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2:25:04

데몬(유희왕)

게임별 데몬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유희왕 러시 듀얼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테마 일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가가가|
파일:가가가매지션.jpg
가가가]]
[[가디언(유희왕)|
파일:가디언 에아토스.jpg
가디언]]
[[가스타|
파일:가스타의 윈다.jpg
가스타]]
[[가제트(유희왕)|
파일:기동요새 스트롱홀드.jpg
가제트]]
[[강귀|
파일:강귀 더 파워로드 오우거.jpg
강귀]]
[[개구리(유희왕)|
파일:도깨비 개구리.png
개구리]]
[[갤럭시(유희왕)|
파일:갤아포.png
갤럭시]]
[[거대전함|
파일:거대전함 블래스트캐논 코어.png
거대전함]]
[[검투수|
파일:검투수 테이머 에디토르.jpg
검투수]]
[[게이트 가디언(유희왕/카드군)|
파일:게이트 가디언즈.png
게이트 가디언]]
[[고고고|
파일:고고고골렘.jpg
고고고]]
[[고블린(유희왕)|
파일:GoblinAttackForce-TF04-JP-VG.jpg
고블린]]
[[고블린라이더|
파일:고블린라이더 임시.jpg
고블린라이더]]
[[고스트릭|
파일:고스트릭타천사.jpg
고스트릭]]
[[고요우|
파일:고요우 가디언.jpg
고요우]]
[[고티스|
파일:Ghoti of the Deep Beyond.png
고티스]]
[[공아단|
파일:공아단의 대의 폴고.jpg
공아단]]
[[군관(유희왕)|
파일:초노급군관.png
군관]]
[[그레이돌|
파일:그레이돌 슬라임.png
그레이돌]]
[[그림자 여섯 무사|
파일:그림자 여섯 무사 후우마.jpg
그림자 여섯 무사]]
[[극성(유희왕)|
파일:극성천 굴베이그.png
극성]]
[[금지된|
파일:금지된 일적.jpg
금지된]]
[[기괴(유희왕)|
파일:세탁기괴 런드리드래곤.png
기괴]]
[[기교(유희왕)|
파일:기교사 오로치트론.jpg
기교]]
[[기믹 퍼핏|
파일:기믹 퍼핏 자이언트킬러.jpg
기믹 퍼핏]]
[[기아기아|
파일:기아기아노 mk3.jpg
기아기아]]
[[열차(유희왕)|
파일:저거너트리베.jpg
기차]]
[[기황|
파일:기황제 와이젤.jpg
기황]]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6.6%"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나츄르|
파일:나츄르 카멜리아.png
나츄르]]
[[낙서괴물|
파일:낙서수 스테고.png
낙서괴물]]
[[낙인(유희왕)|
파일:낙인융합.png
낙인]]
[[날개 크리보|
파일:날개크리보.jpg
날개 크리보]]
[[네메시스(유희왕)|
파일:네메시스 코리도.jpg
네메시스]]
[[네무렐리아|
파일:쳐 자는 네무렐리아.png
네무렐리아]]
[[네오 스페이시언|
파일:네오 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jpg
네오 스페이시언]]
[[네오스|
파일:네오스 2nd.png
네오스]]
[[네크로즈|
파일:유니코르 네크로즈.jpg
네크로즈]]
[[네프티스(유희왕)|
파일:이어주는 손.jpg
네프티스]]
[[뇌화(유희왕)|
파일:뇌화의 마리코우베.png
뇌화]]
[[누메로니어스|
파일:Cino.1000.jpg
누메로니어스]]
[[누메론|
파일:게이트 오브 누메론 에캄.png
누메론]]
[[누밸즈|
파일:바그리엘 드 누밸즈.png
누밸즈]]
[[니트로 싱크론|
파일:니트로 싱크론.jpg
니트로]]
}}}}}}}}}}}}
[ㄷ]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다이너레슬러|
파일:판크라톱스.png
다이너레슬러]]
[[다이너미스트|
파일:dascnn3-576f0731-4ce2-4ee3-9109-4dbb97531e391.jpg
다이너미스트]]
[[다이놀피어|
파일:다이놀피어 렉스텀.png
다이놀피어]]
[[대행자(유희왕)|
파일:근위 문.jpg
대행자]]
[[더스튼|
파일:화이트더스튼.png
더스튼]]
[[데먼스미스|
파일:마를 새기는 데먼스미스.png
데먼스미스]]
[[데몬(유희왕)|
파일:퍼페추얼 킹 데몬.jpg
데몬]]
[[데블리철|
파일:데블리철 캘리슬라임.jpg
데블리철]]
[[데스완구|
파일:크루엘 웨일.png
데스완구]]
[[데스티니 히어로|
파일: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png
데스티니 히어로]]
[[데스피아|
파일:비극의 데스피아안.png
데스피아]]
[[도도도|
파일:도도도 워리어.jpg
도도도]]
[[도레미코드|
파일:1024px-DoSolfachordCoolia-OW-2.png
도레미코드]]
[[드라이트론|
파일:MeteonisDrytron-MADU-EN-VG-artwork.png
드라이트론]]
[[드래곤메이드|
파일:드래곤메이드 하스키.jpg
드래곤메이드]]
[[드래그니티|
파일:드래그니티 나이트 가잘그.jpg
드래그니티]]
[[드래그마|
파일:드래그마 에클.jpg
드래그마]]
[[디아벨스타|
파일:흑마녀 디아벨스타.png
디아벨스타]]
[[디지털 버그|
파일:디지털 버그 라이노세버스.jpg
디지털 버그]]
||
[ㄹ]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라바르|
파일:라바르 염화산 시녀.jpg
라바르]]
[[라뷰린스|
파일:레이디 오브 더 라뷰린스.png
라뷰린스]]
[[라의 익신룡/서포트 카드|
파일:라의 익신룡1.jpg
라의 익신룡]]
[[라이트로드|
파일:서머너 루미나스.jpg
라이트로드]]
[[레드 데몬|
파일:레드 데몬즈 일러스트.jpg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유희왕)|
파일:크림즌 레조네이터.png
레조네이터]]
[[레프티레스|
파일:레프티레스 히드라.jpg
레프티레스]]
[[령사|
파일:Spirit Charmers.png
령사]]
[[령수|
파일:성령수기 칸나호크.jpg
령수]]
[[령신|
파일:암령신 오블미라지.jpg
령신]]
[[비크로이드|
파일:믹서로이드.jpg
로이드]]
[[로즈 드래곤|
파일:레드 로즈 드래곤.jpg
로즈 드래곤]]
[[룡검사|
파일:룡검사.png
룡검사]]
[[룡성|
파일:원룡성-보우텐코우.jpg
룡성]]
[[루닉|
파일:루닉의 날개 후긴.png
루닉]]
[[리브로맨서|
파일:Libromancer Geek Boy.jpg
리브로맨서]]
[[리추어|
파일:이비리추어 네레이마나스.png
리추어]]
||
[ㅁ]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마건|
파일:Clavkiys, the Magikey Skyblaster.jpg
마건]]
[[마계극단|
파일:마계극단 빅스타.png
마계극단]]
[[마굉신|
파일:마굉신 레이지온.png
마굉신]]
[[마그넷 워리어|
파일:엘렉트로 감마.png
마그넷 워리어]]
[[마기스토스|
파일:절화의 대현자 조로아.jpg
마기스토스]]
[[마나둠|
파일:마나둠 프라임하트.png
마나둠]]
[[마도(유희왕)|
파일:Spellbook Magician of Prophecy.png
마도서]]
[[마돌체|
파일:쇼코 아 라 모드.jpg
마돌체]]
[[마리스보라스|
파일:마리스보라스 스푼.png
마리스보라스]]
[[마린세스|
파일:마린세스스프링걸.jpg
마린세스]]
[[마술사(유희왕)|
파일:조현의 마술사.jpg
마술사]]
[[마스크드 히어로|
파일: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jpg
마스크드 히어로]]
[[마요괴|
파일:고드름의 마요괴 설녀.jpg
마요괴]]
[[마장전사|
파일:마장전사 반드래.png
마장전사]]
[[마제스펙터|
파일:마제스펙터 라쿤.jpg
마제스펙터]]
[[마탄환|
파일:마탄환의 사수 맥스.png
마탄환]]
[[매지션 걸|
파일:블매걸 4th 일러.png
매지션 걸]]
[[매직비스트|
파일:마스터케로베로스.jpg
매직비스트]]
[[머메일|
파일:머메일 메가로어비스.jpg
머메일]]
[[머시너즈|
파일:머시너즈 포트리스.jpg
머시너즈]]
[[머티리어크톨|
파일:머티리어크톨 기가드라.jpg
머티리어크톨]]
[[메가리스(유희왕)|
파일:메가리스 오피엘.jpg
메가리스]]
[[메르피|
파일:숲메르피.jpg
메르피]]
[[메멘토(유희왕)|
파일:명해합룡 메멘토랄 테쿠틀리카.png
메멘토]]
[[메타파이즈|
파일:메타파이즈 라그나로크.png
메타파이즈]]
[[메탈포제|
파일:스티에렌.jpg
메탈포제]]
[[명세계|
파일:명세계의 재 눌.jpg
명세계]]
[[모케모케(유희왕/카드군)|
파일:낙오된 모케모케.png
모케모케]]
[[몽마경|
파일:몽마경의 천마 네이로스.jpg
몽마경]]
[[묘지기(유희왕)|
파일:묘지기의 이단자.jpg
묘지기]]
[[무사신|
파일:무사신 야마토.jpg
무사신]]
[[무한기동|
파일:무한기동 트렌처.jpg
무한기동]]
[[문라이트(유희왕)|
파일:문라이트 카레이드 치크.jpg
문라이트]]
[[문장수|
파일:문장수 레오.jpg
문장수]]
[[뮤트리아|
파일:피험체 뮤트리아 M-05.jpg
뮤트리아]]
[[미계역|
파일:미계역의 재카로프.jpg
미계역]]
[[미래황 호프(유희왕/카드군)|
파일:미래황호프.jpg
미래황]]
[[미캉코|
파일:오오히메의 어무.png
미캉코]]
||
[ㅂ]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바다(유희왕)/서포트 카드|
파일:해룡신 리바이어던.png
바다]]
[[바렐(유희왕)|
파일:바렐로드 2nd일러.png
바렐]]
[[바렛(유희왕/카드군)|
파일:바렛 트레이서.jpg
바렛]]
[[바르모니카|
파일:바랄_고화질.png
바르모니카]]
[[바르바로스(유희왕)|
파일:수신왕 바르바로스.png
바르바로스]]
[[바바리안(유희왕)|
파일:바바리안 0호.jpg
바바리안]]
[[바운서(유희왕)|
파일:스트리크 바운서.png
바운서]]
[[바이론(유희왕)|
파일:바이론 오메가.jpg
바이론]]
[[방계(유희왕)|
파일:방계윤 비잠.jpg
방계]]
[[방해꾼|
파일:방해꾼 옐로.jpg
방해꾼]]
[[밸리언츠|
파일:Mamonaka the Vaylantz United.png
밸리언츠]]
[[뱀파이어(유희왕)|
파일:알담피르 뱀파이어 쉐리단.png
뱀파이어]]
[[버스터 블레이더(유희왕/카드군)|
파일:Buster Blader, the Dragon Destroyer.png
버스터 블레이더]]
[[버제스토마|
파일:버제스토마 디노미스쿠스.png
버제스토마]]
[[베다(유희왕)|
파일:베다=카란타.png
베다]]
[[베놈(유희왕)|
파일:베놈 서펜트.png
베놈]]
[[베어루크티|
파일:베어루크티 폴라리.jpg
베어루크티]]
[[벤데드|
파일:리벤데드 슬레이어.jpg
벤데드]]
[[벨즈|
파일:벨즈오피온.jpg
벨즈]]
[[보옥수|
파일:보옥수 사파이어 페가수스.jpg
보옥수]]
[[볼캐닉|
파일:볼캐닉 엠페러.png
볼캐닉]]
[[봄화정|
파일:모종과 안개의 봄화정.jpg
봄화정]]
[[엑조디아|
파일:엑조디아 더 포비든 원.jpg
봉인된 엑조디아]]
[[분보그|
파일:분보그001.png
분보그]]
[[불꽃성기사|
파일:유희왕_샤를마뉴_고화질.png
불꽃성기사]]
[[붉은 눈|
파일:붉은 눈의 흑룡.png
붉은 눈]]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
파일:블랙 매지션 3rd일러.webp
블랙 매지션]]
[[비서스=스타프로스트/서포트 카드|
파일:비서스=스타프로스트.png
비서스=스타프로스트]]
[[비스테드|
파일:비스테드 마그나무트.png
비스테드]]
[[비전 히어로|
파일:비전 히어로 인크리스.jpg
비전 히어로]]
[[비틀트루퍼|
파일:비틀트루퍼 암드 혼.png
비틀트루퍼]]
[[빙결계|
파일:용 트리슈라.jpg
빙결계]]
[[빙의장착|
파일:빙의 연계.png
빙의장착]]
[[빛의 황금궤/서포트 카드|
파일:파괴룡 간드라G.png
빛의 황금궤]]
||
[ㅅ]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사운드 워리어|사운드 워리어]]
[[사이바넷|
파일:사이바넷 마이닝.jpg
사이바넷]]
[[사이버(유희왕)|사이버]]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파일:사이버 드래곤 노바.jpg
사이버 드래곤]]
[[사이버 엔젤|
파일:사이버엔젤 벤텐.png
사이버 엔젤]]
[[사이버 다크|
파일:사이버 다크 드래곤.jpg
사이버 다크]]
[[사이퍼(유희왕)|
파일:사이퍼 윙.jpg
사이퍼]]
[[사일런트 매지션|
파일:침묵의 마술사.jpg
사일런트 매지션]]
[[사일런트 스워드맨|
파일:침묵의 검사.png
사일런트 스워드맨]]
[[삼라|삼라]]
[[상검|
파일:상검군사 용연.png
상검]]
[[새크리파이스(유희왕/카드군)|
파일:천년 새크리.jpg
새크리파이스]]
[[샐러맨그레이트|
파일: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png
샐러맨그레이트]]
[[생아발론|
파일:생아발론 드리아스.jpg
생아발론]]
[[샤크(유희왕)|
파일:바하무트 샤크.jpg
샤크]]
[[섀도르|
파일:엘섀도르 네피림.png
섀도르]]
[[서브테러|
파일:Subterror Guru-MADU-EN-VG-artwork.jpg
서브테러]]
[[섬도희|
파일:섬도희 레이.png
섬도희]]
[[성각|
파일:Hieratic Seal of the Heavenly Spheres.png
성각]]
[[성기사(유희왕)|
파일:성기사 아르토리우스.jpg
성기사]]
[[성유물(유희왕)|
파일:성유물-『성건』.png
성유물]]
[[성잔|
파일:성잔룡 임두크.jpg
성잔]]
[[세리온즈|
파일:Therions' "King" Regulus.png
세리온즈]]
[[세븐스(유희왕)|
파일:RUM 더 세븐스 원.jpg
세븐스]]
[[세이비어(유희왕)|
파일: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jpg
세이비어]]
[[세이크리드|
파일: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jpg
세이크리드]]
[[세피라|
파일:세피라 트라 그라마톤.png
세피라]]
[[센츄리온(유희왕)|
파일:센츄리온 프리메라.png
센츄리온]]
[[소환수(유희왕)|
파일:소환수 메르카바.jpg
소환수]]
[[수호룡(유희왕)|
파일:수호룡 피스티.jpg
수호룡]]
[[수호신관|
파일:수호신관 마하드.png
수호신관]]
[[순성|
파일:숙성 로가디언.png
순성]]
[[숲의 성령 에코|
파일:숲의 성령 에코.jpg
숲의 성령]]
[[숲의 성수|
파일:카르피포니카.png
숲의 성수]]
[[스네이크아이|
파일:스네이크아이즈 플랑베르쥬 드래곤.png
스네이크아이]]
[[스마일(유희왕)|
파일:스마일 월드.jpg
스마일]]
[[스케어클로|
파일:스케어클로 트라이히하트 일러.png
스케어클로]]
[[스크랩(유희왕)|
파일:스크랩 랩터.jpg
스크랩]]
[[스타더스트(유희왕)|
파일:스타더스트 2nd일러.jpg
스타더스트]]
[[스프라이트(유희왕)|
파일:스프라이트 블루.png
스프라이트]]
[[스프리건즈|
파일:스프리건즈 록키.png
스프리건즈]]
[[시계신|
파일:시계신 산다이온.jpg
시계신]]
[[시라누이(유희왕)|
파일:shiranui_spectralsword_by_omgitsjohannes_dd2rb4y-fullview.jpg
시라누이]]
[[시무르그(유희왕)|
파일:왕신조 시무르그.jpg
시무르그]]
[[심해(유희왕)|
파일:심해의 민스트렐.jpg
심해]]
[[십이수|
파일:십이수 모르모래트.jpg
십이수]]
[[싱크론|
파일:액셀싱크론.jpg
싱크론]]
[[쌍천|
파일:쌍천장 금강.jpg
쌍천]]
[[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
파일:초뇌룡 썬드.jpg
썬더 드래곤]]
||
[ㅇ]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아다마시아|
파일:아다마시아 리서처.png
아다마시아]]
[[아로마(유희왕)|
파일:아로마지 로즈마리.jpg
아로마]]
[[아르카나 포스|
파일:아르카나 포스 더 월드.png
아르카나 포스]]
[[아마조네스(유희왕)|
파일:아마조네스 프린세스.jpg
아마조네스]]
[[아머드 엑시즈|
파일:엑시즈 아머 토르피도.png
아머드 엑시즈]]
[[아모르파지|
파일:아모르파지 이리튬.png
아모르파지]]
[[아쿠아액트리스|
파일:아쿠아액트리스 테트라.jpg
아쿠아액트리스]]
[[아티팩트(유희왕)|
파일:아티팩트 모랄타.png
아티팩트]]
[[악마양|
파일:악마양 릴리스.png
악마양]]
[[안개 골짜기|
파일:안개 골짜기의 거신조.jpg
안개 골짜기]]
[[알버스의 낙윤/서포트 카드|
파일:알버스의 낙윤.jpg
알버스의 낙윤]]
[[암드 드래곤|
파일:암드 드래곤 썬더 LV10.png
암드 드래곤]]
[[암흑 기사 가이아(유희왕/카드군)|
파일:마방기사.png
암흑 기사 가이아]]
[[암흑계|
파일:용신왕 그라파.png
암흑계]]
[[앤틱 기어|
파일:앤틱 기어 박스.jpg
앤틱 기어]]
[[어메이즈먼트|
파일:Amazement Administrator Arlekino.png
어메이즈먼트]]
[[언체인드(유희왕)|
파일:언체인드쌍왕신.jpg
언체인드]]
[[얼루어 퀸|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AllureQueenLV7-TF04-EN-VG.jpg
얼루어 퀸]]
[[얼터가이스트|
파일:얼터가이스트 어드미니아.png
얼터가이스트]]
[[엄브럴|
파일:엄브럴 구울.png
엄브럴]]
[[에볼|
파일:에볼카이저 라기어.jpg
에볼]]
[[에스프릿|
파일:에스프릿 로드 언공작.jpg
에스프릿]]
[[에일리언(유희왕)|
파일:에일리언 마이티 프레임.jpg
에일리언]]
[[에지임프|
파일:에지임프 체인.jpg
에지임프]]
[[엑소시스터|
파일:엑소시스터 에리스.jpg
엑소시스터]]
[[엔디미온(유희왕)|
파일:창성마도왕.jpg
엔디미온]]
[[엘드리치(유희왕)|
파일:EldlichtheGoldenLord-MADU-EN-VG-artwork.png
엘드리치]]
[[엘리멘트세이버|
파일:엘리멘트세이버 위라드.jpg
엘리멘트세이버]]
[[엘리멘틀 히어로|
파일:에어맨 2nd일러.png
엘리멘틀 히어로]]
[[여섯 무사|
파일:진 여섯무사 키잔.jpg
여섯 무사]]
[[염성(유희왕)|
파일:입염성.png
염성]]
[[염왕|
파일: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png
염왕]]
[[오노마토|
파일:오노마토페어.jpg
오노마토]]
[[오드아이즈|
파일: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일러.png
오드아이즈]]
[[오르페골|
파일:Galatea, the Orcust Automaton.png
오르페골]]
[[오파츠(유희왕)|
파일:오파츠마추마크.jpg
오파츠]]
[[왈큐레(유희왕)|
파일:왈큐레 에르다.jpg
왈큐레]]
[[요선수|
파일:요선수 반강편.jpg
요선수]]
[[용기사 가이아/서포트 카드|
파일:Gaia the Magical Knight of Dragons.png
용기사 가이아]]
[[용사(유희왕)|
파일:deoylyt-0fed3c08-876b-4987-bfa8-694824582516.png
용사]]
[[운마물|
파일:운마물 터뷸런스.jpg
운마물]]
[[워크라이(유희왕)|워크라이]]
[[웜(유희왕)|
파일:웜제로.png
웜]]
[[위치크래프트(유희왕)|
파일:위치크 바이스마스터.png
위치크래프트]]
[[유벨(유희왕/카드군)|
파일: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png
유벨]]
[[유익환상수 키메라/서포트 카드|
파일:환상수왕 키메라.png
유익환상수 키메라]]
[[유토피아(유희왕)|
파일:윾토피아 2nd일러.jpg
유토피아]]
[[육화|
파일:TeardroptheRikkaQueen-MADU-EN-VG-artwork.png
육화]]
[[이그나이트|
파일:이그나이트 드래그노브.jpg
이그나이트]]
[[이블 히어로|
파일:이블 히어로 어더스터 골드.jpg
이블 히어로]]
[[이빌트윈|
파일:Evil★TwinsKisikilLilla-MADU-EN-VG-artwork.png
이빌트윈]]
[[인벨즈|
파일:인벨즈 그레즈.png
인벨즈]]
[[인잭터|
파일:인잭터 호넷.jpg
인잭터]]
[[인조인간(유희왕)|
파일:위협의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png
인조인간]]
[[인페르노이드|
파일:인페르노이드 데카트론.jpg
인페르노이드]]
[[인페르니티|
파일:인페르니티 데몬.jpg
인페르니티]]
[[일렉|
파일:일렉기린.png
일렉]]
||
[ㅈ]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자동기계(유희왕)|
파일:자동기계통 96 신크로.jpg
자동기계]]
[[재빠른|
파일:재빠른 비버.jpg
재빠른]]
[[잭나이츠|
파일:창궁의 잭나이츠.png
잭나이츠]]
[[저주받은 하인/서포트 카드|
파일:저주받은 하인 킹.png
저주받은 하인]]
[[전뇌계|
파일:전뇌계원 루루.jpg
전뇌계]]
[[전지맨|
파일:태양전지맨.png
전지맨]]
[[전황(유희왕)|
파일:전황의 덕 유현.jpg
전황]]
[[점술공주|
파일:성점술공주 타로레이.jpg
점술공주]]
[[점쟁이 마녀|
파일:점쟁이 마녀 히카리.jpg
점쟁이 마녀]]
[[정크(유희왕)|
파일:정크스피더.jpg
정크]]
[[제너레이드|
파일:포효의 하르.jpg
제너레이드]]
[[제넥스|
파일:제넥스 컨트롤러.jpg
제넥스]]
[[제알(유희왕/카드군)|
파일:제알 필드.jpg
제알]]
[[제왕(유희왕)|
파일:명 제왕.jpg
제왕]]
[[젬나이트|
파일:젬나이트마스터 다이아.jpg
젬나이트]]
[[주바바|
파일:주바바 나이트.jpg
주바바]]
[[주안(유희왕)|
파일:주안의 사도 사리엘.jpg
주안]]
[[죽도(유희왕)|
파일:황금빛 죽도.jpg
죽도]]
[[쥬락|
파일:쥬락 아우로.jpg
쥬락]]
[[지박(유희왕)|
파일:지박계례 지오글라샤=라볼라스.png
지박]]
[[지박신|
파일:지박신 위라코챠 라스카.jpg
지박신]]
[[진룡(유희왕)|
파일:진룡권사 다이너마이트K.png
진룡]]
||
[ㅊ]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참기(유희왕)|
파일:참기 서큘러.png
참기]]
[[천년(유희왕)|
파일:천년의 잠에서 깨어난 원시인.png
천년]]
[[천마신|
파일:천마신 시드헬즈.jpg
천마신]]
[[천배룡|
파일:찬환초룡 트랜센드 드라기온.png
천배룡]]
[[천위|
파일:천위룡 아슈나.png
천위]]
[[천후|
파일:홍천후 아르시엘.png
천후]]
[[첩자(유희왕)|
파일:전쟁의 첩자 메이젠.png
첩자]]
[[초량|
파일:초량기신왕.jpg
초량]]
[[초월룡|
파일:초월룡 메테오로스.png
초월룡]]
[[초중무사|
파일:초중천신 마스라오.png
초중무사]]
[[충혹마|
파일:세라의 충혹마.png
충혹마]]
||
[ㅋ]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카디언|
파일:카디언 억새.jpg
카디언]]
[[카오스 솔저(유희왕/카드군)|
파일:The Legendary Swordmaster Black Luster Soldier.png
카오스 솔저]]
[[코드 토커|코드 토커]]
[[코드브레이커(유희왕)|
파일:코드브레이커 바이러스스워드맨.jpg
코드브레이커]]
[[코아키메일|
파일:코아키메일 서플라이어.jpg
코아키메일]]
[[코쿤(유희왕)|
파일:코쿤 돌핀.jpg
코쿤]]
[[크로노다이버|
파일:시간돚거.jpg
크로노다이버]]
[[크롤러(유희왕)|
파일:엑스크롤러 뉴로고스.jpg
크롤러]]
[[크리보(유희왕/카드군)|
파일:크리보토큰.jpg
크리보]]
[[크리스트론|
파일:크리스트론 쿠온.jpg
크리스트론]]
[[크샤트리라|
파일: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png
크샤트리라]]
[[클리포트(유희왕)|
파일:클리포트툴.jpg
클리포트]]
||
[ㅌ]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타락천사(유희왕)|
파일:타락천사 이슈탐.jpg
타락천사]]
[[태엽(유희왕)|
파일:태엽마이티.jpg
태엽]]
[[테라나이트|
파일:테라나이트.jpg
테라나이트]]
[[토이(유희왕)|
파일:24878656.jpg
토이]]
[[토폴로직|
파일:토폴로직 폭탄드래곤.jpg
토폴로직]]
[[툰|
파일:툰 쌍둥이 자매 엘프.jpg
툰]]
[[트라미드|
파일:트라미드 스핑크스.jpg
트라미드]]
[[트라이브리게이드|
파일:트라게 키트.jpg
트라이브리게이드]]
[[트로이메어|
파일: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jpg
트로이메어]]
[[트릭스터(유희왕)|
파일:트릭스터 케로베인.jpg
트릭스터]]
[[티스티나|
파일:Crystal God Tistina.jpg
티스티나]]
[[티아라멘츠|
파일:티아라멘츠 카레이드하트.png
티아라멘츠]]
[[틴당글|
파일:아큐트 케로베로스.png
틴당글]]
||
[ㅍ]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파괴검|
파일:파괴검 드래곤버스터블레이드.jpg
파괴검]]
[[파괴수(유희왕)|
파일:해귀파괴수 가메시엘.jpg
파괴수]]
[[파라디온|
파일:아크로드 파라디온.jpg
파라디온]]
[[파샤스|
파일:천공성기사 아크파샤스.jpg
파샤스]]
[[파이어월(유희왕)|파이어월]]
[[패왕권룡|
파일:패왕권룡 다크브룸.png
패왕권룡]]
[[패왕룡 즈아크/서포트 카드|
파일:슈프림 킹 즈아크.jpg
패왕룡 즈아크]]
[[팬텀 나이츠|
파일:티어스케일.png
팬텀 나이츠]]
[[퍼니멀|
파일:퍼니멀 베어.png
퍼니멀]]
[[퍼핏(유희왕)|
파일:퍼핏 폰.jpg
퍼핏]]
[[페어리테일(유희왕)|
파일:페어리테일 백설.jpg
페어리테일]]
[[펭귄(유희왕)|
파일:뗑컨 용자.jpg
펭귄]]
[[포츈 레이디|
파일:포츈 레이디 에버리.jpg
포츈 레이디]]
[[포탄(유희왕)|
파일:화이트 포탄.jpg
포탄]]
[[포톤(유희왕)|
파일:포톤 오비탈.jpg
포톤]]
[[푸른 눈|
파일:푸른 눈의 백룡 3rd일러.webp
푸른 눈]]
[[퓨어리|
파일:아기 퓨어리.png
퓨어리]]
[[프랭키즈|
파일:프랭키즈 하우스버틀러.jpg
프랭키즈]]
[[프레데터 플랜츠|
파일:프레데터 플랜츠 썬듀 킨지.jpg
프레데터 플랜츠]]
[[프린세스 코롱|
파일:프린세스 코롱.jpg
프린세스 코롱]]
[[플런드롤|
파일:플런드롤 캡틴.png
플런드롤]]
[[플레임벨|
파일:플레임벨 울키사스.jpg
플레임벨]]
[[피안(유희왕)|
파일:피안의 악귀 그래바스니치.jpg
피안]]
||
[ㅎ]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하얀 숲|
파일:하얀 숲의 아스테랴.png
하얀 숲]]
[[해피(유희왕)|
파일:해피 채널러.jpg
해피]]
[[해황(유희왕)|
파일:해황룡 포세이도라.png
해황]]
[[헤이즈비스트|
파일:헤이즈비스트 바질리코크.jpg
헤이즈비스트]]
[[현세와 명계의 역전/서포트 카드|
파일:고첨병 켈벡.png
현세와 명계의 역전]]
[[호루스(유희왕)|
파일:호루스의 영광-임세티.png
호루스]]
[[호루스의 흑염룡|
파일:호루스의 흑염룡.png
호루스의 흑염룡]]
[[홀리 라이트닝|
파일:홀리라이트닝 북스.png
홀리 라이트닝]]
[[홀리나이츠|
파일:홀리나이츠 레이엘.jpg
홀리나이츠]]
[[화석(유희왕)|
파일:21225115.jpg
화석]]
[[화이트 아우라|
파일:화이트 아우라 웨일.jpg
화이트 아우라]]
[[화합야수|
파일:진화합야수 다이오키신.jpg
화합야수]]
[[삼환마|
파일:허무환영라쇼몽.png
환마]]
[[환상수|
파일:환상수 록리저드.jpg
환상수]]
[[환상수기|
파일:환상수기 드래고사크.jpg
환상수기]]
[[환주|
파일:환주의 음녀 엘레지.jpg
환주]]
[[환접의 자객|
파일:환접 호랑나비.png
환접의 자객]]
[[환황룡|
파일:환황룡 스파이럴.png
환황룡]]
[[후완다리즈|
파일:후완 로비나.png
후완다리즈]]
[[히로익|
파일:H-C 크레이브솔리시.png
히로익]]
[[히어로(유희왕)|
파일:Wake Up Your Elemental HERO.jpg
히어로]]
[[히스이(유희왕)|
파일:히스이테이 에지르 규미르.png
히스이]]
||
[A~Z, 특수문자]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nopad>
[[문서:/버스터|
파일:사이킥 리플렉터.jpg
/버스터]]
[[@이그니스터|[ruby(@,ruby=앳)]이그니스터]]
[[A 보옥수|
파일:A 보옥수 사파이어 페가수스.jpg
[ruby(A,ruby=어드밴스드)] 보옥수]]
[[ABC(유희왕)|
파일:ABC 드래곤버스터.png
ABC]]
[[A·O·J|
파일:AOJ 카타스톨.png
A·O·J]]
[[BF(유희왕)|
파일:BF 독풍의 시문.jpg
[ruby(BF,ruby=블랙 페더)]]]
[[BK(유희왕)|
파일:CNo.79 BK 장성의 카이사르.png
[ruby(BK,ruby=버닝나쿠라)]]]
[[B·F|
파일:B F 필중의 핀.jpg
[ruby(B·F,ruby=비 포스)]]]
[[C(체인)|
파일:체인 리페어러.jpg
[ruby(C,ruby=체인)]]]
[[디포머|
파일:디포머 텔레폰.png
[ruby(D,ruby=디포머)]]]
[[DD(유희왕/카드군)|
파일:사치왕.png
[ruby(DD,ruby=디디)]]]
[[Em(엔터메이지)|
파일:Em 트래피즈 매지션.jpg
[ruby(Em,ruby=엔터메이지)]]]
[[EM(엔터메이트)|
파일:엔터메이트 도크로배트 조까.jpg
[ruby(EM,ruby=엔터메이트)]]]
[[F.A.|
파일:FA 라이트닝마스터.png
[ruby(F.A.,ruby=포뮬러 애슬리트)]]]
[[G골렘|
파일:G골렘 인밸리드 돌멘.jpg
G골렘]]
[[GP(유희왕)|
파일:골드 프라이드 임시1.jpg
[ruby(GP,ruby=골드 프라이드)]]]
[[Kozmo|
파일:코즈모 팜걸 도롯셀.jpg
[ruby(Kozmo,ruby=코즈모)]]]
[[LL|
파일:리사이트 스털링.png
[ruby(LL,ruby=리리컬 루스키니아)]]]
[[No.|
파일:넘버즈 아카이브.jpg
No.]]
[[P.U.N.K.|
파일:펑크 세아민.png
[ruby(P.U.N.K.,ruby=펑크)]]]
[[PSY프레임|
파일:싸이프레임 드라이버.jpg
[ruby(PSY,ruby=싸이)]프레임]]
[[RR(유희왕)|
파일:포스 스트릭스.jpg
[ruby(RR,ruby=레이드 랩터즈)]]]
[[RUM|
파일:RUM 바리언즈 포스.jpg
[ruby(RUM,ruby=랭크 업 매직)]]]
[[R-ACE|
파일:레스큐 에이스 하이드런트.png
[ruby(R-ACE,ruby=레스큐 에이스)]]]
[[SD 로보|
파일:SD 로보 엘레판.png
[ruby(SD,ruby=슈퍼 디펜스)] 로보]]
[[Sin(유희왕)|
파일:Sin 패러다임 드래곤.jpg
[ruby(Sin,ruby=신)]]]
[[SPYRAL|
파일:스파이랄 슈퍼 에이전트 댄디.jpg
[ruby(SPYRAL,ruby=스파이랄)]]]
[[SR(유희왕)|
파일:스피드로이드 타케톰보그.jpg
[ruby(SR,ruby=스피드로이드)]]]
[[S-Force|
파일:S-Force 저스티파이.jpg
[ruby(S-Force,ruby=시큐리티 포스)]]]
[[TG(유희왕)|
파일:TG 할버드 캐논.jpg
[ruby(TG,ruby=테크지너스)]]]
[[U.A.|
파일:U.A. 미드필더 판타지스타.jpg
[ruby(U.A.,ruby=울트라 애슬리트)]]]
[[VS(유희왕)|
파일:뱅키시 소울 라젠.png
[ruby(VS,ruby=뱅키시 소울)]]]
[[VWXYZ|
파일:VWXYZ 드래곤 캐터펄트 캐논.jpg
VWXYZ]]
[[WW(유희왕)|
파일:WW 블리자드벨.jpg
[ruby(WW,ruby=윈드 위치)]]]
[[X-세이버|
파일:XX세이버 가톰즈.jpg
X-세이버]]
[[ZW|
파일:zw드래고닉.jpg
[ruby(ZW,ruby=제알 웨폰)]]]
||
||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 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잭 아틀라스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및 서포트
레드 데몬 · 레드 데몬즈 드래곤 · 세이비어 · 레조네이터 · 데몬 · 피스 골렘 · XX왕 · 레드
서브 에이스 에이스 몬스터
5D's
멀티 피스 골렘
익스플로드 윙 드래곤
데몬 카오스 킹
크림즌 블레이더
ARC-V
레드 와이반
코믹스
천형왕 블랙 하이랜더
5D's
레드 데몬즈 드래곤
ARC-V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
코믹스
염마룡 레드 데몬
OCG
스카레드 데몬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5D's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
ARC-V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
코믹스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
염마룡 레드 데몬 베리얼
5D's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
코믹스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OCG
스카레드 슈퍼노바 드래곤

}}}}}}}}} ||
데몬
한국어판 명칭 데몬
일어판 명칭 デーモン
영어판 명칭 Archfiend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 중심 악마족 중심 일반
효과
특수 소환
리버스

듀얼
의식
융합
싱크로
엑시즈
펜듈럼
링크

1. 개요2. 설명
2.1. 원작에서
3. 일반 몬스터4. 효과 몬스터5. 효과 몬스터 (듀얼)6. 효과 몬스터 (펜듈럼)7. 의식 몬스터8. 융합 몬스터9. 싱크로 몬스터10. 엑시즈 몬스터11. 링크 몬스터12. 마법 카드13. 함정 카드14. 서포트 카드15. OCG화 되지 않은 카드16. 기타
16.1. TCG의 번역명 문제16.2. 한국의 번역명 문제
1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유희왕/OCG의 카드군.

2. 설명

데몬즈 미러, 데몬 소환, 데몬 비버 등 이전에도 '데몬'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가 존재했으나 텍스트적으로 카드군으로 묶인 건 암흑의 위협 이후이다. 그 뒤로도 카드군으로서의 데몬과 별 관계 없는 데몬이 나왔다가 먼 훗날 8기에서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관련 카드가 대거 등장했다.

대부분은 어둠 속성의 악마족이지만, 데몬이라는 이름만 들어가면 그냥 편입되기 때문에 아닌 카드들도 많다. 각각의 시너지가 없어 보이는 카드들이 많긴 하나 트릭 데몬의 존재덕에 종족, 속성이 뭐든 간에 이름에 데몬만 들어가면 닥치고 덱에 넣는 것이 가능하다.

상당히 역사가 오래된 카드군으로, 카드군 지정 이전이지만 유희왕 최초의 카드들이 수록된 Vol.1에서 부터 데몬 비버 데몬즈 미러가 등장했다. 그 이후로도 1기에서 10기까지 한 번도 빠짐없이 데몬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가 하나씩 나오는 등 카드군에 속한 카드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유희왕의 역사와 함께 걷고 있다. 다만 대개는 데몬이라는 이름만 붙어있을 뿐 데몬 자체를 지원하는 서포트는 암흑의 위협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나왔다.

하위 카드군으로 레드 데몬이 있다. 사용자는 전부 잭 아틀라스. 카드군으로 따로 묶인 것은 아니나, 컨셉상으로 묶이는 하위 카드군으로 체스 데몬도 존재한다.

데몬 강림 출시로 일반, 효과, 의식, 융합, 싱크로, 엑시즈, 펜듈럼, 링크 총 8가지 몬스터 카테고리가 모두 존재하는 최초의 카드군이 됐다. 이외에도 듀얼 툰, 특수 소환 카테고리도 존재하여, 카테고리 하나만큼은 많은 카드군이다.

2.1. 원작에서

원작/애니 사용자가 가장 많은 카드군이기도 하다.

그 외 오모테우라 토쿠노스케의 카드를 삥 뜯은 깡패가 복수당하면서 날아갈 때 데몬 카드들이 함께 흩날려진다.

물론 이들이 사이좋게 돌려 쓴 것은 아니다. 가장 많이 사용한 것은 역시 레드 데몬+기타 데몬 컨셉의 카드군을 사용한 잭 아틀라스와 체스 '데몬' 컨셉의 카드군을 사용한 타이탄. 하지만 그 외에도 선/악역, 성별, 시리즈, 주조연 여부를 가리지 않고 정말 많이 쓰였다. 덕분에 DM~VRAINS까지 한 시즌도 빠지지 않고 개근했다. 어찌 보면 진정한 의미로 시공을 초월한 카드군.

3. 일반 몬스터

3.1. 레벨 2

3.1.1. 데몬 비버

3.1.2. 데몬즈 미러

3.2. 레벨 4

3.2.1. 데몬 솔저

3.3. 레벨 6

3.3.1. 데몬 소환

3.3.2. 탈와르 데몬

4. 효과 몬스터

4.1. 레벨 2

4.1.1. 헬폰 데몬

4.2. 레벨 3

4.2.1. 데몬 테이머

4.2.2. 다크 비숍 데몬

4.2.3. 데스룩 데몬

4.2.4. 트릭 데몬

파일:トリック・デーモン.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4295_1.jp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트릭 데몬,
일어판 명칭=トリック・デーモン,
영어판 명칭=Archfiend Heiress,
레벨=3,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0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또는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트릭 데몬" 이외의 "데몬"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등장한 데몬 몬스터. 효과나 전투에 의해 묘지로 보내지면 트릭 데몬 이외의 데몬 카드를 서치하는 유발효과를 가졌다.

몬스터 뿐만 아니라 마법, 함정 카드도 서치할 수 있어 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이나 데몬의 포효 등은 물론 데몬의 직접적인 지원 카드가 아닌 나이트메어 데몬즈 데몬의 선고 등도 서치할 수 있다. 데몬 테마의 카드풀 자체는 넓은 편이기 때문에 데몬 관련 효과를 가진 데몬들을 주축으로 사용하는 데몬덱뿐만 아니라 다른 덱에서 사용되는 데몬 카드를 서치할 수도 있다. 가령, 데몬의 선고의 경우 천재지변 컨트롤, 삼라 등에서, 인페르니티 데몬의 경우 인페르니티 덱에서, 트랜스 데몬의 경우 암흑계에서, 익센트릭 데몬의 경우 펜듈럼 주축 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서치 발동 조건은 효과에 의해 묘지로 보내지거나 전투에 의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이다. 경우 유발이기 때문에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다. 어둠 속성 악마족이기 때문에 효과 발동 조건을 만족하기는 쉽다. 종말의 기사, 다크 그레퍼 등 어둠 속성 지원 카드에는 덤핑 수단이 많고, 악마족이므로 마주사이의 전사의 효과로 덤핑가능하다. 데몬 카드 중에서도 데몬의 장성, 트랜스 데몬 등의 카드로 효과 발동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데몬의 포효의 경우 소생 시킨 후 자괴시키는 방법으로 만족할 수 있다. 효과에 의해 묘지로 보내져야하는 만큼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질 경우 효과 발동이 되지 않는다는 점은 주의해야한다.

레벨 3 악마족인 만큼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의 소환 범위에도 들어간다. 다만 위에서 서술했듯 코스트로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경우 효과를 발동할 수 없기 때문에 가이드로 바로 트릭 데몬을 가져온 뒤 엑시즈해도 효과를 쓰려면 발조기뢰 태엽마인, No.49 비조 포츈츈,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과 같이 효과로 소재를 제거하는 카드밖에 사용할 수 없다. 다만 트릭 데몬을 직접 부르는 것이 아니라 마주사이의 전사를 소환하면 마주사이의 경우 그냥 묘지로 보내지면 덱에서 악마족 하나를 덤핑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는 해결된다. 그 외에도 가이드와 장성이 같이 잡히면 팰리스를 서치함과 동시에 6랭으로 이어나갈 수 있어 가이드와의 궁합이 상당히 좋다.

영어판 이름의 의미가 꽤 달라졌는데 Heiress라는 것은 '여성 상속자'라는 뜻이다. 헬 임프레스 데몬과 닮은 생김새를 볼 때 앞으로 그녀의 자리를 이어받을 딸이라든가, 임프레스 데몬이 여황의 자리를 물려받기 전의 어린 시절의 모습일 가능성이 높다.

당연한 얘기지만 해외판 일러스트에서는 탄압당했다. 간당간당한 바지의 길이가 늘어났으며, 엉덩이 라인를 희미하게 지웠다. 또한 우측 상단의 소용돌이 이펙트도 삭제되었다. 이 이펙트는 TCG 선행발매 카드인 헬 임프레스 데몬에도 존재하는 것인데 왜 지운건지는 알 수 없다. 그런데 엄연히 악마족인데도 뿔은 탄압당하지 않았다.

리메이크 카드로 익센트릭 데몬이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JOTL-KR029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1 AE03-KR006 슈퍼 레어 한국
JUDGMENT OF THE LIGHT JOTL-JP029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Judgment of the Light JOTL-EN029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4.3. 레벨 4

4.3.1. 데몬 이터

4.3.2. 데몬의 기병

파일:デーモンの騎兵.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데몬의 기병,
일어판명칭=デーモンの<ruby>騎兵<rp>(</rp><rt>きへい</rt><rp>)</rp></ruby>,
영어판명칭=Archfiend Cavalry,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900, 수비력=0,
효과1=①: 필드의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에 보내졌을 경우\, "데몬의 기병" 이외의 자신 묘지의 "데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에 공격할 수 없다.)]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추가된 데몬 서포트 카드.

하급 어태커 정도로는 쓸만한 공격력을 지녔고 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이 깔려있으면 공격력이 2400까지 올라간다. 또 수비력이 0이라 암약의 드루이드 드류스, 가면레온으로 소생시켜 엑시즈 소환 또는 싱크로 소환으로 연계할 수 있고 악몽 재발로도 회수가 가능하다.

트릭 데몬이 서치를 한다면, 이 카드는 소생 효과. 다른 점은 이 카드는 필드 위에 있어야 하고, 전투 파괴에는 대응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좀 더 빡빡한 편. 전율의 흉황-제네시스 데몬, 헬 임프레스 데몬같은 강력한 카드들을 묘지에 묻어둔 뒤 이 카드로 소생시키는 것으로 고레벨 데몬들을 손쉽게 소환할 수 있다. 특히 전율의 흉황-제네시스 데몬의 경우에는 그냥 소환하면 능력치가 절반이 돼서 약해지지만 제네시스 데몬을 묘지에 묻고 소생시킨 뒤 묘지에 있는 이 카드를 탄환으로 카드 1장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런식 으로 고레벨 데몬들이 툭툭 튀어나올 수 있는 대신 이 턴 공격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가 있다. 그나마 데몬의 포효를 상대 턴 엔드페이즈에 써서 터트리면 상쇄할 수는 있다.

효과를 써먹을려면 상대가 일부러 파괴시킬 일은 거의 없을 것이고, 이쪽에서 직접 터트리는 방법을 써야 한다. 가장 궁합이 좋은 카드는 같은 데몬 카드군인 데몬의 장성이고, 데몬의 포효같은 경우에는 터트릴 수는 있으나 타이밍을 잘 조절해야 한다. 악마족이니 헤이트 버스터도 있고,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 임의효과인 만큼 제너레이션 체인지로 파괴해 효과를 쓰면서 패벌이도 할 수 있다. 다만, 이 카드의 효과 하나만 바라보고 이러한 카드들을 넣는건 말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덱을 잘 조율할 필요가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JOTL-KR030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JUDGMENT OF THE LIGHT JOTL-JP030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Judgment of the Light JOTL-EN030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3.3. 랜서 데몬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62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랜서 데몬,
일어판명칭= ランサー・デーモン ,
영어판명칭=Lancer Archfiend,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600, 수비력=1400,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의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한 자신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에서 그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관통 부여 효과는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유발 효과이며, 그 한 번의 공격에만 적용된다. 다른 몬스터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사용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관통 효과 이상의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자신에게도 관통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훗날 나온 EM 락다운의 사실상 하위 호환 효과에 가깝다. 데몬 카드군 소속이므로, 트릭 데몬으로 서치하는 등 서포트를 받을 수 있지만 단순 관통 효과는 굳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데몬 덱에서도 채용되지 않는다.

같은 데몬인 매드 데몬과 비슷한 카드지만 매드 데몬의 경우 수비력이 0이라 가면레온 같은 카드와 시너지가 있고 공격력이 조금 높으나 상대 턴에는 그냥 샌드백이나 마찬가지인데다 자기만 관통 효과를 쓸 수 있기 때문에 안정성은 랜서 데몬이 좀 더 좋다.

원작에서는 잭 아틀라스 맥스 전과 팀 태양 전에 사용했다. 레드 데몬즈 드래곤에게 관통 효과를 부여하여 서로 각각 전투를 하여 손 잡는 마인과 저글러를 파괴하였다. 겉으로는 굳건한 수비 대열을 함락시켜 상황을 유리하게 만든 것으로 보였지만, 사실 팀 태양에게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진정한 전략이 따로 있었기에 그 전략의 핵심이 되는 카드를 눈치채지 못했고, 결국 이게 스노우볼이 되어 의도치 않게 역적이 되는 계기를 제공하고 말았다.

여담으로 일러스트의 자세는 라이노타우르스와 일치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STBL-KR009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STARSTRIKE BLAST STBL-JP009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STARSTRIKE BLAST STBL-EN009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4.3.4. 매드 데몬

파일:card10002204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매드 데몬,
일어판 명칭=マッド・デーモン,
영어판 명칭=Mad Archfiend,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800, 수비력=0,
효과1=①: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공격 표시의 이 카드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수비 표시로 한다.)]
배의 뼈를 으스러뜨려 방출하며 공격하는 모습은 그야말로 광기다. 마음에 드는 해골은 소중한 수집품으로 남기는 것 같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 플레이버 텍스트

①의 효과는 관통 능력을 갖는 지속 효과.

②의 효과는 수비 표시로 변경되는 강제 발동형 유발 효과. 공격 선언 뿐만 아니라 리플레이에 의해 공격 대상으로 지정되었을 경우에도 효과가 발동한다. 단순히 관통 능력과 능력치만 본다면, 랜스 린드블룸 스피어 드래곤이 더 뛰어나다. 이 쪽은 속성과 종족에서 차별화. 데몬 카드군 소속이며 같은 카드군에 비슷하게 관통 효과를 가진 랜서 데몬이 존재한다. 하급 타점이 괜찮고 수비력이 0인 점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 데몬의 기병의 하위 호환이 된다.

유희왕 5D's에서는 잭 아틀라스가 사용. 여기서는 관통 효과만 있는 것으로 나오며, 과거 후도 유세이와의 듀얼 중에는 자신을 공격하는 정크 워리어 어둠의 저주에 걸려 약체화되자 반격하여 유세이를 패배시키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작중 후도 유세이아의 1차전 듀얼에서도 맨 처음 등장했으나, 공격한 다음에 정크 워리어에게 전투로 당해버렸다. 후엔 잭이 트윈 브레이커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완전히 묻힌 듯 싶었으나 62화때 다시 등장. 76화에서도 등장했지만, 잭이 선공에 이 녀석을 소환하는 멍청한 짓을 저지르는 바람에 나오자마자 소심 모드인 상태에서 관통 데미지를 맞고 폭살.

공격명은 '본 스플래시(ボーン・スプラッシュ / Bone Splash)'. 가슴의 입안에 있는 해골을 깨물어서 박살낸뒤 날카로운 조각을 날린다.

MAD에서는 이 녀석의 이름을 말하는 부분을 따와서 잭이 'MAD이기 때문이다!' '킹의 듀얼은 MAD 소재가 아니면 안 된다!' 같은 대사를 하게 만든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에선 수비 표시로 놔두면 자기가 수비력 0짜리라 누구한테 맞아도 한방에 죽는다는걸 아는지 그 자리에 주저않고 두 손으로 머리를 감싸쥐며 벌벌 떤다.(...)
수록 시리즈
2008-07-19 |
[[일본|]][[틀:국기|]][[틀:국기|]] CSOC-JP003 | CROSSROADS OF CHAOS
2008-09-22 |
[[일본|]][[틀:국기|]][[틀:국기|]] DT03-JP002 | デュエルターミナル 「反撃のジャスティス!!」
2015-03-21 |
[[일본|]][[틀:국기|]][[틀:국기|]] VS15-JPD08 | デュエリストエントリーデッキVS - ダークレギオン -
2008-11-18 |
[[미국|]][[틀:국기|]][[틀:국기|]] CSOC-EN003 | CROSSROADS OF CHAOS
2010-05-25 |
[[미국|]][[틀:국기|]][[틀:국기|]] DT02-EN002 | DUEL TERMINAL 2
2015-05-28 |
[[미국|]][[틀:국기|]][[틀:국기|]] YS15-END06 | 2-PLAYER STARTER DECK YUYA & DECLAN (UK)
2015-05-29 |
[[미국|]][[틀:국기|]][[틀:국기|]] YS15-ENL08 | STARTER DECK DARK LEGION (US)
2009-03-05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CSOC-KR003 | 혼돈의 교차
2015-07-11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VS15-KRD08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 다크 레기온

4.3.5. 사이버 데몬

4.3.6. 인터셉트 데몬

파일:インターセプト・デーモ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인터셉트 데몬,
일어판명칭=インターセプト・デーモン,
영어판명칭=Archfiend Interceptor,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400, 수비력=1600,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한다(이 효과는 이 카드가 자신 필드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듀얼링크스
250 포인트 데미지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효과 데미지를 주는 강제 유발 효과를 가졌다. 인터셉트 데몬 자신이 공격받지 않더라도 발동하고 대상을 지정하지 않으며 공격 선언시이므로 발동 타이밍은 배틀 스탭이다. 참고로 공격 선언 후 리플레이가 발생했을 경우 공격 선언은 이미 이루어졌으므로 다시 공격 대상을 지정한다 하더라도 인터셉트 데몬의 효과가 발동하는 것은 아니다.

강제 효과이므로 조건이 맞는다면 반드시 발동한다. 효과 발동과 처리 시에 앞면 공격 표시로 존재해야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앞면 또는 뒷면 수비 표시가 되거나 필드에서 벗어날 경우 효과가 처리되지 않는다. 만약 효과 발동에 체인하여 강제종료 등의 효과에 의해 배틀 페이즈가 종료될 경우에도 데미지는 줄 수 있다.

성능은 미묘하다.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이 낮은 편이라 부서지기 쉽고, 데미지 양도 적다. 사실상 한 번밖에 쓰기 어렵다. 방해꾼 트리오, 배틀매니아등의 카드와 함께 콤보로 쓰지 않는 한 사용할 일은 별로 없을 듯. 아니면 고철의 허수아비, 네크로 가드너로 보호해주던가.

원작 사용자는 잭 아틀라스. 첫번째는 시드와의 듀얼에서 사용했으나, 함정 카드 플렌더 데코이의 효과로 되려 강탈당해서 시드가 유용하게 사용한 후 컴뱃 휠의 싱크로 소재로 써버렸다. 두번째는 가짜 잭이 사용. 잭에게 효과 데미지를 입혔으나,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앱솔루트 파워포스 쳐맞고 전사. 두 번 다 어찌된게 본인이 효과를 쓴 적은 없고, 둘 다 상대가 사용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빛나는 어둠 TSHD-KR007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 TSHD-JP007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THE SHINING DARKNESS TSHD-EN007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4.3.7. 인페르니티 데몬

4.3.8. 제너럴 데몬

4.3.9. 섀도우 나이트 데몬

4.3.10. 인페르노 퀸 데몬

4.3.11. 제노사이드킹 데몬

4.3.12. 트랜스 데몬

4.3.13. 본 데몬

파일:ボーン・デーモ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본 데몬,
일어판 명칭=ボーン・デーモン,
영어판 명칭=Bone Archfiend,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8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패 / 필드의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드래곤족 /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악마족 튜너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대상 몬스터의 레벨을 1개 올리거나 내린다.)]

왕자의 고동에 등장한 매드 데몬의 리메이크판 카드. 일러스트는 원본이 언데드화라도 된 것처럼 뼈만 남았고, 능력치도 원본과 다 같다. 대신 비트 다운에 특화된 효과였던 오리지널과는 다르게 효과는 완전히 다르게 뜯어고쳐져, 레드 데몬 계열 몬스터의 소환에 특화된 효과로 변경되었다.

①의 효과는 패 / 필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레드 데몬 덱의 단점 중 하나는 비튜너의 지속적인 수급 방법이 부족하다는 것인데, 이 카드는 소생 효과를 지녀 이 단점을 크게 해소해준다. 소환 디메리트는 레드 데몬즈 드래곤 지원 카드에서 흔하기에 큰 문제가 아니지만, 코스트로 패 / 필드에서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내야 하는데 이는 스카레드 레인처럼 재활용 가능한 카드나, 위대한 혼, 스카레드 패밀리어, 풍래왕 와일드 와인드[4], 비전 레조네이터처럼 묘지의 효과를 써먹을 수 있는 카드를 보내자. 살로니르를 보낼 경우 더 비스테드 루벨리온을 묻으면서 고점을 높이는 전개를 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악마족 튜너 1장을 패 /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레벨을 1만큼 조정해주는 기동 효과이다. 잭이 자주 했던 5+3조합을 인식한 효과로 레벨이 안 맞아 원하는 싱크로 몬스터를 못 부르는 상황을 줄여준다. 또한 덱에서 악마족 튜너를 한 장 묘지로 덤핑할 수 있어 이 효과로 필요한 레조네이터 몬스터를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레벨을 합계 6으로 조정하여 싱크로 소환으로 이어가 레드 라이징 드래곤 등의 소생 효과로 필드에 부를 수 있다. 보통 크림즌을 묻고 라이징-크림즌을 연계하는 식으로 사용하며, 비상시에는 비전을 묻고 크림즌 헬가이아같은 서포트 마법 / 함정을 가져오거나 집애의 우발루프를 묻어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의 견제 효과에 필요한 제외 자원을 확보하기도 한다. 우수한 덤핑 효과지만 피안의 흑천사 케루비니, 참기 서큘러 등의 요즘 트렌드와 달리 덤핑이 코스트가 아닌 기동 효과기 때문에 우라라, 무한포영 등 범용 패 트랩에 취약한 것이 단점.

이름의 유래는 매드 데몬의 공격명인 " 스플래시"에 "매드 데몬"의 카드명의 데몬을 붙인 듯 하다.

4.3.14. 라이트로드 데몬 바이스

4.4. 레벨 5

4.4.1. 레서 데몬

4.4.2. 미스트 데몬

4.5. 레벨 6

4.5.1. 데몬의 거신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939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데몬의 거신,
일어판명칭=デーモンの巨神,
영어판명칭=Archfiend Giant,
몬스터=, 효과=,
레벨=6,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400, 수비력=1600,
효과1=①: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500 LP를 지불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데몬"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TCG판 섀도우 스펙터즈에서 추가 수록된 데몬. 모습을 보면 프리즌 퀸 데몬의 리메이크인 듯 하지만 효과도 전혀 다르고 능력치나 레벨은 더 낮아져 있다.

첫번째 효과는 태엽 마냥 필드 위에서 1번만 사용 가능한 효과 내성, 그리고 두번째 효과는 효과파괴로 묘지로 보내지면 패의 데몬을 특수소환하는 효과이다.

레벨이 6이라는 점, 효과 파괴에 대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데몬의 장성과의 연계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또한, 데몬의 포효로 소생시키면 내성 효과를 이용해 엔드 페이즈시 자괴를 피할 수도 있다. 아니면 그냥 파괴시켜서 패의 강력한 데몬들, 가령 전율의 흉황-제네시스 데몬이나 헬 임프레스 데몬 등을 소환할 수도 있다.

하지만 패의 데몬을 소환한다는 점에서 패소모가 커질 수도 있고, 이런 용도로 쓴다면 차라리 데몬을 묘지에서 소환하는 데몬의 기병도 있는데다 별다른 자체 소환 능력이 없는 상급이라서 제네시스 데몬이나 데몬의 장성과는 달리 패에 잡히면 말릴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문제. 위에 서술한 데몬의 포효와의 콤보도 헬 임프레스 데몬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덕분에 데몬덱에서의 활용도는 다른 경쟁자가 많아서 별로 좋지 못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EXTRA PACK -나이츠 오브 오더- EP14-KR014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EXTRA PACK -KNIGHTS OF ORDER- EP14-JP014 노멀 일본 일본 최초수록
Shadow Specters SHSP-EN083 레어 미국 세계 최초수록

4.5.2. 데몬의 장성

4.5.3. 신뢰의 마왕-스컬 데몬

4.5.4. 암흑 마족 길퍼 데몬

4.5.5. 툰 데몬

4.5.6. 버서크 데몬

파일:バーサーク・デーモ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버서크 데몬,
일어판 명칭=バーサーク・デーモン,
영어판 명칭=Berserk Archfiend,
레벨=6,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0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악마족 몬스터를 포함하는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대상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그 수만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다음 자신 턴의 종료시까지\, 대상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합계만큼 올린다.)]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등장한 신규 데몬.

1의 효과는 악마족 몬스터를 포함하는 자신의 몬스터를 2장까지 대상으로 지정하고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 후 대상 몬스터를 파괴하는 효과. 데몬의 장성과 마찬가지로 데몬의 기병이나 트릭 데몬 등 파괴되면 이득을 보는 몬스터를 파괴하는 것이 기본적인 사용법이다. 마침 둘의 레벨도 똑같이 6이기에 랭크 6 엑시즈 소환에 쓰는 것도 가능하다. 팬더모니엄-악마의 소굴-이 깔려있으면 파괴한 몬스터보다 레벨이 낮은 데몬을 서치하는 것도 가능.

2의 효과는 1의 효과로 파괴한 몬스터의 수만큼 상대 몬스터를 지정하고 그 공격력의 합계만큼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 고타점의 몬스터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해주며 2장을 파괴하고 나왔다면 꽤 높은 수치를 얻어 게임을 끝낼 수도 있다. 다음 자신 턴 종료시까지 유지되기에 세 턴까지는 고타점의 몬스터로 활용 가능.

전체적으로 데몬을 서포트 하는 효과를 들고 나왔으며 같은 팩의 커버인 유벨과도 같이 쓰는 것이 가능하다. 유벨을 파괴하고 나와 공격력을 올린 후 유벨의 다음 단계를 불러오는 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23-10-28 |
[[일본|]][[틀:국기|]][[틀:국기|]] PHNI-JP027 | ファントム・ナイトメア [ PHANTOM NIGHTMARE ]
2023-12-02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PHNI-KR027 | 팬텀 나이트메어
2024-02-09 |
[[미국|]][[틀:국기|]][[틀:국기|]] PHNI-EN027 | PHANTOM NIGHTMARE

4.5.7. 데몬 광래

4.6. 레벨 7

4.6.1. 라뷰린스 데몬

4.7. 레벨 8

4.7.1. 전율의 흉황-제네시스 데몬

4.7.2. 프리즌 퀸 데몬

4.7.3. 헬 임프레스 데몬

4.8. 레벨 9

4.8.1. 디저스터 데몬

4.9. 레벨 10

4.9.1. 레드 데몬즈 드래곤/버스터

5. 효과 몬스터 (듀얼)

5.1. 레벨 6

5.1.1.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

6. 효과 몬스터 (펜듈럼)

6.1. 레벨 3

6.1.1. 익센트릭 데몬

7. 의식 몬스터

7.1. 레벨 6

7.1.1. 데몬 강림

8. 융합 몬스터

8.1. 레벨 5

8.1.1. 데스 데몬 드래곤

8.2. 레벨 6

8.2.1. 데몬 현현

8.3. 레벨 9

8.3.1. 블랙 데몬즈 드래곤

8.3.2.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

9. 싱크로 몬스터

9.1. 레벨 6

9.1.1. 데몬 초래

9.1.2. 언데드 스컬 데몬

9.2. 레벨 7

9.2.1. 데몬 카오스 킹

9.2.2. 스크랩 데스데몬

9.3. 레벨 8

9.3.1. 레드 데몬즈 드래곤

9.3.2. 레드 데몬즈 드래곤 스카라이트

9.3.3. 염마룡 레드 데몬

9.3.4. 멘탈스피어 데몬

9.3.5. 카오스 데몬-혼돈의 마신-

9.3.6. 스카레드 데몬

9.4. 레벨 9

9.4.1.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

9.4.2. 멘탈 오버 데몬

9.5. 레벨 10

9.5.1. 레드 데몬즈 드래곤 타이란트

9.5.2. 염마룡 레드 데몬 베리얼

9.6. 레벨 12

9.6.1.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10. 엑시즈 몬스터

10.1. 랭크 5

10.1.1. CNo.102 다크 라이트닝 노블 데몬

10.2. 랭크 6

10.2.1. 데몬 초월

11. 링크 몬스터

11.1. 링크 2

11.1.1. 퍼페추얼 킹 데몬

11.2. 링크 3

11.2.1. 벡터 스케어 데몬

11.3. 링크 4

11.3.1. 링크메일 데몬

12. 마법 카드

12.1. 일반 마법

12.1.1. 데몬의 선고

12.2. 장착 마법

12.2.1. 데몬과의 거래

12.3. 장착 마법

12.3.1. 검투수의 투기 데몬즈 실드

12.3.2. 데몬의 도끼

12.3.3. 데몬의 지팡이

12.4. 필드 마법

12.4.1. 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60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
일어판명칭=<ruby>伏魔殿<rp>(</rp><rt>デーモンパレス</rt><rp>)</rp></ruby>-<ruby>悪魔<rp>(</rp><rt>あくま</rt><rp>)</rp></ruby>の<ruby>迷宮<rp>(</rp><rt>めいきゅう</rt><rp>)</rp></ruby>-,
영어판명칭=Archfiend Palabyrinth,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데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이외의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대상 몬스터와 같은 레벨의 "데몬"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후후후. 미궁의 공포를 맛보여주마. 필드 마법! 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
듀얼링크스에서 미궁형제 전용 대사
마계의 데몬들이 거주하는 암운이 자욱한 성의 필드.
뇌명이 울려 퍼지는 이 미궁은, 그 구조 자체가 결계처럼 작용하여 출입하려는 자를 막아선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듀얼 필드 플레이버 텍스트
팬더모니엄-악마의 소굴- 이후 등장한 데몬 필드 마법. 이름의 형식도 거의 비슷하다. 원래 일본판 카드 이름은 복마전이라고 쓰고 데몬팰리스라고 읽지만 한국에선 그냥 데몬팰리스다.

기본적으로 악마족 몬스터들의 공격력을 강화시켜주는데, 이는 덱 파괴 바이러스 시리즈의 발동을 용이하게 해준다. 이 카드가 깔려있으면, 전율의 흉황-제네시스 데몬의 경우 타협 소환을 하여 공격려 / 수비력이 절반이 되었다 해도 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 발동이 가능하며, 미스트 데몬, 제노사이드 킹 데몬 등 공격력이 2500 밑이였던 데몬들도 어둠의 덱 파괴 바이러스의 조건에 들어가게 된다. 이외에도, 전반적으로 공격력이 강력한 데몬들인 만큼 안그래도 강력한 비트 다운을 더 강력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데몬이 필드에 있을 때, 그 데몬 이외의 악마족을 1장 제외하는 것으로 그 데몬과 레벨이 같은 데몬을 덱, 패, 묘지 상관없이 1장 특수 소환할 수 있기에 곧 바로 엑시즈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상당히 파격적인 효과로, 소환이 간편한 전율의 흉황-제네시스 데몬을 선택하면 똑같은 제네시스 데몬을 능력치 감소 없이 특수 소환할 수 있고, 대체적으로 무거운 편인 헬 임프레스 데몬의 소환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옛날 카드라서 텍스트가 헷갈리기 쉽지만, 이 효과에서 악마족을 제외하는 것은 코스트가 아니다. 만약 이 효과가 무효화된다 해도 악마족 몬스터는 잃지 않는다.

제외할 악마족은 인벨즈의 마세포, 이블 히어로 헬 블러드, 종언의 화염, 데블의 성역같이 특수 소환이 쉬운 몬스터로 하는게 좋다. 엄브럴 고스트를 쓰면 레벨 4 이하 데몬 2장을 바로 꺼낼 수도 있다. 인페르니티에서는 인페르니티 데몬을 지정하고 네크로맨서나 다른 데몬을 지정하고 2번째 3번째 인페르니티 데몬을 꺼낼 수도 있고 데몬의 타점도 상급 정도로 오르기 때문에 서치 용도의 트릭 데몬과 함께 1장씩 덱에 넣는 편.

속도가 느려 사용이 불편했던 제노사이드 킹 데몬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방편이 생긴 것이긴 하지만, 추가된 데몬 서포트 카드들이 체스 데몬과 그다지 잘 맞지 않는 편이기 때문에 굳이 체스 데몬을 테마로 덱을 짤게 아니라면 그다지 상관없을 것으로 보인다. 단, 레벨 4 데몬에는 데몬의 기병, 트랜스 데몬같이 쓸만한 카드가 있으므로 견제용으로 킹 데몬을 넣는다면 나쁘지 않는 선택.

이 카드가 필드 마법인 만큼 팬더모니엄-악마의 소굴-과 겹치게 되는데, 팬더모니엄의 경우 전율의 흉황-제네시스 데몬, 데몬의 장성, 미스트 데몬 등 다양하고 쉬운 방법으로 쉽게 서치를 할 수 있는 반면 이 카드는 비트 다운 강화와 고레벨 데몬의 소환 보조에 중점이 맞춰져있다. 팬더모니엄의 서치 능력도 꽤 강력하지만 트릭 데몬이라는 만능 서처가 있으므로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될 것이다.

그 외에도, 이 카드가 팬더모니엄과는 달리 데몬 카드라는 걸 생각하면 혹여나 터져서 묘지로 가도 전율의 흉황-제네시스 데몬의 탄환으로 날릴 수도 있고, 타락이나 데몬의 장성의 효과의 조건을 쉽게 만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 JOTL-KR066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JUDGMENT OF THE LIGHT JOTL-JP066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Judgment of the Light JOTL-EN066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13. 함정 카드

13.1. 일반 함정

13.1.1. 나이트메어 데몬즈

13.1.2. 데몬의 포효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304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데몬의 포효,
일어판명칭=デーモンの雄叫び,
영어판명칭=Archfiend's Roar,
함정=, 일반=,
효과1=①: 500 LP를 지불하고\, 자신 묘지의 "데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릴리스할 수 없고\,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

데몬 전용 전선복귀. 패 소모가 늘어나지만 달의 서, 웜홀,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로 디메리트를 삭제할 수도 있다.

원래 용도는 일러스트와 같이 제노사이드 킹 데몬의 완전소생. 소생된 후 파괴되면 데스룩 데몬을 던져서 완전소생 시킬 수 있다. 팬더모니엄-악마의소굴-을 깔고 상급 데몬을 소생해 타격을 주고 패를 회수하는 방도도 있다. 헬 임프레스 데몬을 소생시키면 공격, 수비, 소생 모두 할 수 있어 유용하다.

싱크로 데몬덱에서는 싱크로 보조로도 활약하며 레드 데몬즈 드래곤, 멘탈스피어 데몬, 언데드 스컬 데몬, 데몬 카오스 킹과의 연계가 상당히 강력하여, 소생하고 그대로 상대를 두들겨도 되고 버라이어티 아웃으로 분해한후에 다른 레벨8 싱크로 몬스터를 부르는 방법도 있다. 그리고 인페르니티 덱에서도 인페르니티 데몬과의 궁합이 상당히 좋기 때문에 채용되기도 한다. 설령 엔드페이즈시 터지더라도 특소 시 서치 효과가 발동하기 때문에 본전은 뽑을 수 있다.

쓰는 사람은 없지만 암흑 마족 길퍼 데몬 최고의 서포트 카드다.

사실 이런 저런 디메리트가 있는 데몬의 포효보다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쪽이 훨씬 낫지만, 이쪽은 데몬을 소환하고 터트릴 수 있으며 싸이크론에 요격당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야한다. 왜냐하면 트릭 데몬이나 데몬의 기병은 효과 파괴를 트리거로 하여 서치 또는 소생을 하는데, 데몬의 포효를 사용하면 쉽게 이 조건을 만족시켜 효과를 쓸 수 있기 때문. 게다가 이 카드로 데몬의 기병을 소생시킨 뒤 파괴하면 전율의 흉황-제네시스 데몬 등 강력한 카드들을 완전소생시킬 수 있다. 또한, 데몬이라는 이름이 붙은 함정카드이기 때문에 제네시스 데몬의 코스트로 이걸 제외하면 몬스터를 제외하는 것보다 손실이 더 적다.

참고로 이 카드로 소환된 데몬은 릴리스할 수 없다. 덕분에 고타점 몬스터들이 많은 데몬 덱에서 특히 덱 파괴 바이러스를 쓸 수 없게돼서 약간 뼈아픈 부분. 또한 '어떤 경우에도 릴리스 불가'라는 텍스트는 제물봉인 가면이나 킹 미스트를 제외하면 없다.

13.1.3. 데몬 글리치

13.1.4. 사이멀 데몬즈

13.2. 지속 함정

13.2.1. 데몬이 부르는 소리

14. 서포트 카드

14.1. 디스커버드 어택

14.2. 숙련된 적마술사

14.3. 팬더모니엄-악마의 소굴-

14.4. 타락

파일:堕落.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타락,
일어판 명칭=<ruby>堕落<rp>(</rp><rt>フォーリン・ダウ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Falling Down,
효과외1=상대 필드의 몬스터에 장착할 수 있다.,
효과1=①: 장착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효과2=②: 상대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800 데미지를 받는다.,
효과3=③: 자신 필드에 "데몬"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타락'이라 쓰고 '폴링 다운'이라고 읽는 카드. 한글판은 한자를 읽어서 '타락'으로 발매됐다.

사실상 데몬 덱 전용 강탈이다. 금지 카드의 효과를 그대로 가져온 만큼 성능은 뛰어나다. 사용도는 강탈과 동일하게 상대 몬스터를 빼앗아 다양한 방도로 활용하는 것. 빼앗은 몬스터에 아무 제약이 없어서 코스트나 특수 소환 소재 등으로 가져온 몬스터를 치우면서 추가적인 카드 발동이나 전개가 가능하며, 그대로 공격하거나 효과를 써먹을 수도 있다. 또한 강탈과 같은 재정으로, 가져온 몬스터를 달의 서 등으로 세트시키면 타락이 파괴되면서 몬스터는 자신 필드에 그대로 남는다.

제약으로 자신 필드에 데몬 카드가 없으면 파괴되는 것과, 상대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800 데미지를 받는 게 있다. 전자의 경우 체인 블록을 안 만들며 지속 효과라 발동 후 효과 처리시에 데몬이 없으면 바로 파괴된다. 즉 자신 필드에 데몬 카드가 없을 때 상대 필드의 데몬 몬스터를 뺏으려 한다면, 효과 처리 직후에 자신 필드에 데몬이 없어 바로 자괴한다. 후자의 경우 체인 블록을 만드는 유발 효과다.

"데몬" 몬스터가 아니라 카드를 지정하므로 데몬의 이름이 붙은 마법 / 함정 카드로도 유지시킬 수 있다. 일반 소환권을 안 쓰고도 타락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보통 타락을 쓸 때 이런 카드들과 같이 쓴다. 장착 마법으로 데몬의 도끼, 지속 마법으로 데몬의 선고, 필드 마법으로 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 지속 함정으로 데몬이 부르는 소리가 있어서 연계하기 쉽다. 더불어 마법 카드 취급으로 펜듈럼 존에 놓을 수 있는 펜듈럼 데몬인 익센트릭 데몬도 있기에 웬만해선 데몬이 없어서 타락이 패에 노는 경우는 많지 않다. 다만 이런 카드들이 파괴되면 타락이 곧바로 파괴되므로, 만약 저런 카드들을 먼저 발동한 다음 타락을 발동했을 때 상대가 데몬 카드를 파괴하면 1:2 교환으로 손해라 주의해야 한다. 그 외 No.66 패건갑충 마스터 키 비틀이나 무장신룡 프로텍트 드래곤 등으로 파괴를 막으면 데몬 카드가 없어도 유지할 순 있다.

데미지를 입는 효과는 유발 효과라 유령토끼같은 카드에 저격당할 수 있다. 데스 웜뱃 등으로 데미지를 막을 순 있지만 데몬과 그다지 궁합이 좋은 카드는 없기에 실전성은 없다.

성능 자체는 좋으나 자기 자신은 데몬 카드가 아니라서 트릭 데몬으로 서치할 수 없고, 다른 데몬들의 성능이 이 카드를 뒷받침할 정도로 강하지 않아 성능에 비해 묻힌 감이 있는 카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익스퍼트 2006 비공식 한글판에선 "데몬"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가 존재하지 않으면"데몬"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가 존재하면으로 잘못 번역됐다.

일러스트는 전사 다이 그레퍼가 타락한 모습. 이후 다크 루시어스가 됐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암흑의 위협 DCR-KR088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1 HGP1-KR250 노멀 한국
링크 브레인즈 팩 LVP1-KR005 노멀 한국
闇魔界の脅威 305-035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절판
EXPERT EDITION Volume 1 EE1-JP250 노멀 일본
LINK VRAINS PACK LVP1-JP005 노멀 일본
Dark Crisis(초판) DCR-088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절판
Dark Revelation Volume 1 DR1-EN250 노멀 미국
Dark Crisis(재판) DCR-EN088 노멀 미국
Astral Pack Three AP03-EN006 슈퍼 레어 미국

14.5. 혈의 각인

파일:external/images.wikia.com/BattleScarred-EE1-JP-C.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attleScarred-DCR-EN-C-U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혈의 각인,
일어판명칭=<ruby>血<rp>(</rp><rt>ち</rt><rp>)</rp></ruby>の<ruby>刻印<rp>(</rp><rt>こくいん</rt><rp>)</rp></ruby>,
영어판명칭=Battle-Scarred,
함정=, 지속=,
효과외1=자신 필드의 "데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대상 몬스터가 스탠바이 페이즈에 지불하는 LP는 상대도 지불한다.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그 몬스터는 파괴된다. 그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이 카드는 파괴된다.)]

체스 데몬과 함께 등장한 데몬 덱의 서포트 카드.

팬더모니엄-악마의 소굴-처럼 LP 지불을 막아주는 것도 아니고, 혈의 각인이 필드에서 벗어나면 지정한 데몬 몬스터는 파괴되는 디메리트까지 있어서 실용성은 없다. 별 의미는 없지만 멘탈스피어 데몬도 LP 지불이므로, 스탠바이 페이즈에 멘탈스피어 데몬의 효과가 발동할 경우 상대도 지불한다는 재정이 있다.

그냥 피의 각인'이라고 하면 될 걸 왜 굳이 혈의 각인으로 직역한 건진 의문이다. 실제로 '혈' 부분은 음독인 케츠가 아니라 훈독인 치라고 읽는다. 희생의 제물이나 희생의 늪지와 달리 ''란 뜻 자체는 그대로다.

유희왕 GX 6화에서 타이탄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후반부에 사용, 신뢰의 마왕-스컬 데몬의 500 LP 지불을 하게 만들어 쥬다이의 LP는 600에서 100이 됐다.

일러스트는 제노사이드킹 데몬 선봉 대장을 공격해 흉터를 남기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수출판은 피가 빨간색에서 녹색이 됐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암흑의 위협 DCR-KR097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1 HGP1-KR259 노멀 한국
闇魔界の脅威 305-044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절판
EXPERT EDITION Volume 1 EE1-JP259 노멀 일본
Dark Crisis(초판) DCR-097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절판
Dark Revelation Volume 1 DR1-EN259 노멀 미국
Dark Crisis(재판) DCR-EN097 노멀 미국

15. OCG화 되지 않은 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몬(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기타

참고로 카드군은 특이하게도 한국과 TCG 모두에서 번역명 문제가 있는 카드군이기도 하다.

16.1. TCG의 번역명 문제

TCG 의 경우, OCG의 '데몬'이라는 단어는 해외로 넘어갈 때 주로 종교상의 문제 때문인지 'Archfiend'[5]로 번역되며 따라서 서포트 카드들도 당연히 필요 조건을 'Archfiend'라고 지정하고 있지만, 이 '데몬'이란 단어가 'Archfiend' 이외의 단어로 번역된 옛날 카드들이 존재하며 그 카드들의 번역이 제각각이라는 것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데몬의 도끼의 TCG판 이름은 'Axe of Despair'이고 데몬 소환은 'Summoned Skull'로, 이대로라면 OCG와는 달리 '데몬'이라는 이름이 붙어있을 것이라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그 덕분에 혼란이 많았다.

그래서 현재 TCG 룰에서는 이러한 카드들을 'Archfiend 카드'라는 새 카테고리로 묶는 특수 재정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 이 재정에 의해 일단 TCG와 OCG에서 이 카드의 대상이 되는 카드 범위는 동일해졌으나, 플레이어가 이런 식으로 재정된 카드가 어떤 것들인지 알지 못하면 조건이 맞아도 못 쓴다.

일단 더 이상 상황이 골치 아파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이후 발매되는 카드명의 '데몬'은 모두 'Archfiend'로 번역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정발도 이것을 참고하여 나중에 나오는 카드의 명칭을 이전에 나온 카드에 통일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2013년 북미판 OCG는 명칭 지정이 나오면 이전판의 카드를 에라타시켜서 같이 내는 방식으로 (좋은 의미로)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16.2. 한국의 번역명 문제

한국은 TCG와 반대로 포함되지 않아야 할 카드가 카드군에 포함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카드들은 일본어 표기가 デーモン이 아니라 デモン이라서 혜택을 못 받게 되어 있다. 문제는 한글판에선 이것들이 전부 구분되어 번역되지 않고 똑같이 "데몬"으로 나오는 바람에 카드만 봐서는 알 수가 없다.

물론 원칙에 따라 한국에서도 이 "デモン" 카드들은 서포트를 못 받게 해두었으나, 한국은 전문 저지의 수가 한없이 낮기 때문에 대다수가 이걸 모른다는 것이 문제다.

디몬이던 대몬이던 뒤몬이던 데먼이던 좀 바꿔주면 좋겠다는 여론이 많았는데, 결국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다수의 데몬 서포트 카드들이 발매된 덕분에 대원에서 이 카드들을 전부 데으로 에라타 처리했다.

하지만 "데먼" 에라타가 실제로 반영되는 데에는 시간이 걸렸기에 시중에 돌아다니는 카드들은 여전히 데몬투성이. 쓰는 사람이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17. 관련 문서


[A] 카드군으로 지정된 것이 아닌, 비슷한 모티브/컨셉의 카드들의 통칭이다. [A] 카드군으로 지정된 것이 아닌, 비슷한 모티브/컨셉의 카드들의 통칭이다. [3] 둘 다 팀 새티스팩션 시절에 사용하던 카드 [4] 다만 풍래왕 같은 경우엔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쓸 수 없어서 전개용으로 쓰는 게 더 낫다. [5] 다만 이쪽도 대악마, 사탄이라는 뜻이긴 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데몬의 기병,version=27,
title2=랜서 데몬,version2=25,
title3=트릭 데몬,version3=60,
title4=매드 데몬,version4=33,
title5=인터셉트 데몬,version5=21,
title6=본 데몬,version6=18,
title7=데몬의 거신,version7=13,
title8=데몬의 포효,version8=32,
title9=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version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