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0:04:14

리키엘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30px><tablebordercolor=#fff,#010101> 스톤 오션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max-width:100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죠린 일행
<rowcolor=#525151,#000000>
그린 돌핀 스트리트 교도소
수감자
<rowcolor=#525151,#000000>
징벌방 수감자
<rowcolor=#525151,#000000>
교도관 및 관계자
<rowcolor=#525151,#000000>
DIO 관련 인물
<rowcolor=#525151,#000000>
기타
<rowcolor=#525151,#000000>
}}}}}}||

DIO의 아들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작중에서 등장한 인물
[[죠르노 죠바나|
파일:지오르노지오바나.png
]]
죠르노 죠바나
골드 익스피리언스 ?
[[웅가로|
파일:웅가로1121.png
]]
[[리키엘|
파일:리키엘1122.png
]]
[[도나텔로 베르사스|
파일:도나텔로1123.png
]]
웅가로 리키엘 도나텔로 베르사스
보헤미안 랩소디 스카이 하이 언더 월드
}}}}}}}}} ||
파일:Rikiel_Infobox_Manga.png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리키엘1122.png
<colbgcolor=#303030,#000000> 애니메이션
}}}}}}}}}}}} ||
리키엘
リキエル|Rykiel
CV 후루카와 마코토 (古川慎)
Part 6 애니메이션
콘도 타카시 (近藤隆)
Eyes of Heaven
해외판 성우 벤 발마세다 (Ben Balmaceda)
Part 6 애니메이션
테마곡 눈꺼풀 (Eyelids)[1] TVA 전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상세 프로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프로필
이름 리키엘
출생 1988년[2]
종족 인간
스탠드 스카이 하이
}}}}}}}}} ||
1. 개요2. 특징3. 작중 행적4. 기타5. 명대사6. 디아볼로의 대모험에서7. 둘러보기

[clearfix]
가치가 있는 것은 「정신의 성장」이다!
[clearfix]

1. 개요

죠죠의 기묘한 모험 6부 스톤 오션의 등장인물. 엔리코 푸치 신부가 감옥 밖으로 나온 이후 조우하게 된 3명의 DIO의 아들들 중 하나. 이름은 프랑스의 디자이너 소니아 리키엘(1930~2016)에서 따왔다.[3]

2. 특징

가슴이 트여있는 젖소무늬 점프 슈트에 팔토시라는 기괴한 패션 센스가 특징. 온갖 하이패션이 넘쳐나는 죠죠 시리즈에서도 나르시소 안나수이, 판나코타 푸고 등과 함께 가장 아스트랄한 패션의 보유자로 평가받는다. 두피 양옆쪽에는 머리카락없이 이상한 장식 같은 것이 다닥다닥 붙어있는데, 속부분만 전부 밀어낸 투블럭 스타일인 듯 하다.
파일:리키엘3.jpg
파일:리키엘1.jpg
첫등장 이후

처음 등장했을 때는 두피가 훤히 드러나고 정수리에만 머리카락이 길게 나있는 매우 부족한 머리숱으로 묘사되었지만, 다음 장면부터는 곧바로 정상적인 형태로 수정되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처음부터 수북한 머리숱으로 등장한다.

3. 작중 행적

오토바이를 몰고 고속도로에서 역주행을 하다가 사고를 당해서 병원에 입원하였다. 이후 자신들을 찾아온 푸치 신부에게 하소연을 하는 모습으로 첫 등장. 16살이던 해, 학년 말 시험장에서부터 눈꺼풀이 의지에 상관없이 흘러내리고 숨쉬기도 곤란한 병을 앓게 되었는데, 진단해도 멀쩡하게 나오는데다 주변의 반응도 "불쌍해", "모르는 척해, 가까이 가지 마" 등이어서 그 이후로는 학교도 못 가게 되었다고 털어놓았다.[4] 차에 타면 사고가 나고, 스트레스가 나면 손이 땀 범벅이 되는 등 자꾸만 질병이 자신을 괴롭혀와서 미칠 지경이라고 말했다.

이를 들은 푸치는 그의 머리 속에서 스탠드 디스크를 꺼내 로드라는 생물에 대해 설명하고, 곧 자신의 스탠드 능력이 로드를 다루는 능력임을 명심하게 만들어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운 몸을 만들어준다. 로드를 제어할 수 있게 된 리키엘은 곧 자신의 눈에도 로드를 포착할 수 있게 되었고, 푸치는 그 능력의 이름을 스카이 하이라고 명명한다. 이 때, 로드가 지나가는 과정에서 푸치 또한 영향을 받아 생니 하나가 통째로 뽑히는 기현상을 겪었다.

그 후, 웅가로에 이어서 두 번째로 쿠죠 죠린 에르메스 코스텔로, 엠포리오 아르니뇨를 처단하러 간다. 로메오 지소에게 뜯은 헬기를 타고 날아가던 죠린 일행을 급습, 자신이 겪었던 것처럼 죠린 일행의 눈꺼풀을 강제로 흘러내리거나 출혈을 하게 만들어 헬기를 추락시킨다. 웅가로와는 달리 치사하게 숨지 않고 오토바이를 타고 나타나 1:3으로 당당히 맞짱을 거는 포스를 발휘하였으나, 그간 일반인으로 살아왔기 때문에 당연하다고 해야할지, 전투에 취약한 면을 보여줬다.

이때의 모습은 상당히 허당스럽기까지 한데, 리키엘이 처음 죠린 일행과 대면했을 때 죠린과 에르메스를 더 가까이 끌어들이겠다고 독백하자, 그 직후 둘이 리키엘이 자신들을 가까이 오게 하게 하려 한다고 간파해 버린다. 그 후, 애써 진정하면서 저 둘도 공격을 하려면 가까이 와야 한다고 생각해 자신을 진정시키려 하자, 또 그 직후 죠린과 에르메스가 원거리에서 그를 공격하려고 돌을 집어든다. 설상가상으로 습지대에 세워둔 오토바이가 가라앉는 모습을 보고 집중력이 흩어져 스탠드를 다루게 되기 전과 같은 패닉 상태에 빠지지만, 겨우 정신을 다잡고 다시 전투에 돌입한다.

이후 스카이 하이의 스탠드 능력으로 로드를 조종해 에르메스와 엠포리오를 무력화, 쿠죠 죠린을 거의 보내버릴 뻔 하였으나, 죠린은 그녀답게 로드를 극복할 방법을 찾아냈다. 몸에 불을 질러 체온으로 추적하는 로드들을 혼란스럽게 만든 것.

하지만 밀리지 않고 죠린 일행을 없애버리기 위해 불붙은 죠린의 약점을 알아내겠다고 죠린처럼 불로 자신의 몸에 불을 붙히는 집념을 보이며 나름대로 DIO의 아들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죠린처럼 불이 붙어보면 어디를 공격해야 할지 알 수 있다는 것.[5]

그 결과 죠린의 호흡을 따라 입 안쪽으로 침투시킨 로드로 시상 하부를 마비시켜 비문증을 일으킴으로써 죠린의 시야에서 사물의 잔상이 사라지지 않게 만들어 시야를 방해하고 그 사이 자신은 몸에 붙었던 불을 다시 껐다.[6] 하지만 등에 별모양 반점을 가진 사람들은 서로의 위치를 알 수 있기에 눈으로 잔상을 쫓는 대신 반점의 감각으로 위치를 파악한 죠린의 스톤 프리에 얻어맞았다.

얻어맞는 시점에서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나 아예 자신의 목숨을 바쳐서라도 죠린과 동귀어진할 목적으로 자신의 머리와 육체의 신경의 체온을 빼앗아 병들게 만들어 고통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버텼다. 그리고 죠린의 뒷목을 잡아 그 부분의 불을 꺼서 로드로 공격할 수 있게 만들었다.

결국 죽어라 러쉬를 날리지만 죠린은 로드의 공격으로 각혈하며 쓰러지고 떡이 되도록 맞은 리키엘이 먼저 일어난다. 하지만 리키엘은 이내 자신이 죠린의 뒷목의 불을 끄기 위해 붙들고 있던 손이 마비가 되어 있는 탓에 움직이지 못하는 동안 로드가 체온을 빼앗는 걸 미묘하게 방해하는 바람에[7] 완전히 죽이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고 다시 쓰러진다. 그리고 다시 일어나 마지막 펀치를 날리려는 죠린에게 이제 더 이상 로드를 조종할 힘도 없다며 완전히 패배를 인정한다.

쓰러진 리키엘은 죠린이 뒷목을 붙잡고 있던 자신의 손을 떼지 않은 게 계산인지 우연인지 묻는데, 죠린은 우연이라고 답한다. 이를 들은 리키엘은 매우 흡족해하며 "죠린에게 자신이 신부와 만난 것도, 자신의 패배도, 죠린이 신부에게 가는 것도, 이 모든 일이 푸치를 천국에 올리기 위해 존재하는 운명이었다."[8]라고 말을 하더니 웨더 리포트가 푸치의 친동생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 직후 그럼 스포츠 맥스가 자신의 언니를 죽인 것도 운명이냐며 분노한 에르메스가 완전히 리타이어시킨 다음 혼란시키려고 생각없이 한 말이니 신경쓰지 말라고 한다.[9]

리키엘을 쓰러뜨린 죠린 일행은 리키엘의 오토바이와 핸드폰을 전리품으로 얻고, 푸치 신부가 DIO의 세 아들과 만난 병원으로 향한다.[10]

4. 기타

브루포드 은두르처럼 시리즈에서 간간히 등장하는, 마지막까지 긍지를 가지고 퇴장하는 악역 캐릭터 중 하나. 다만, 예시로 소개한 이들은 주인공들도 나름대로의 경의를 표한 반면, 리키엘은 되려 에르메스에게 죽빵만 엊어맞고 끝났다.

세 아들 중 유일하게 민간인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았고, 인적이 아예 없는 장소에서 죠린 일행과 대결해 정정당당하게 승부를 펼쳤다. 아예 아폴로 11호 황금의 정신에 빗대어 예찬까지 하는 등, 아버지의 본래 유전자인 죠나단 죠스타와 여러모로 흡사한 부분이 많다. 하필 믿고 있는 대상이 푸치 신부라서 문제였지, 그가 만약 더 나은 사람을 만났더라면 어떻게 되었을 지 두고볼 일.

불행한 과거사와는 별개로, 집안 형편은 괜찮았던 것 같다. 로드가 괴롭히기 전만 하더라도 멀쩡히 학교에 다니고 있었고, 현재 시점에서는 자가용 오토바이와 핸드폰을 소지하는 중이었다. 불우한 어린 시절이나 밑바닥 같은 인생을 패시브로 깔고 있는 나머지 셋과는 천지차이. 다만, 리키엘도 원인불명의 질병 때문에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전혀 못했다는 점에서 결코 이들보다 나은 점은 형편을 제외하면 사실상 없다고 봐야 한다. 당장 푸치 신부에게 하소연하는 장면만 봐도 인생이 다 끝난 것처럼 오열하고 있었으니 얼마나 정신적인 고통이 컸는 지 알 수 있다.

학창 시절 때 성적은 좋았는지, 인체에 대한 정보나 상식을 굉장히 많이 알고 있다. 그것도 단순히 알기만 하는 게 아니라 부위별로 특징을 정확히 알아내어 거의 의사 못지 않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 반대로 이런 공부를 해왔기에 이런 독특한 스탠드가 발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분량 문제 때문인지 내용 압축이나 생략이 상당히 많이 되어서 비중이 크게 줄어들었다. 원작을 안 본 사람들도 이 리키엘전은 상당히 급전개로 진행되는 걸 눈치챌 수 있을 정도. 각각 2화 이상을 할애받은 웅가로와 베르사스와 달리, 리키엘은 1화 밖에 출현하지 못했다.

5. 명대사

1969년 7월, 아폴로 11호와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월면에 선 역사적 사건... 나는 지금껏 그게 뭐가 그렇게 대단한 건지 도통 알 수가 없었지. 왜냐면 로켓이라는 건 과학자나 기술자가 날리는 거잖아? 원숭이라도 갈 수 있는 것 아닌가?
하지만 난 거기 있는 「로드」들을 처음 보게 된 순간... 그 의미를 깨닫게 되었다...
월면에 선 건 인간의 「정신」이었다는 사실을 말이다! 인간은 그때 지구를 뛰어넘어 성장했던 거다! 가치 있는 건 「정신의 성장」이다!
너희들이 신부님의 성장을 방해하겠다면, 나는 달군 쇠와 같은 노여움과 함께 너희를 처리할 것이다!!
이딴 여자보다 내 정신력이 한 수 위다! 나는 성장할 테다...!! 중요한 건 성장하여 축복을 받는 거다!
내가 바로 아폴로 11호다!!
최후는 아폴로 13호가 되었지만

6. 디아볼로의 대모험에서

디아볼로의 대모험 에서의 능력치 도감
리키엘 체력 공격력 방어력 경험치 드랍률 속성
20 10 5 90 꽤 낮음 인간
능력 로드를 조종하겠어.

적으로 나오는데, 상당히 귀찮다. 디아볼로가 보이면 스카이 하이를 발동해 디아볼로를 장님으로 만들고, 멀리서 스카이 하이로 방어력 무시 10대미지를 주는데[11] 적은 보이지 않고, 나는 멀리서 일방적으로 두들겨 맞으니 혈압이 승천할 판. 개체수가 많이 나오는 몬스터 하우스나 고렙으로 튀어나와 고정데미지가 증가하는 일순 후의 세계라면 말그대로 순식간에 녹아버린다.
0.15버전에서는 심지어 이쪽으로부터 도망치기 때문에 더 짜증난다.

스카이 하이를 쓰기전에 없앨 수 있다면 좋겠지만, 사정거리가 3칸에다가 일직선, 대각선이 아니어도 (심지어 사이에 벽이 있어도 무시하고 3칸 이내면)[12] 발동해서 쉽지 않다. 통로를 지나가는 도중에 걸리면 속수무책. 한마디로 리조토 네로와는 반대로 모습은 보이지만, 디아볼로의 눈을 가려버리는 버전이라고 보면 되겠다.

능력에 스카이 하이를 장착해 방어하거나, 통로로 유인해 사격 디스크로 날려버리자. 운 좋게 같은 방에서 리키엘이 자고 있었다면 최우선적으로 족치자. 2014년 업데이트 버전쯤부터 스카이 하이가 사격스탠드가 되면서 드랍율도 좀 더 높아진지라, 이전 버전에 비해 대응하기가 쉬워진 편. 일순 후의 세계에서는 고정 데미지를 날리는 적들이 레벨빨을 받아 미친 딜링을 자랑하니 아예 플레이하는 내내 장비하고 있는 편이 좋다.
그나마 0.16버전에서는 도망치지 않고 오히려 이쪽으로 다가오기 때문에, 스카이 하이가 없어도 리키엘이 있을법한 위치에 공격을 갈겨 리키엘을 잡는 방법도 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30px><tablebordercolor=#170556,#010101> 파일:죠죠의 기묘한 모험 로고.svg 죠죠의 기묘한 모험 시리즈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부: 팬텀 블러드
죠죠 일행: 죠나단 죠스타 · 윌 A. 체펠리 · 로버트 E.O. 스피드왜건 · 톰페티 · 다이어 · 스트레이초
적 캐릭터: 디오 브란도 · 왕 첸 · 브루포드 · 타커스 · 잭 더 리퍼 · 페이지, 존스, 플랜트, 본햄 · 아담스 · 괴인 두비 · 경찰 좀비
기타: 죠지 죠스타 1세 · 에리나 펜들턴 · 대니 · 다리오 브란도 · 포코 · 부랑자 · 포코의 누나 · 문신과 동양인 · 경찰서장 · 스틱스 신부 · 윌 A. 체펠리의 아버지
2부: 전투조류
죠죠 일행: 죠셉 죠스타 · 시저 안토니오 체펠리 · 리사리사 · 로긴즈 & 메시나
독일군: 루돌 폰 슈트로하임 · 도노반 · 마르크
적 캐릭터: 카즈 · 에시디시 · 와무우 · 산타나 · 스트레이초
기타: 로버트 E.O. 스피드왜건 · 에리나 죠스타 · 스모키 브라운 · 수지Q · 죠지 죠스타 2세 · 와이어드 벡 · 마리오 체펠리 · 영국 공군 사령관
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
죠죠 일행: 쿠죠 죠타로 · 죠셉 죠스타 · 무함마드 압둘 · 카쿄인 노리아키 · 장 피에르 폴나레프 · 이기
DIO의 저택: DIO · 케니 G · 바닐라 아이스 · 얼치기
고용인
타로카드의 스탠드 유저: 그레이 플라이 · 캡틴 테닐 · 포에버 · 저주의 데보 · 러버 소울 · J. 가일 · 홀 호스 · 네나 · ZZ · 엔야 가일 · 스틸리 댄 · 아라비아 팟초 · 마니쉬 보이 · 카메오 · 미들러
이집트 9영신: 은두르 · 오잉고 · 보잉고 · 캐러밴 세라이 · 머라이어 · 알레시 · 다니엘 J. 다비 · 펫 숍 · 테렌스 T. 다비
기타: 홀리 죠스타 · · 수지Q · 로제스 · 셰리 폴나레프 · 말레나 · 차카 · · 윌슨 필립스
4부: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 않는다
죠죠 일행: 히가시카타 죠스케 · 쿠죠 죠타로 · 니지무라 오쿠야스 · 히로세 코이치 · 죠셉 죠스타 · 시즈카 죠스타
모리오초 주민: 키시베 로한 · 히가시카타 토모코 · 히가시카타 료헤이 · 니지무라 케이초 · 오쿠야스의 아버지 · 코바야시 타마미 · 하자마다 토시카즈 · 야마기시 유카코 · 토니오 트루사르디 · 시즈카 죠스타 · 스기모토 레이미 · 얀구 시게키요 · 츠지 아야 · 카와지리 코사쿠 · 카와지리 시노부 · 카와지리 하야토 · 훈가미 유야 · 키노토 마사조
적 캐릭터: 키라 부자( 키라 요시카게 · 키라 요시히로) · 안젤로 · 오토이시 아키라 · 오오야나기 켄 · 카네다이치 토요히로 · 미야모토 테루노스케
기타: · 고양이풀 · 누 미키타카조 은시 · 이름 모를 사나이
5부: 황금의 바람
파시오네 호위팀: 죠르노 죠바나 · 브루노 부차라티 · 레오네 아바키오 · 귀도 미스타 · 나란차 길가 · 판나코타 푸고 · 트리시 우나 · 콜로세움의 남자 · 코코 잠보
파시오네 수뇌부: 보스 · 폴포 · 페리콜로 · 비네거 도피오
보스 친위대: 스쿠알로 · 티치아노 · 카르네 · 초콜라타 · 세코
파시오네 암살팀: 리조토 네로 · 포르마조 · 일루조 · 프로슈토 · 페시 · 멜로네 · 기아초 · 소르베 & 젤라토
말단 조직원: 눈물의 루카 · 마리오 주케로 · 살레
기타: 이름 모를 갱 · 히로세 코이치 · 쿠죠 죠타로 · 도나텔라 우나 · 이름 모를 경관 · 점쟁이 · 스콜리피
6부: 스톤 오션
수감자: 쿠죠 죠린 · 에르메스 코스텔로 · 푸 파이터즈 · 게스 · 존갈리 A · 선더 맥퀸 · 밀라숀 · 랭 랭글러 · 스포츠 맥스 · 구초 · 켄조 · D&G
엔리코 측: 엔리코 푸치 · 웅가로 · 리키엘 · 도나텔로 베르사스 · 녹색 아기
건물의 유령 거주자: 엠포리오 아르니뇨 · 나르시소 안나수이 · 웨더 리포트
형무소 관계자: 비비아노 웨스트우드 · 뮤차 뮬러 · 소니 리킬 · 로코 바 로코
기타: 로메오 지소 · 변호사 · 쿠죠 죠타로 · 죠린의 어머니 · 글로리아 코스텔로 · 페를라 푸치 · 로드 · DIO
7부: 스틸 볼 런
레이스 참가자: 죠니 죠스타 · 자이로 체펠리 · 디에고 브란도 · 핫 팬츠 · 마운틴 팀 · 포코로코 · 히가시카타 노리스케 · 샌드맨 · 미세스 로빈슨 · 붐붐 일가 · 오예코모바 · 프리츠 폰 슈트로하임 · 도트 칸 · 가우초 · 우루무드 압둘
레이스 개최측: 스티븐 스틸 · 루시 스틸
대통령 측 인물: 퍼니 밸런타인 · 스칼렛 밸런타인 · 포크 파이 햇 꼬마 · 퍼디난드 박사 · 링고 로드어게인 · 블랙모어 · 11명의 남자 · 마이크 O · 마젠트 마젠트 · 웨카피포 · 액셀 RO · 디 스 코 · 스포일러
기타: 슈거 마운틴 · 죠지 죠스타 2세 · 다리오 · 대니
8부: 죠죠리온
죠죠 일행: 히가시카타 죠스케 · 히로세 야스호 · 마메즈쿠 라이
히가시카타 가문: 히가시카타 노리스케 · 히가시카타 카토 · 히가시카타 죠빈 · 히가시카타 미츠바 · 히가시카타 츠루기 · 히가시카타 하토 · 히가시카타 죠슈 · 히가시카타 다이야
바위 생물
바위 인간: 아케후 사토루 · 야기야마 요츠유 · 다이넨지야마 아이쇼 · 에이 펙스 형제 · 다모 타마키 · 어반 게릴라 · 푸어 톰 · 우 토모키 · 돌로미테
바위 동물: 이와스케 · 도레미파솔라티 도 · 라디오 가가
바위 곤충: 머리핀 곤충 · 두두두 데 다다다 · 오블라디 오블라다
모리오초 주민: 사사메 오지로 · 니가타케 자이헤이 · 니지무라 케이 · 키라 홀리 죠스타 · 키라 요시카게 · 쿠죠 죠세후미 · 사쿠나미 카레라 · 토오루
기타: 죠니 죠스타 · 루시 스틸 · 후미
9부: 더 죠죠랜즈
죠죠 일행: 죠디오 죠스타 · 드라고나 죠스타 · 파코 러브란테스 · 우사기 알로하오에 · 차밍 맨
적 캐릭터: 와일드 캣 사이즈
기타: 메릴 메이 치 · 바바라 앤 죠스타 · 키시베 로한
}}}}}}}}} ||

[1] 정식 ost명이 공개되기 전까지는 'Apollo 11'로 알려져 있었다. [2] JOJO Magazine 2023 WINTER에서 공개됨. 이는 DIO가 메인 빌런으로 나오는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의 시간적 배경이기도 하다. [3] 징벌방 편에서 나온 죠르노를 닮은 간수 소니 리킬의 이름 유래이기도 하다. [4] 리키엘이 끙끙대고 있는 병은 자신의 스탠드 스카이 하이를 통제하지 못해 로드가 일으킨 짓으로 추정된다. 로드는 초고속으로 움직이는데다 체온을 먹고 살기 때문에 리키엘이 눈치채지 못하고 진단해도 멀쩡하게 나오는 것이다. [5] 참고로 드라마 CD에서는 DIO도 자기 몸에 불을 질러서 죠타로를 따돌렸다. 직후 기화냉동법으로 얼려서 불을 꺼버렸지만. [6] 오토바이 기름을 두르고 붙인 불이라서, 실제로 이론상 아주 잠깐이라면 이렇게 해도 기름이 다 타기 전에 불을 끄면 화상을 입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매우 위험하니 함부로 따라하지 말자. [7] 엠포리오가 자신의 몸에서 죠타로의 디스크가 붙어있던 부위는 체온을 빼앗기지 않았다는 걸 깨달았는데, 이때부터 다른 무언가와 밀착해 있는 부위는 체온을 빼앗을 수 없다는 파훼법이 밝혀진 셈이다. [8] 이것은 푸치가 밥먹듯이 말하는 인력이라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물론 리키엘이 말하는 운명은 푸치를 천국으로 올려줬으나, 막판에 푸치를 죽게 만듦으로써 정의를 실현했다. [9] 허나 결국 죠린은 리키엘의 말대로 손을 떼지 않은것이 계산인지 우연인지 말하지 않았다고 한다. [10] 이 핸드폰은 언더월드전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11] 적어보이지만, 얘가 나타날 층계에서 디아볼로가 대충 체력이 50~60이라는 걸 생각해보면, 그리고 장님으로 만드는 특성을 생각하면 꽤나 대응하기 힘들고 아프기도 아프다. [12] 이 경우 디아볼로가 해당위치에 가려면 벽 통과능력이 없이는 10턴은 더 넘게 가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