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23:11:30

모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모아(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모아(공조)
Moa
파일:모아.png
학명 Dinornithiformes
Bonaparte, 1853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강(Aves)
하강 고악하강(Paleognathae)
†모아목(Dinornithiformes)

1. 개요2. 종류3. 연구사4. 멸종 이유5. 대중 문화에서

[clearfix]

1. 개요

파일:moa bird.jpg
모아의 골격
파일:모아 사냥 재연.jpg
20세기 초에 모아 사냥을 재연한 사진[1]
파일:모아_하스트수리.jpg
하스트수리에게 사냥당하는 모아새 삽화

뉴질랜드에 서식한 조류로 조강 모아목(Dinornithiformes)에 속하는 날개가 없는 대형 조류들을 지칭한다. 모아란 단어는 뉴질랜드의 마오리족이 부른 이름이다. 6속 9종이 있었으나, 마오리족이 뉴질랜드에 상륙한 후 사냥과 외래종의 유입으로 멸종했다.

2. 종류

3. 연구사

구성원들의 크기가 상당히 컸으며 가장 거대했던 남섬자이언트모아는 키가 발 끝에서 머리 끝까지 3.6m나 되었다. 지금까지 멸종하지 않고 남아 있었다면 아마 타조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새가 되었을 것이다.[2] 다만 이렇게 거대했던 모아는 자이언트모아속 뿐이고 나머지 종들은 키 2m 이하로 상당히 작은 편이었다. 그래도 조강에 속한 조류 내에서는 굉장히 큰 편이지만 말이다.

모아는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큰 새였다. 암수의 크기 차이는 종마다 다르지만, 자이언트모아속의 경우 암컷이 수컷의 2배 이상으로 컸다. 즉, 상술된 3.6m 정도의 크기는 암컷만이 도달할 수 있던 것. 이는 모아가 비교적 최근까지 살아남은 동물이었기에 뼈에서 검출된 유전자를 분석해 알아낸 것이다.[3]

뉴질랜드의 대표 동물인 키위의 조상일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알려졌지만, 현재 이 이론은 사장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더 이상 키위를 작은 모아나 그 후손으로 보지 않으며, 키위는 코끼리새와 동계통이고 모아는 오히려 남미 도요타조와 가까운 관계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며 실제 유전적으로 도요타조와 가장 가깝다고 밝혀졌다.

코끼리새와 마찬가지로 날개가 완전히 퇴화하고 없다.[4] 대신 강력한 두 다리를 가지면서 타조처럼 그 큰 덩치에도 매우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었는데, 자이언트모아 기준으로 시속 50 ~ 80km 정도로 달릴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 멸종 이유

멸종의 주범은 유럽 이주민이 아니라[5] 그보다 수백 년 전에 상륙한 마오리족으로 추정된다.[6] 실제로 모아를 잡아먹은 흔적이 마오리족의 유적지에서 가끔 발견된다. 이 밖에도 화전농업 및 옥돌 채취를 목적으로 한 산림파괴와 마오리족이 같이 데리고 온 , 돼지, 폴리네시아쥐 같은 외래생물들이 을 먹어치운 것도 멸종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13세기 후반 마오리족이 처음 뉴질랜드에 발을 들인 이래 수세기가 지나면서 7종 모아 아종이 절멸되었고 비교적 크기가 작고 오지에 서식하는 고원모아도 1445년에 멸종되었다.[7] 19세기 초까지 일부 개체가 살아있었을지도 '모른다.'는 설은 있다.[8]

맨위 상단의 사진에서 모아를 덮치고 있는 거대한 맹금류는 하스트수리라는 대형 수리로 강한 경쟁자가 없는 환경에서 모아를 주식으로 삼으며 번성했다가 마오리족 때문에 모아가 사라지고 서식지가 파괴되자 16세기 초 멸종의 길을 걸었다. 모아가 사라진 직후에는 모아 대신 마오리족을 잡아먹기도 했다고 하며, 마오리족의 전설에도 아이를 낚아채가는 거대한 독수리 이야기가 나온다. 물론 백인들은 하스트수리의 화석이 정말로 발견되기 전에는 그저 마오리족 전설 속 상상의 동물이라고 생각했다.

현재 오오과의 5종 전체[9], 캐롤라이나앵무, 도도새, 위부화개구리, 주머니늑대, 카리브몽크물범, 뉴잉글랜드초원뇌조, 포클랜드늑대, 스텔러바다소, 큰바다오리, 여행비둘기 등이 복원 가능한 멸종 동물 중 하나로 지정되었으며 화석 미라와 알에서 DNA를 수집하는데 성공하여 현재 모아 게놈 분석 및 복원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만약 복원에 성공한다면 타조를 제치고 가장 덩치가 큰 현존 공룡이 될 것이다.

5. 대중 문화에서

엄청난 크기의 임팩트 때문인지 어린이용 도서에서 인간에 의해 멸종된 새를 설명할 때 도도와 함께 투톱으로 나온다. 다만 어째 인지도 자체는 콩라인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 대항해시대 2에서 작품 내 최상급인 ☆급 발견물 중 하나로 등장하며,[10] 뉴질랜드 북섬에서 발견할 수 있다. 희귀한 동물로 분류되며, 급이 높아서 다른 것들에 비해 상당한 투자가 필요하다.
  • 짐승조선에서는 하스트수리와 함께 김금수의 뉴질랜드 탐사 최종 목적 동물로 15세기 말이라 아슬아슬하게 살아남아있었고 이들을 길들일 수 있다는 게 알려져 멸종을 피할 방도를 얻게 되었다. 이후 조선에 들어와서 성종에 의해 기린조라는 이름을 얻게 된다.
  • Feather Family에서도 나오며 거대한 새 답게 인게임에서 가장 크다.
  • 2014년에 SKY 3D에서 방영된 영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David Attenborough's Natural History Museum Alive'에 출연하였다. 목을 수직으로만 놓는 것이 아니라 수평으로 놓았을지도 모른다고 설명하며, 하스트수리에게 쫓기다가 겨우 탈출하는 모습도 나온다. 해당 다큐멘터리에서는 데이비드 애튼버러가 해설 및 진행을 맡았다.


[1] 모아는 20세기 이전에 멸종했기에 사진의 모아는 진짜가 아닌 모형이다. [2] 무게로는 코끼리새가 더 무겁다. [3] Bunce, M., Worthy, T., Ford, T. et al. Extreme reversed sexual size dimorphism in the extinct New Zealand moa Dinornis. Nature 425, 172–175 (2003). [4] 위의 화석 사진을 보면 날개부분의 뼈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5] 모아목은 15세기 중반에 절멸했으며, 유럽 이주민들이 뉴질랜드에 왔을 때는 이미 모아는 멸종한 지 100 ~ 200년은 지난 뒤였다. [6] 주로 에 달군 을 삼키게 하는 방법으로 죽였다고 한다는데 아무래도 현재 타조 화식조 같은 큰 새들이 종종 발차기로 사람을 죽이기도 하는 만큼 그보다 더 큰 모아새는 마오리족이 아무리 전투종족이라도 결국인 인간이므로 직접 맞서서 상대하기엔 너무 위험이 따르기 때문이다. [7] Worthy, Trevor H.'Moa – Moa and people', Te Ara –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updated 13-Jul-12 [8] 21세기에도 소수의 사람들은 뉴질랜드 산간 오지에 모아가 생존하리라 주장을 하기도 하고 몇몇 목격담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증거가 없다. 그 정도 동물이 그렇게 오랫동안 눈에 안 띄고 생존할 수 있는가를 따져보면 그냥 착각일 가능성이 높다. 혹여나 생존설이 사실이라면 뉴질랜드 정부가 단시간 안으로 동물보호법을 개정하여 보호 및 번식을 위한 강력한 조치가 따를 것이고 생존하는 모아가 사는 곳은 뉴질랜드 정부에서 허락을 받지 않는 이상 출입금지 지역이 될 가능성이 크고 또한 함부로 출입해 잡았다가는 무기징역에 준하는 형사처벌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9] 카우아이오오, 하와이오오, 몰로카이오오, 오아후오오, 키오에아 [10] 게임 전체에서 모아를 포함해 6종밖에 없다. [11] 다만 이는 유전자 검사 결과도 하지 않고 그저 비슷해 보인다는 특징을 기인해 추정한 것일 뿐, 이 개체는 날개도 건재하고 능숙하게 날 수 있으며 외모도 타조보다는 갈매기와 유사하는 등 실제 모아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12] 참고로 코퍼스는 로봇 병기에 따라 비행형에게는 새의 이름을, 지상형에게는 들짐승의 이름을 붙이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스프리나 콘도르, 자칼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