호작용을 최적화 한다.

특히 2000년대 이후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서 태양광, 풍력발전 등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데, 이런 대체에너지는 기상에 따라서 발전량이 출렁이기 마련이다.[1] 이때문에 전력의 공급과 수요를 맞추기 위해서 스마트 그리드가 필수적으로 되고 있다.

3. 장점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회사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는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로 인해 전기 소비자는 전기 요금이 싼 시간대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전기를 쓸 수 있고, 전력회사에서는 전력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탄력적으로 전력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쉽게 말해 전력 사용량에 맞추어서 전기를 생산, 공급하여 낭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현재 에너지 자원의 90%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원료와 예산절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고 한다.

4. 단점

당연하겠지만 분산전원과, ESS, WAMAC, 스마트배전시스템 등 각종 기술들과 많은 양의 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술 수준이 그닥 높지 않거나 필요한 부속들을 국내에서 생산할 수 없다면 가성비가 낮아진다. 현재 제주도 일부 지역에 실증 단지가 구축되어 있다.


[1] 재생에너지 회의론자들이 집요하게 공격하는게 바로 이 부분이다. 태양광과 풍력 발전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수요와 공급을 맞출 수가 없기 때문에 무조건 블랙아웃이 벌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 발전을 웃도는 수준으로 보급된 유럽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나지는 않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