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2:02:17

부산 버스 1008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f5822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틀:강서구 다람쥐버스|
강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2000[C][D]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aa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틀:강서구 다람쥐버스|
강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5 30 51 58-2 106
141[a]
182
183[a]
508 1001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 ||
파일:부산1008구도색.png
파일:부산1008삼각엘강.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14년째 이어지는 민원4.2. 시간표4.3. 기타 사건사고4.4. 연간 일평균 승차량4.5.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8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008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원자력의학원) 종점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동래역)
종점
첫차 05:20 기점
첫차 06:00
막차 22:00 막차 23:20
평일/토요일배차 출퇴근 9~10분 / 평시 12~16분 공휴일 배차 13~14분
운수사명 삼신교통 인가대수 16대[1]
노선 원자력의학원 - 장안제일고등학교 - 동해선 좌천역- 부산프리미엄아울렛 - 기장구조대 - 강변마을 - 서희스타힐스 - 정관읍행정복지센터· 기장소방서 - 평전마을 - 동일스위트3차 - 모전초등학교 - 솔마루공원 - 한진해모로 -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 곰내터널 - 철마면행정복지센터 - 개좌터널 - 정관산업로 - 번영로[단독] - 구서IC[단독] - 구서역.금정경찰서[단독] - 장전역 - 부산대학교 -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 온천장 →/← 온천장역 ←) - 명륜역 - 동래역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008번
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원자력의학원) 종점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동래역)
종점
첫차 23:00 기점
첫차 00:20
막차 23:00 막차 00:20
배차간격 1일 1회
운수사명 삼신교통 인가대수 1대
노선 주간 노선과 동일
중간 출발 정류장
동래역 방향 정관읍사무소·기장소방서05:05, 05:22[5]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급행/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2.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0년 5월 14일 개통했으며 개통 당시부터 삼신교통에서 단독운영했다. 인가대수는 최초 5대였는데 후술된 사유로 개통이 한 달 쯤 앞당겨져 신차 출고 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우선 출고된 3대로만 운행하다가 2주 뒤 나머지 2대까지 출고 완료되어 정상적으로 5대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37번에서 2대, 50번에서 2대, 본사 예비차에서 1대를 빼와서 형간전환했다.
  • 2010년 11월 철마면사무소를 경유하게 되었다.
  • 2011년 6월 10에 오전노선과 오후노선으로 분리하여 오전노선은 부산대학교까지만 운행하게 되었으며, 추가로 1대 증차되었다. 부산시에서 1008번 배차간격 단축을 위해 궁여지책으로 오전노선 분리 변경 안을 내놓은 것이다.[6]
  • 2012년 7월 9일 삼신교통 1007번와 동시에 이 노선에 2대 증차되어 인가대수는 8대가 되었다.
  • 2012년 11월 17일 오전노선 역시 동래역까지 운행하는 것으로 환원되면서 평시에 모두 동래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 2013년 5월 25일 장안읍사무소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2013년 12월 7일 50번, 301번에서 각각 1대씩 차량을 가져와 2대를 증차하여 인가대수는 10대가 되고 배차간격이 16~17분 정도까지 단축되었다.
  • 2014년 2월 22일 심야버스도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출발시간은 좌천 기준으로 22:35, 23:10이다. #
  • 2016년 3월 12일 301번의 차량 2대를 빼와 증차투입하면서 인가대수가 12대로 되었다. 배차간격은 13~15분으로 단축되었다.
  • 2016년 11월 29일 50번 인가대수를 1대 감차하고 이 노선에 증차하여 13대가 되었다.
  • 2017년 5월 13일 서희스타힐스 아파트와 가화만사성 아파트 주민들의 불편 해소를 위해 달산리를 미경유하고 방곡리를 경유하게 변경되었다. 달산리에는 대체 노선으로 1010번이 투입되었다.
  • 2019년 7월 20일 이지더원아파트 주민들의 불편 해소를 위해 정관2로 구간을 미경유하고 모전초등학교를 경유하게 변경되었다. 그리고 1002번에서 차량 2대가 증차분으로 넘어와 인가대수는 15대가 되었다.
  • 2020년 2월 1일 주 52시간 근무 시행으로 인한 근로여건 개선으로 인해 심야노선 운행횟수가 기존 2회에서 1회로 감축되었다.
  • 2020년 6월 20일 입석이 금지된 자동차전용도로인 번영로를 미경유하고 입석이 가능한 일반도로인 윤산터널과 금정구청을 경유하여 금정경찰서로 가도록 노선이 변경되었다. 다만 롯데마트 정류소(금정구청 방향)는 1002번과 다르게 무정차 통과했다. 부산시에서는 번영로 경유 시절 운행거리 72.1km, 소요시간 173분이었던 운행계통을 윤산터널 경유로 변경하면서 운행거리는 2km 감소된 70.1km, 소요시간은 약 8분 단축된 165분으로 설정했다.[7]
  • 하지만 막상 운행을 해보니 윤산터널 부곡동 출입구지점의 병목현상 정체로 인해 소요시간이 오히려 약 180~200분 이상으로 늘어났고 배차간격이 배로 늘어나는 바람에[8] 승무원이 승객들에게 지속적으로 격렬한 항의를 받는 고충을 겪어왔으며, 정관과 동래를 오가는 고정 승객들의 항의가 폭주함에 따라[9] 결국 2020년 7월 25일 원래 노선인 번영로 경유로 환원되었다.
  •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광역전철의 태화강역 연장으로 인해 좌천역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 2024년 3월 1일부로 1002번에서 가져와서 1대 증차되어 운행하고 있다.
  • 2024년 4월 1일부로 시간표가 탄력 배차제로 인하여 출근 시간대 일부가 9~10분으로 단축되었다.

4. 특징

  •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된다. 또한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적용되는 노선 중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노선이다. 심지어 출근시간대에는 배차간격이 10분 이내로 줄어드는데도 불구하고 환승대기시간이 60분으로 매우 넉넉하게 설정되어 있다.
  • 평소에는 원자력의학원 근처에 있는 1008번 전용 좌천주차장에서 휴식하며, 운행 종료 후 모든 차량이 웅상에 위치한 웅상영업소( 웅상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이 때문에 차량 정비 등을 이유로 주간 시간대에도 1008번이 웅상 지역에 자주 나타난다. 또, 새벽 5~6시쯤 좌광천을 모전리 통과후 병산리 쪽으로 이동하다 보면 두명터널에서 방곡터널 방향으로, 즉. 좌천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볼 수 있다.[11]
  • 위에 나온 차고지 문제 때문에 승무 교대를 원자력의학원에서 하지 않고 정관읍사무소에서 한다. 승무원들도 당연히 웅상에서 출퇴근을 한다. 오후조 승무원들 또한 차고지로 출근한 후, 정관에 거주중인 오전조 승무원의 자가용이나 회사 소유 스타렉스 등을 이용해 정관읍사무소로 간 후 거기서 승무 교대를 실시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302번[12]과 공차회송을 이용해 원자력의학원이나 회차지까지 가서 승무 교대를 하는 경우도 있다.
  • 출퇴근시간에는 헬게이트다. 출근시간의 경우 휴먼시아1차까지 승객을 태우면 앞문 뒷문까지 승객이 꽉 차버리는 만차 현상이 생긴다. 그래서 동일스위트1차 정거장부터는 승차거부를 당할 수도 있다. 퇴근시간에는 동래역 버스정류소에 승객이 대략 50~60명 정도가 줄을 서서 대기한다. 그래서 출발부터 만차가 되어버린다. 예전에 비하면 배차간격이 많이 좋아졌지만 아직도 증차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13]
  • 여담으로 영어 표기가 잘못 되어 있었는데 부산대학교의 영어 표기는 Busan University가 아닌 Pusan National University,[14] 동래역의 영어 표기는 Dongrae Station이 아닌 Dongnae Station이 되어야 한다. 신도색 적용 차량의 경우에는 수정된 것으로 확인된다.
  • 덕산마을과 정관읍사무소 일대에서 이 노선을 놓쳤다면 정관농협기업지점 정류장까지 걸어가자. 용수리와 모전리를 경유하여 돌아오기 때문에 해당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기다리면 아까 놓쳤던 1008번을 탈 수 있다. 다만 좌석이 다 차 있을 가능성이 높다.
  • 터널 통과 수 3위에 랭크된 노선이다.[15] 한때 윤산터널도 경유했으나 극심한 정체로 오히려 불편만 커짐에 따라 1개월 만에 미경유하게 되었다.
  • 동해선 좌천역 정류장의 경우 양방향 동일한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방향 혼동 방지를 위해 보조 행선판을 확인하여야 한다.
    동래역 방향 좌천원자력의학원 방향

    동래역행 원자력의학원행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행 막차와 1008번과의 환승 연계는 불가능하다. 노포행 막차가 서면역에 익일 00:00( 자정)에 도착하는 반면 서면역과 연산역에서 환승대기를 위해 장기 정차하기 때문에 동래역에 도착하기 직전에 1008번 심야버스가 출발해버리기 때문이다.[16]
  • 2023년 11월 11일부로 1010번이 일반버스 106번으로 형간전환됨에 따라 정관 경유 급행버스는 이 노선만 남게 되었다. 현재 단독으로 운행중이다.

4.1. 14년째 이어지는 민원

  • 1008번은 2010년 개통된 이후부터 14년이 지난 2024년 현재도 노선 및 배차간격과 관련하여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어 결국엔 탄력 배차제를 실시 하고 있다.
  • 1008번은 신설 요구가 많았던 노선인 만큼 신설되기 무섭게 가축수송을 하였는데 이용객이 폭발적인 만큼 제대로 탈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기기 시작했고 1008번이 자리를 잡고 나서 배차간격에도 불만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정관신도시 주민들의 증차 요구가 끊이지 않았다. 실제로 부산에서는 심지어 도저히 증차가 엄두가 나지 않아 세진여객의 공동배차 및 1008번 노선을 정관 가동마을에 있는 세진여객 정관영업소 노선단축까지 검토해봤다고 한다. 하지만 좌천리 지역 주민과 원자력의학원의 엄청난 반발로 인해 결국 없던 일이 되었다.
  • 금정구를 지나 동래역까지 운행되다보니 철마면 주민들이 기장군청에 배차간격이 긴 73번을 대체할 노선으로 1007번처럼[17] 철마면으로의 경유를 요구했고 기장군청에서도 이 요구를 부산시에 전달하여 2010년 11월부터 철마면사무소를 경유하게 되었다.
  • 2011년 6월 10에 오전 노선과 오후 노선으로 분리하여 오전 노선은 부산대학교까지만 운행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 동래역에서 환승하던 수요들의 반발이 계속해서 이어졌으며 결국 1년 5개월이 지난 2012년 11월 17일에 오전 노선을 폐지하고 상시 동래역 회차로 다시 변경하였다.
  • 2014년 이후 시행된 자동차전용도로 입석금지로 인해 2014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번영로, 부산대, 동래역(종점) 구간이 폐지될 뻔 했다. 당시 37번과 거의 동일하게 월평교차로, 창기, 여락고가차도, 부산종합버스터미널(종점)로 노선을 바꿀 계획이었으나 이 사실을 알게 된 정관 주민을 포함한 1008번 승객들의 엄청난 반대로 무산되었다. 애초부터 이 노선의 개통 취지 중 하나가 좌천, 정관 ~ 시내[18] 구간 이동 승객들의 편의 제공이기 때문이다. 하마터면 일반노선 37번보다 짧은 최악의 급행노선이 나올 뻔 했다.
  • 2020년 6월 20일에 윤산터널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어 상술한 문제가 해결될 뻔 했으나, 동래 방향의 경우 윤산터널을 빠져나와 롯데마트 교차로로 나가려는 차량들로 인해 신호 대기를 많이 하면서 생각보다 밀릴 때가 종종 많은 관계로[19] 기존의 구서IC 경유 시절과 소요시간 면에서 별반 차이 나지 않으며 오히려 출퇴근 시간대에는 윤산터널 경유로 인해 구서IC 경유 시절의 소요시간보다 두 배로 더 늘어나버렸다. 정관 방향의 경우에도 롯데마트 교차로에서 윤산터널로 가려는 좌회전 신호를 기다리는 차량들이 많아 신호 대기를 할 때가 잦아[20] 소요시간이 늘어났다. 이는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지는 현상으로 이어져 승객들이 지속적으로 상당한 불편을 겪고 말았다. 결국 2020년 7월 25일 개편으로 번영로 경유로 환원되었다.

4.2. 시간표

  • 급행버스: 2024년 4월 1일부로 시행되었다. 급행버스 시간표
  • 심야버스: 1일 1회로 상단에 적혀있는 시간에만 운행한다. 2020년 2월 1일부로 시행되었다.

4.3. 기타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16년 11월 2일, 오전 11시 5분쯤 달산초등학교 인근에서 1008번 버스와 화물차가 충돌하였다. 이 사고로 버스기사는 부상을 입었고, 화물차 운전자는 의식을 잃고 병원으로 옮겨졌다.

4.4.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1008번 심야노선의 경우 승차량 집계가 아직 없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3451.57
2015년 3618.86 △ 167.29
2016년 3819.00 △ 200.14
2017년 4166.43 △ 347.43
2018년 4078.85 ▽ 87.58
2019년 4231.57 △ 152.72

4.5.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8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중앙대로
▲ 명륜역
식물원로 금강공원로
금정초등학교 ▼ ▲ 온천장
금정로 온천장로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금정로
▲ 구서역.금정경찰서
경부고속도로
정관산업로
대곡마을 ▼
개좌로
철마면사무소 ▼ ▲ 철마교
철마로
▲ 철마면사무소
정관산업로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
정관중앙로
정관농협기업지점 ▼ ▲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정관로
모전초등학교 ▼ ▲ 모전마을
정관1로
이지더원1차아파트정문 ▼ ▲ 모전초등학교
모전로
▲ 현진에버빌후문사거리
정관3로
산막입구 ▼
용수로
덕산마을 ▼ ▲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정관덕산길
소두방공원 ▼ ▲ 덕산마을
구연방곡로
강변마을 ▼ ▲ 달산마을
정관로
▲ 부산장안고등학교
기장대로
좌천초등학교 ▼
좌천로
좌동리교차로 ▼ ▲ 장안제일고등학교
좌동길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008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중앙대로
▲ 명륜역
식물원로 금강공원로
금정초등학교 ▼ ▲ 온천장
금정로 온천장로
▲ 온천장역.SK허브스카이
금정로
▲ 구서역.금정경찰서
경부고속도로
정관산업로
대곡마을 ▼
개좌로
철마면사무소 ▼ ▲ 철마교
철마로
▲ 철마면사무소
정관산업로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
정관중앙로
정관농협기업지점 ▼ ▲ 동원로얄듀크2차아파트
정관로
모전초등학교 ▼ ▲ 모전마을
정관1로
이지더원1차아파트정문 ▼ ▲ 모전초등학교
모전로
▲ 현진에버빌후문사거리
정관3로
산막입구 ▼
용수로
덕산마을 ▼ ▲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정관덕산길
소두방공원 ▼ ▲ 덕산마을
구연방곡로
강변마을 ▼ ▲ 달산마을
정관로
▲ 부산장안고등학교
기장대로
좌천초등학교 ▼
좌천로
좌동리교차로 ▼ ▲ 장안제일고등학교
좌동길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비수도권 고속도로 경유 시내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부산광역시 1005 1008
울산광역시 1733
충청남도
당진시
9200 9201
전라남도
담양군
311 311-1 311-2
311-3 311-4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고령-대구서부
경상남도
양산시
1100 1200 1300
1500 3000 3100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신반-대구서부 의령,신반-마산
}}}}}}}}} ||

파일:전용도로표지.png 부산광역시 자동차전용도로 경유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005 1006 1008 1011 2000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정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급행 1008
일반 37 73 105 106 107
182 184 188 302
마을 기장8
기장 기장57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교내 진입
금정7
부산대정문, 부산대후문 정류소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1002 (심야) 1008
29 49 51 77
80 100 100-1 110
110-1 111-1 121 131
144 148-1 183 301
양산시 시내버스 16
양로원(산성방면), 광명사( 온천장역방면) 정류소
203
부산대역 (부곡2동)정류소 (양산시 시내버스 정차)
1100 1200 1300 1500 12
부산대역 정류소
금정5-1
하늘색: 양산캠퍼스(양산부산대병원) 경유 노선 }}}}}}}}}


[1] 공휴일 14대 운행 [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 [단독] [단독] [5] 1~2번 차가 웅상공영차고지에서 정관읍사무소·기장소방서까지 공차회송한 후 중간 출발한다. 2번 차 중간 출발은 2019년 7월 20일부터 추가로 시행하고 있다. 1008번은 야간 운행종료 후 웅상공영차고지에 주박한다. [6] 부산시에 따르면 노선 분리의 긍극적 목적은 정관 주민의 출근 편의를 위해 출근길 운행 횟수를 늘리는 것이었다고 한다. [7] 여담으로 동사 노선 1002번도 금정구청 정류장을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 [8] 다행히 환승대기시간이 60분이어서 망정이지 30분으로 설정되었더라면 버스가 30분이 넘어서 도착해서 환승을 못 하는 사태까지 발생했을지도 모른다. [9] 이로 인해 부산시 교통국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으로 욕을 엄청나게 먹었다. 윤산터널 개통 당시 부곡동 진출입로가 좁아 개통 이전부터 언론에서 이러한 도로 구조로 인해 정체가 우려된다고 이야기를 했으며, 개통 이후 병목현상 정체가 심각하다고 수차례 언급했는데도 부산시는 1008번의 윤산터널 경유를 강행했다. 특히나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정류장에 1008번 노선이 정차한다는 스티커를 붙혔다가 도로 떼어내는 과정에서 예산낭비가 발생하는 등의 해프닝을 겪었다. [10] 참고로 부산에서는 이 노선 외에도 1005번, 1006번, 1011번, 2000번이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한다. [11] 원자력의학원에서 웅상공영차고지까지의 거리나 금정공영차고지까지의 거리나 고만고만하다. 주로 일반버스만 담당하는 본사보다 예전부터 좌석버스도 담당했던 웅상영업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참고로 삼신교통 좌석버스들의 웅상차고지 정비는 과거 37번 버스가 좌석버스였던 시절부터 있었던 오래된 전통이다. [12] 302번 회차지가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주차장이다. [13] 사실 73번을 제외한 정관신도시 경유 노선이 출퇴근 시간에는 다 헬게이트다. [14] 부산시의 공식 영어 표기는 Busan으로 바뀐지 오래지만 부산대학교는 여전히 Pusan을 사용하므로 부산대는 Pusan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 [15] 곰내터널, 개좌터널, 오륜터널 3개의 터널을 통과한다. 여담이지만 운행 종료 후 공차회송 시에는 방곡터널, 두명터널을 통과한다. 참고로 부산에서 터널 통과 수 1위에 랭크된 노선은 거가대로 연선 6개의 터널을 통과하는 2000번이다. [16] 따라서 심야 시간대에 정관으로 가려면 106번 심야 막차를 이용해서 가야 한다. 31번 노선이 늦게까지 다니니 안락교차로까지 이동한 다음 조금 발품을 팔아 충렬사역,서원시장 정류장에서 106번으로 환승하면 된다. [17] 107번이다. [18] 금정구, 동래구 [19] 2차로 터널인데 1차로는 지하차도를 통과하여 산성터널을 지나 화명동으로 가려는 차량들이 이용하는 차로이다. 2차로가 바로 롯데마트 교차로로 빠져나가는 차로인데 터널 출구 부분 바로 앞쪽에 교차로가 위치한 터라 신호 대기를 많이 하면서 터널 중간 부분부터 정체되거나 신호 대기로 인해 정차해 있는 차량들이 많다. [20] 정체가 심각할 때에는 회동교차로 부근 윤산터널 입구에서부터 도로가 밀리기 시작하며 신호를 무려 여섯 번 이상 받아야만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 출퇴근 시간대의 제2만덕터널, 황령터널도 저 정도까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