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22:56:24

리셴녠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마오쩌둥 류사오치 리셴녠 양상쿤
제5대 제6대 제7대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권한대행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리셴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제1ᆞ2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제1기
천윈
린뱌오 펑더화이 덩샤오핑
덩쯔후이 허룽 천이
우란푸 리푸춘 리셴녠
제2기
천윈
린뱌오 펑더화이 덩샤오핑
덩쯔후이 허룽 천이
우란푸 리푸춘 리셴녠
녜룽전 보이보 탄전린
루딩이 뤄루이칭 시중쉰
← 정무원 부총리
국무원 부총리 (제3ᆞ4기) →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제3ᆞ4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제3기
린뱌오 덩샤오핑
천윈 덩샤오핑
(계승)
허룽
천이 커칭스 우란푸
리푸춘 리셴녠 탄전린
녜룽전 보이보 루딩이
뤄루이칭 타오즈 셰푸즈
제4기
덩샤오핑
장춘차오 리셴녠 천시롄
지덩쿠이 화궈펑 천융구이
우구이셴 왕전 위추리
구무 쑨젠
← 국무원 부총리 (제1ᆞ2기)
국무원 부총리 (제5ᆞ6기) →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제5ᆞ6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제5기
덩샤오핑 완리
리셴녠 쉬샹첸 지덩쿠이
위추리 첸시롄 겅뱌오
천융구이 팡이 왕전
구무 캉스언 첸무화
제6기
완리
야오이린 리펑
톈지윈 차오스
← 국무원 부총리 (제3ᆞ4기)
국무원 부총리 (제7ᆞ8ᆞ9ᆞ10ᆞ11ᆞ12ᆞ13기) →
}}}}}}}}}}}}}}}

파일: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휘장.svg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주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4대 제5대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제6대 제7대 제8·9대
덩잉차오 리셴녠 리루이환
제10·11대 제12대 제13대
자칭린 위정성 왕양
제14대
왕후닝
}}}}}}}}}}}} ||

파일:중국 국장.svg
후베이성 영도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성장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후베이성 인민정부 주석
초대 제2대
리셴녠 류즈하오
후베이성 인민위원회 성장
초대 제2대
류즈하오 장티쉐
후베이성 혁명위원회 주임
초대 제2대 제3대
청쓰위 자오신추 천피셴
후베이성 인민정부 성장
초대 제2대 제3대
천피셴 한닝푸 황즈전
제4대 제5대 제6대
궈젠첸 궈슈옌 자즈제
제7대 제8대 제9대
장주핑 장궈광 뤄칭취안
제10대 제11대 제12대
리훙중 왕궈성 왕샤오둥
제13대
왕중린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리셴녠 왕런중 청쓰위
제4대 제5대 제6대
자오신추 천피셴 관광푸
제7대 제8대 제9대
자즈제 장주핑 위정성
제10대 제11대 제12대
뤄칭취안 리훙빈 장차오량
제13대 제14대
잉융 왕멍후이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재정부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중앙인민정부 재정부장
초대 제2대 제3대
보이보 룽즈허 덩샤오핑
제4대
리셴넨
중화인민공화국 재정부장
초대 제2대 제3대
리셴녠 인청전 장진푸
제4대 제5대 제6대
우보 왕빙첸 류중리
제7대 제8대 제9대
샹화이청 진런칭 쉐쉬런
제10대 제11대 제12대
러우지웨이 샤오제 류쿤
제13대 제14대 제15대
란포안 }}}}}}}}}}}}}}}
중화인민공화국 제3대 국가주석
리셴녠
[ruby(李,ruby=Lǐ)][ruby(先,ruby=Xiān)][ruby(念,ruby=niàn)](이선념) | Li Xiannian
파일:81ccmvQud4L._AC_SY500_.jpg
<colbgcolor=#ee1c25><colcolor=#ffff00> 출생 1907년 8월 3일
호북성 황강현 홍안구역
(現 후베이성 황강시 훙안현)
사망 1992년 6월 21일 (향년 84세)
중국 베이징시
재임기간 제3대 주석
1983년 6월 18일 ~ 1988년 4월 7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1c25><colcolor=#ffff00> 부모 아버지:리청위안(李承元)
어머니:왕씨(王氏)
배우자 상샤오핑(尚小平) (이혼)
린자메이(林佳楣)
자녀 리진(李劲, 장녀)
리쯔양(李紫阳, 차녀)
리핑(李平, 장남)
리샤오린(李小林, 3녀)
학력 해당사항 없음
종교 무종교 ( 무신론)
소속 정당
}}}}}}}}}
1. 개요2. 생애3. 가족4. 기타5.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중국의 제3대 주석. 1980년대 주석직을 맡았는데, 당시 주석직은 거의 허수아비였고 실권자는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인 덩샤오핑이었다.

2. 생애

후베이성 황강시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를 마친 12세부터 목공일을 시작했고, 이후 공청단에 가입했다. 1926년 중국 국민당 북벌에 참가하고 1927년 정식으로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고 홍군의 지휘관으로 후베이성 부근에서 국민당군과 싸우다가 대장정에 참가했다. 1937년 옌안에 도착했고, 항일군정대학과 연안 마르크스-레닌학원에서 배웠다.

이후 1946년 국공내전이 재개되자 후베이성에서 국민당군과 싸웠는데, 초반에는 국민당군의 대군에 포위되어 대부분의 부대를 잃는 등의 고전을 했으나, 1947년부터 공세로 전환하여, 중원지역을 모두 공산군에 넣는데 기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군복을 벗고 관료로 전업하여 고향인 후베이성 서기, 우한시 서기 등을 역임했다. 1954년 부총리에 임명되었고, 재정부장을 겸임했다. 이후 경제 관료로 전업하여 대약진운동으로 파탄난 중국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노력했다. 리셴녠은 다른 경제통인 천윈에게 반대하여 소상공인을 보호하고 중앙의 과도한 개입을 자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마오쩌둥이 주도한 대약진운동 때문에 별로 효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게다가 마오쩌둥의 정책에 비판적이었기 때문에 1959년 루산회의에서 마오쩌둥에게 "우파"라고 크게 비판을 받는다. 대약진운동이 여러 참극을 빚자 리셴넨은 대약진운동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곡물, 기름, 면화의 가격 안정을 위해 고군분투를 했다. 이렇게 경제관료로 계속 승진하여 정치국 위원의 자리까지 올랐다.

문화대혁명 직전까지 그는 중국 경제를 책임지고 있었다. 하지만 때 홍위병들의 만행을 보고 1967년 2월 정치국 회의에서 장칭, 천보다, 캉성, 4인방을 공격했다가 2월 역류로 실각당하고 권력에서 밀려나가 공장으로 쫓겨나서 육체노동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문화대혁명의 광풍이 가라앉자 1973년 저우언라이에 의해 재무장관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다시 4인방의 공격으로 실각했다가, 마오쩌둥이 사망하자, 당시 주석이었던 화궈펑을 도와 4인방을 숙청하는데 역할을 했다.

1977년부터 1982년까지 당부의장을 맡았고, 1983년부터 주석의 자리에 올랐으나 당시 실권은 덩샤오핑이 쥐고 있었다. 1988년 주석직에서 물러난 이후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제7대 의장직을 맡았다.

마오쩌둥 시기에 경제관은 덩샤오핑과 거의 비슷했지만, 1980년대에는 덩샤오핑식 개혁개방 정책과는 거리를 두었다. 그리하여 1980년대에는 덩샤오핑의 정책에 반대한 보수파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1989년 천안문 항쟁의 진압을 적극 지지했다고 알려져 있다.[1]

3. 가족

1남 3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인민해방군 소장이며 막내딸의 남편은 인민해방군 상장이다.

4. 기타

마오쩌둥을 비롯하여 지식인-자산가-부농 출신이 대부분인 초기 공산당 당원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지도부에 오를 수 있었던 노동계급 출신이다. 사실 천두슈 등의 초기 공산당 지도부는 당의 이념과 모순되는 지배계급 출신이 주를 이루던 당을 개조하기 위해 수많은 노동계급 출신을 당에 끌어들였으나 대부분 4.12 상하이 쿠데타 이후 국민당의 탄압기에 변절하거나 당을 떠났다.

그러나 리셴녠은 이런 가운데서도 꿋꿋히 당에 충성을 바쳤고 본인도 능력이 있었는지 1950년대부터 경제관료로 무난하게 일을 처리하며 능력을 인정받았고 덩샤오핑 시절 상징적인 국가 최고직에 오를 수 있었다.

5. 대중매체에서

1982년작 KBS1 반공드라마 < 지금 평양에선>에서 배우 한정국이 연기했다.


[1] 이건 자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예를 들어 리셴넨의 뒤를 이어 국가주석을 한 양상쿤 같은 경우는 2000년대까지 강경한 진압 지지파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후 서방으로 망명한 양상쿤의 주치의는 "양상쿤은 천안문 학살을 당의 수치라고 말했다"고 증언하여 진압 반대파라는 증언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