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00:16:48

부산 버스 41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39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5
86 87 88 88-1 90 96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 버스 41H.png
파일:부산 버스 41EVH.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4.2.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4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41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민락동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5가(자갈치역.비프광장)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5:52
막차 22:45 막차 23:37
평일배차 출퇴근 5분 / 평시 8분 주말배차 토요일 9분 / 공휴일 10분
운수사명 용화여객 인가대수 21대[주말]
노선 민락동차고지 - _(→(구) MBC방송국[2] →) - 민락교_ - 진로비치2단지 - 민락수변공원 - 센텀비치푸르지오 - _민락교_ - (구)MBC방송국 - 광안리해수욕장 - 수영구청 - KBS부산 - 대남교차로. 남천역 - 경성대학교 - 남구청. 못골역 - 문현교차로 - (← 눌원빌딩 ←) - 부산진성공원 - (→ 부산진시장.남문시장 →) - 부산진역 - 부산역 - 중앙역 - 부산데파트 → 남포역.옛시청교차로 → 자갈치역.비프광장 → 충무동해안시장 → 자갈치시장 → 부산데파트 → 이후 역순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2.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현재 용화여객의 대표적인 노선으로 1960년대에 신설된 노선이다. 민락동 - 광안리 - 대연동 - 부산진역 - 부산역 - 중앙동 - 남포동 - 충무동 구간으로 운행을 하였다. 초창기에는 민락로6번길~광안로61번길을 따라 운행하였으나 1980년대 중반 광남로가 신설이 되어 동방오거리를 양방향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하였다.
  • 2008년 7월 2일부터 2010년 4월 7일까지 학성여객 차량 2대가 이 노선을 공동배차했다. 계열사 관계이므로 운행종료 후에도 민락동에서 사직동으로 가지 않았으며 민락동에 주박했다.
  • 2010년 4월 8일 83-1번의 사직동 연장 및 증차 문제로 학성여객이 이 노선에서 철수하여 83-1번을 공동배차하게 되었다.
  • 2017년 11월 4일 민락동행 한정 차고지로 들어가기 전에 민락수변공원을 돌고 나오도록 변경되었다.
  • 2019년 7월 13일 민락동행만 경유하던 민락수변공원을 양방향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4. 특징

  • 수요는 크게 남구를 중심으로 수영구, 중구 동구에서 발생한다. 남구에서 중구 및 동구로 넘어갈 때 도시철도를 타면 서면역으로 돌아서 환승까지 해야하니 환승없이 해당 지역을 바로 이어주는 이 노선으로 몰리게 된다. 특히나 노선 자체가 준급행 수준에다가 수요가 많은 곳만 골라서 가기 때문에 멀리 나가는 장거리 수요가 주를 이룬다.[4] 그렇기 때문에 남포동만 지나도 입석이 발생하며, 부산역을 지나면 승차거부가 발생할 정도로 수요가 넘친다.
  • 노선의 구성 자체가 준급행 수준이다. 일단 다른 노선에 비해 굴곡이 없고[5], 다른 노선과 달리 경성대 방향으로 운행할 때 진시장을 경유하지 않고 자성로를 통해 바로 문현교차로로 빠진다.[6] 당연히 자유시장을 돌고오는 다른 노선과의 경쟁력에서 우위를 자랑하는 덕분에 이 노선은 헬게이트가 열린다.
  • 광안리해수욕장으로 가는 관광 수요도 많이 발생하는 노선이다. 광안리해수욕장 바로 앞을 이어주는 광남로를 경유하는 두 노선 중 하나로[7], 부산역에서 가장 빠르게 광안리를 이어주는 노선이기 때문에 외지인들도 많이 이용한다.
  • 경성대부경대역 정류장[8]의 경우 경성대부경대역 3번 출구와 인접한 정류장에 정차하는데[9] 덕분에 한참을 걸어가지 않고 근처에 위치한 횡단보도만 건너면 바로 학교로 진입할 수 있어 원도심 거주 경성대 통학생들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10]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4243.57
2015년 13591.86 ▽ 651.71
2016년 13550.86 ▽ 41.00
2017년 14887.14 △ 1336.28
2018년 13130.00 ▽ 1757.14
2019년 13235.28 △ 105.28

4.2.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41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자갈치로
▲ 충무동 해안시장
구덕로
중앙역2번출구 ▼ ▲ 남포역
중앙대로
자성대 ▼ ▲ 봉생병원
자성로
자성로
범일로
▲ 부산진시장
자성공원로
▲ 자성대
자성로
문현교차로 ▼
수영로
KBS방송국 ▼ ▲ 대남교차로(남천역)
광남로
센텀비치푸르지오 ▼ ▲ 민락교
광안해변로
▲ 진로아파트2단지옆
민락본동로
민락교 ▼
광남로
민락동차고지 ▼ ▲ MBC방송국
민락본동로19번길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대연캠퍼스
교문 앞 10 20 22 24
27 39 131 155
남구2 남구10
경성대부경대역 1001 1003
40 41 42 51
83 83-1 108 남구1
LG메트로시티, 남부면허시험장 1006 1011
용당캠퍼스
교내 진입 남구10
교문 앞 10 68 134 138
138-1 155 583
동명대학교후문 1006 1011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역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일반
2회차
5-1후문
88-1회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6%"
171회차
}}}}}}}}} ||


[주말] 토요일 19대 / 공휴일 15대 운행 [2] 수변공원 구간 진입하기 전에 민락동행과 충무동행이 같이 정차한다. [3] 본래 주력/간판 노선이었으나, 16번 인수 이후, 16번이 주력/간판 노선의 자리를 차지하였다. 사실 2호선 개통 전만 해도 용화여객의 주력/간판 노선은 83번이었다. 그러나 2호선 개통으로 수요에 큰 타격을 받아 대량 감차되어 간판 노선이 41번으로 바뀌었다. [4] 이와 비슷한 노선으로 27번, 81번, 99번, 110-1번, 338번 등이 있다. 게다가 27번은 이 노선과 경성대학교까지 95% 겹치기 때문에 27번 역시 부산데파트 정류장부터 자리가 찬다. [5] 현재는 BRT가 개통해서 의미가 없지만, BRT가 없던 시절에 다른 노선들이 고관로를 경유할 때 이 노선은 양방향 중앙대로로 다녔었다. 이 외에도 광남로- 수영로- 자성로- 중앙대로 순으로 광남로를 빠져나온 이후에는 간선도로로만 다닌다. [6] 이 노선 외에는 1001번 1003번이 자성로로 직행한다. [7] 다른 하나는 42번. 그러나 42번은 배차간격이 길기 때문에 41번에 많이 몰리게 된다. [8] 민락동 방향의 경우, 당시 명칭이 경성대학교였다. [9] 민락동이 기종점인 이 노선과 83번, 83-1번, 108번, 남구1번만 정차하며 다른 노선들은 1번 출구로부터 한참 뒤쪽에 위치한 경성대부경대역 정류장에 정차한다. [10] 대연동제일은행 정류장과 경성대학교 정류장의 경우 용소삼거리와 매우 멀리 떨어져 있어 한참을 걸어가야 한다. 그렇다고 경성대부경대역 정류장까지 가자니 신호대기 시간과 거리가 별반 차이가 없다. 하지만 경성대 밥골쪽에 위치한 상경대학이나 기숙사는 40, 42, 51, 1001, 1003번이 정차하는 경성대학교 정류장이 더 가깝다. [11] 그건 그렇지만, 수도권에서는 후면 가니쉬 부분의 라인을 넣지 않은 채로 그대로 출고하고 있다. 그것 말고도 남부여객의 508번 남부여객의 71번에 있는 일렉시티 후기형 차량 2대(1202호,1222호)도 비슷한 사례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