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12:26:31

바실리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러시아 자포로지예주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바실리옙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건축 양식3. 성당의 등급
3.1. 대성전3.2. 준대성전

1. 개요

바실리카(Basilica)는 크게 두 가지 개념으로 쓰인다. 건축 양식과 성당의 등급.

2. 건축 양식

파일:external/2.bp.blogspot.com/649px-Affresco_dell%2527aspetto_antico_della_basilica_costantiniana_di_san_pietro_nel_IV_secolo.jpg
성 베드로 대성당 단면도, 16세기경
바실리카는 그리스어로 '왕족의'라는 뜻인데 여기서는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한 건축양식을 말한다. 기원전 2세기 로마 공화국 시대에 재판소나 집회장, 시장, 관공서, 지붕이 있는 야외극장 등 상업적 용도보다는 공공의 목적으로 사용된 대규모 건물을 지칭했지만 점차 장방형 회당이라는 특정 형태를 취한 건축을 지칭하게 되었다. 쉽게 말하면 가운데 마당이 있는 로마 시대의 건물을 후기에 그리스도교가 들어온 후 마당을 건물보다 높은 지붕으로 막고 성당으로 쓰기 시작한 것이다.

한국의 바실리카 양식 건물로는 강화성당이 있다. 강화성당의 외관은 조선시대 한옥의 양식이나 내부는 바실리카 양식으로 매우 독특한 혼합 건물이다. 비슷한 한옥 바실리카로는 충청북도 청주시 수동에 있는 수동성당이 있다.

고대 그리스 신전을 로마식으로 발전시킨 형식인데 그리스 신전보다 내부 공간이 넓으며 ㄷ모양의 평면을 가진 건축물의 중앙에 높은 천장[1]을 만들어 개량시킨 바실리카 양식의 건물들을 법정 등으로 사용하였는데 로마 말기에는 그리스도교 성당으로 쓰이며 초기 교회 건물양식의 원형이 되었다.

초기 바실리카의 구조는 정문에 들어서면 사방을 아치를 기둥 위에 연속하여 가설한 열주랑으로 둘러싼 아트리움이란 중앙홀이 있었고, 더 안쪽으로 들어가면 중앙의 넓은 복도를 열주랑으로 둘러싸고 천장을 높게 해서 창문을 달았고, 개방된 주랑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있고 한쪽 끝 혹은 양쪽 끝에는 집정관이나 제정자가 앉을 수 있는 자리에 해당하는 후진이 있고, 그 앞에는 희생단이 놓였다.

이후 성당으로 변형된 바실리카는 위에 언급대로 안쪽의 마당을 높은 벽이 지탱한 지붕으로 막은 뒤 양쪽의 측랑 사이에 있었던 옛 마당을 복도와 신자들이 앉을 자리인 신랑, 안쪽 중심부에 성직자석과 주제대가 비치된 내진으로 구성되었고 낮은 천장의 측랑 내에도 기도실과 예비 신자들이 앉을 자리로 구성되었다.

바실리카 양식은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발전했다.

3. 성당의 등급

가톨릭에서는 높은 위상을 지닌 성당을 바실리카로 지칭하는데 이러한 개념의 바실리카는 한국 가톨릭계에서 대성전으로 번역된다.

가톨릭 성당 가운데 신앙성, 역사성, 예술성 등의 가치를 인정받아 교황으로부터 부여받은 칭호다.

3.1. 대성전

대성전(영; Major basilica, 라; Basilica maior)은 가장 격이 높은 성당으로, 전세계에 단 4곳 뿐이며, 모두 로마에 있다. [2]

로마 4대 대성당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 라테란의 성 요한 대성당 파일:바티칸 국장.svg
산 피에트로 인 바티카노 대성당 성 베드로 대성당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성모 마리아 대성당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당 성 밖의 성 바오로 대성당

3.2. 준대성전

준대성전(영; Minor basilica, 라; Basilica minor)

로마의 네 대성전들을 제외한 나머지 대성전들은 한 단계 낮은 준대성전이다. 2020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는 1800개가 넘는 준대성전이 있다고 하며 그 중 2/3은 유럽에 있다. 나무위키에 독립된 문서가 있는 준대성전으로는 아시시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바르셀로나 사그라다 파밀리아 대성당[3], 베네치아 산 마르코 대성당, 야무수크로 평화의 노트르담 대성당(!) 등이 있다. 한국에는 1곳이 있는데 광주대교구 목포성지인 산정동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성 십자가 현양 성당이 2021년 5월 10일자로 준대성전으로 품격이 부여되었다. #
[1] 높은 천장 부분을 신랑 또는 네이브(nave), ㄷ형태였던 낮은 천장을 에일(aisle)이라고 한다. [2] 베드로 대성당은 바티칸에 있다고 해야 맞지만, 바티칸 국가 자체가 로마 도시 안에 있다. [3] 굉장히 특수한 케이스인데, 아직 완성되지도 않은 대성당을 교황이 직접 가서 준대성전으로 축성한 케이스다. 보통 축성은 성당의 완공에 맞춰서 하는데 교황이 방문해서 축성할 거라는 예고를 받고 부랴부랴 교황의 방문에 맞춰 미사 집전이 가능할 만큼 내부 공사를 한다고 난리도 아니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