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22:05:20

북 크림 운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5bbb 50%, #ffd500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bbb><colbgcolor=#ffd500> 상징 국호 · 국가( 소련 시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의회 · 내무부
선거 대통령 선거 · 최고 라다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우크라이나 여권 · 대외관계 틀
국방 우크라이나군() · 육군 · 해군 · 해군 보병대 · 공군 · 공수군 · 특수작전군 · 국토방위군 · 국방부( 정보국)
역사 역사 전반 · 키예프 루스 · 갈리치아-볼히니아 · 리투아니아 대공국 · 코사크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러시아 제국 ·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 소련( 우크라이나 SSR · 우크라이나 대기근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1991년 12월 1일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 · 오렌지 혁명 · 유로마이단 혁명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 돈바스 전쟁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경제 경제 전반 ·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 로셴 · GSC Game World · 암스트리트
지리 행정구역 · 갈리치아 · 돈바스 · 부자크 · 붉은 숲 · 아조프해 · 초르노젬 · 카르파티아 산맥 · 크림반도 · 북 크림 운하 · 푸스타 · 흑해 · 남부크 강 ·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드니프로강 · 부크 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프루트 강
사회 우체국· 대학 목록( 키이우 공과대학교 · 키이우 대학교 · 하르키우 대학교) · 언론 목록( 우크린포름 · 유로마이단 프레스 · 키이우 인디펜던트) · 우크라이나 마피아
언어 언어 전반 · 우크라이나어 · 키릴 문자 · 루신어 · 우룸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가가우즈어
교통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 키이우 지하철 · 하르키우 지하철 · 드니프로 지하철 ·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 안토노프 항공 · 보리스필 국제공항 · 줄리아니 국제공항 · 호스토멜 공항 · 헤르손 국제공항 · 르비우 국제공항 · 도네츠크 국제공항 · 루한스크 국제공항
문화 공휴일 · 요리( 보르시 · 샤슐릭 · 치킨 키이우 · 크바스) · 축구 국가대표팀( 여자) · 농구 국가대표팀( 여자) · 풋살 국가대표팀 · 프리미어 리그 · 퍼스트 리그 · 우크라이나컵 · 우크라이나 정교회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 반두라 · 오, 난 알아요, 내게 죄가 있다는 것을 · 우리는 위대한 순간에 태어났다 · 종들의 캐럴 · 타라스 셰우첸코 · 1+1 · 국민의 일꾼 · Natus Vincere · 코사크 댄스
민족 우크라이나인 · 루신인 · 헝가리계 · 폴란드계 · 러시아계 · 불가리아계 · 한국계 · 루마니아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튀르키예계 · 이탈리아계 · 리투아니아계 · 독일계
디아스포라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 우크라이나계 폴란드인 · 우크라이나계 파라과이인 · 우크라이나계 영국인 · 우크라이나계 독일인 · 우크라이나계 프랑스인
우크라이나 소련의 적통설 }}}}}}}}}

North Crimean Canal
Північнокримський канал
파일:북크림운하.jpg

1. 개요2. 운하를 둘러싼 분쟁3.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

[clearfix]

1. 개요

크림 반도에 물을 공급하는 운하이다. 드니프로 강의 물을 끌어다 크림 반도에 공급하는, 전체 길이 402.6km의 운하(이중에 크림반도 부분은 294km)다. 유럽에서 가장 긴 인공수로로, 크림 반도에 필요한 의 85%정도를 공급한다. 공급 수량의 대부분은 농업, 산업용수로 쓰이고 식수로는 대략 20% 정도가 소비된다. 북 크림 운하를 통해 우크라이나 본토에서 공급되는 물이 크림반도 생존에 필수적이다보니 니키타 흐루쇼프 시기 크림반도는 러시아인 비중이 상당히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이관되었다.[1]

1950년에 운하의 건설 계획이 확정되었고, 1957년 건설을 시작했다. 그 사이인 1954년, 크림반도는 러시아의 행정 구역에서,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으로 소속이 변경된다.[2] 이후 1단계 공사는 1963년에 완료되었고 2단계 공사는 1986년에 완공되었다.

2. 운하를 둘러싼 분쟁

소련 붕괴 우크라이나가 독립한 이후 크림반도는 흐루쇼프 시기 영토 조정을 그대로 따라 우크라이나 영토가 되었다.[3] 이후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으로 인해 우크라이나가 운하를 차단하고 크림반도로 물 공급을 중지시켰다. 이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 연방군이 운하가 이어진 헤르손주 지역 상당수를 장악하며 물 공급이 재개되었다.

그러나 동년 11월 11일 러시아가 헤르손시에서 전면적으로 철수하면서, 운하를 열고 닫는 수도꼭지에 해당하는 노바야 카홉카가 최전선이 되었다. 상승세를 타고 있는 우크라이나군 드니프로강을 건너 이곳을 점령하면 운하를 통한 크림반도 물 공급은 다시 중단될 것으로 보이지만, 강 건너편에 방어군이 존재하는 큰 강을 도하해 공격하는 것은 6.25 전쟁 낙동강 전선이 그랬듯 상당히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양측 모두에게 노바야 카홉카가 중요한 격전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우크라이나군의 진격이 돈좌되면서 크림 반도에 대한 물 공급은 전쟁 3년차까지 안정적으로 되고 있다.

3.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

북 크림 운하의 물은 노바 카호우카 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 호수에서 끌어다 쓰는데,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 때문에 드니프로강의 수위가 낮아지는 바람에 물의 유입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1] 다만 여기에는 흐루쇼프의 정치적 계산도 있었다. 당시 흐루쇼프는 스탈린 사후 서기장 자리를 두고 말렌코프, 베리야, 몰로토브 등과 권력투쟁을 벌이고 있었는데, 이 때 우크라이나의 지역 공산당 간부들의 지지를 받기 위해서 크림 반도를 우크라이나로 이관시켜 버렸다. [2] 이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해체 이후에 독립 국가가 된, 우크라이나 러시아 사이의 기나긴 갈등의 씨앗이 된다. [3] 독립 당시 크림반도가 러시아인 다수 지역에 가깝지만 러시아령으로 환원할 시 우크라이나의 해상 진출권이 큰 폭으로 제한받다 보니 영토 귀속에 논란이 있었으나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인정받되 러시아 흑해함대가 해외 주둔 형식으로 세바스토폴에 그대로 남는 것으로 타협을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