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8:33:37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공주(1938)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필립 마운트배튼의 넷째 누나인 그리스 글뤽스부르크 왕조 출신 인물에 대한 내용은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공주(1914)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7년 스페인의 방송국 안테나3가 스페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스페인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후안 카를로스 1세 미겔 데 세르반테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아돌포 수아레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 펠리페 6세 파블로 피카소 예수의 테레사 펠리페 곤살레스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이사벨 1세 세베로 오초아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호세 사파테로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살바도르 달리 안토니오 가우디 엘 시드 알폰소 10세 페르난도 알론소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프란시스코 데 고야 프란시스코 프랑코 안토니오 마차도 미겔 인두리안 미카엘 세르베투스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로라 플로레스 펠리페 2세 카를로스 1세 로시오 주라도 그레고리오 마라뇬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디에고 벨라스케스 이사벨 판토하 호세 오르테가 미겔 데 우나무노 호세 마리아 아스나르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비센테 페레르 카밀로 호세 셀라 페드로 두케 다니 페드로사 파우 가솔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다비드 비스발 라파엘 나달 카마롱 데 라 이슬라 아스투리아스의 펠라기우스 후안 라몬 히메네스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산티아고 카리요 안토니오 반데라스 이냐시오 데 로욜라 페드로 알모도바르 후안 세바스티안 데 엘카노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미겔 에르난데스 후안 마누엘 세라 로페 데 베가 엘 그레코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아구스티나 데 아라곤 호아킨 사비나 로살리아 데 카스트로 앙헬 니에토 마누엘 아사냐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조르디 푸졸 프란시스코 데 케베도 알레한드로 산스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에르난 코르테스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카를로스 사인츠 파퀴리 텔모 사라 몽세라 카바예 마누엘 데 파야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이삭 페랄 플라시도 도밍고 미겔 길라 루이스 부뉴엘 엘 코르도베스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프란시스코 피사로 마리아노 바울바시드 라울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프란시스코 페르난데스 오초아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아만시오 오르테가 마놀레테 에두아르도 칠리다 페란 아드리아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호아킨 로드리고 에밀리오 보틴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프란시스코 헨토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세바 바예스테레스 이삭 알베니스 페데리코 바하몬테스 부에나벤투라 두루티 카르멘 아마야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빈센트 블라스코 이바네스 마누엘 산타나 알리시아 코플로비츠 안토니오 루이스 솔러 자코네로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colcolor=#000000> 스페인 후안 카를로스 1세의 왕비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공주
Πριγκίπισσα Σοφία της Ελλάδας και της Δανίας
<colbgcolor=#EDB4C9>
파일:rnag-d_hr.jpg
이름 그리스어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Σοφία Μαργαρίτα Βικτωρία Φρειδερίκη)
스페인어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페데리카
(Sofía Margarita Victoria Federica)
출생 1938년 11월 2일 ([age(1938-11-02)]세)
그리스 왕국 아테네 프시치코
신체 키 176cm
배우자 후안 카를로스 1세 (1962년 결혼)
자녀 엘레나, 크리스티나, 펠리페 6세
아버지 파블로스
어머니 하노버의 프리데리케 공주
형제 콘스탄티노스 2세, 이리니
종교 정교회 가톨릭
서명 파일: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공주(1938) 서명.svg
1. 개요2. 칭호3. 생애
3.1. 어린 시절3.2. 결혼3.3. 스페인의 왕비
4. 가족관계
4.1. 조상4.2. 자녀

[clearfix]

1. 개요

스페인의 상왕 후안 카를로스 1세의 부인이자 현 스페인의 왕대비. 그리스 왕국의 국왕 파블로스와 그 왕비인 하노버의 프리데리케 공주 사이에서 3남매 중 맏이로 태어난 그리스와 덴마크의 공주이기도 하다. 슬하에 엘레나, 크리스티나, 펠리페 6세 등 1남 2녀를 두고 있다. 2014년에 남편 후안 카를로스 1세가 아들 펠리페 6세에게 양위하자 소피아 또한 왕대비가 되었다.

펠리페 6세는 어머니인 소피아를 닮아서 키가 엄청나게 크다. 소피아는 그 세대 여성으로서는 상당한 장신으로 덴마크의 여왕인 마르그레테 2세에 버금갈 정도로 키가 큰데, 170대 중반으로 추정된다.

2. 칭호

  •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공주 전하 Her Royal Highness Princess Sophia of Greece and Denmark (1938년 11월 2일 ~ 1962년 5월 14일)
  • 아스투리아스 공비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Princess of Asturias (1962년 5월 14일 ~ 1969년 7월 21일)
  • 스페인의 공비[1] 전하 Her Royal Highness The Princess of Spain (1969년 7월 21일 ~ 1975년 11월 22일)
  • 스페인의 왕비 폐하 Her Majesty The Queen of Spain (1975년 11월 22일 ~ 2014년 6월 19일)
  • 스페인의 소피아 왕대비 폐하 Her Majesty Queen Sofía of Spain (2014년 6월 19일 ~ 현재)

3. 생애

3.1. 어린 시절

1938년 11월 2일 그리스 왕국의 국왕 파블로스 프리데리카 왕비의 장녀로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형제 관계로는 훗날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이 되는 콘스탄티노스 2세와 이리니 공주[2]가 있다.

어린 시절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학교를 다녔고,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남아프리카 연방으로 망명했다. 그리스에는 1946년이 되어서야 돌아올 수 있었지만, 정세가 불안정했던 만큼 독일이나 영국에서 공부하기도 했다.

3.2. 결혼

소피아는 1954년 8촌인 후안 카를로스 왕자를 그리스 섬의 크루즈에서 처음으로 만나게 된다. 두 사람은 1961년 조지 5세의 손자인 켄트 공작 에드워드 공자[3]의 결혼식에서 재회한 이후 사랑에 빠졌고, 1962년 5월 14일 아테네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결혼과 함께 그리스 정교회에서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했으며, 그리스 왕위 계승권을 포기했다. 1975년 남편인 후안 카를로스 왕자가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사망으로 스페인의 국왕이 되면서, 소피아 역시 왕비가 되었다.

두 사람 사이에서 엘레나[4], 크리스티나, 펠리페 6세의 1남 2녀가 태어났고, 4명의 손자 및 4명의 손녀가 있다.

3.3. 스페인의 왕비

소피아 왕비는 공무에 남편을 동반하는 것 외에도 단독으로 공무를 했다. 왕비으로서 첫 공식 석상에 등장한 소피아는 1976년 6월 마드리드의 베스 야코프 유대교 회당에서 열린 샤바트 예배에 참석했는데, 이는 스페인 왕실의 한 구성원이 유대인 예배 장소를 방문한 현대 스페인 역사상 최초 사례이기도 하다.

1993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구호 기금을 보낸 소피아 왕비 재단의 회장이며, 스페인 왕립 장애인 교육 및 돌봄 위원회와 스페인 마약 중독자 지원 재단의 명예 회장이다. 게다가, 소피아는 2003년부터 소피아 왕비 스페인 연구소의 후원자로 활동하고 있다.

소피아는 스페인과 해외의 회의들을 돌아다니며 마약 중독에 대항하는 프로그램들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테네리페에 있는 레이나 소피아 공항과 마찬가지로, 레이나 소피아 아트 센터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고, 산 페르난도 왕립 미술 아카데미와 스페인 왕립 역사 아카데미의 명예 회원이며, 그녀는 로사리오 대학(보고타), 바야돌리드, 케임브리지, 옥스퍼드, 조지타운, 에보라, 세인트 메리스 대학(텍사스), 뉴욕에서 명예 박사학위를 받았다.

소피아는 1971년부터 스페인 유니세프 위원회의 명예 회장을 맡고 있다. 그녀는 전세계 여성들에게 소액 신용을 제공하는 그라민 은행에서 무하마드 유누스 박사와 긴밀히 협력해오고 있다. 소피아는 그 조직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방글라데시, 칠레, 콜롬비아, 엘 살바도르, 멕시코를 방문했다. 소피아는 또한 캄보디아에서 아동 성매매와 노예제를 퇴치하는 NGO인 소말리아 여성의 아기르 푸어 레스 팜므센 시츄에이션 프레카이르의 강력한 지원자이기도 하다.

2012년 7월 소피아는 네 번째로 필리핀을 방문했다. 그녀는 아젠시아 에스파뇰라 데 쿠퍼라시온 국제 도서관 데사롤로 (AECID)를 통해 그녀의 나라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고 있는 이전 스페인 식민지 주변의 여러 개발 프로젝트들을 조사했다. 그녀는 현존하는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헌장을 가지고 있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야트 대본을 소장하고 있는 필리핀 가톨릭 대학교, 국립 도서관, 국립 박물관, 산토 토마스 교황청 및 왕립 대학을 방문했다. 그녀는 또한 필리핀에 거주하는 스페인 교민들을 만났고 스페인 대사관에서의 리셉션에 참석했다. 그녀는 또한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에 의해 주최된 말라카냐 궁전에서의 국빈 만찬에 참석했고 필리핀 교육 시스템에서 스페인어를 홍보해준 대통령에게 감사했다.

4. 가족관계

4.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그리스 덴마크의 소피아
(Sophia of Greece and Denmark)
파블로스
(Paul)
콘스탄티노스 1세
(Constantine I)
요르요스 1세
(George I)
러시아의 여대공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Grand Duchess Olga Constantinovna of Russia)[5]
프로이센의 조피 공주
(Princess Sophia of Prussia)
프리드리히 3세
(Frederick III)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
(Victoria, Princess Royal)[6]
하노버의 프리데리케 공주
(Princess Frederica of Hanover)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Ernest Augustus, Duke of Brunswick)
하노버의 왕세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Ernest Augustus, Crown Prince of Hanover)[7]
덴마크의 티라 공주
(Princess Thyra of Denmark)[8]
프로이센의 빅토리아 루이제 공주
(Princess Victoria Louise of Prussia)
빌헬름 2세
(Wilhelm II)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의 아우구스테 빅토리아 공녀
(Princess Augusta Victoria of Schleswig-Holstein-Sonderburg-Augustenburg)

그리스, 러시아, 독일, 영국, 하노버, 덴마크 왕가의 후손이다. 루마니아 왕국의 마지막 국왕 미하이 1세와 고종사촌간이며[9] 필립 마운트배튼과는 그리스 왕실 기준으로는 5촌[10], 영국 왕실 기준으로는 8촌이다. 마찬가지로 빅토리아 여왕의 4대손인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마르그레테 2세 여왕, 남편 후안 카를로스 1세와도 8촌이다. 크리스티안 9세 기준으로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마르그레테 2세 여왕과 8촌이며, 마르그레테 2세 여왕의 여동생인 아네마리 전 왕비는 남동생 콘스탄티노스 2세의 아내이기도 하다.

어머니 쪽으로는 모나코 카롤린 공녀의 남편으로 잘 알려진, 하노버 왕가 수장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와 외사촌간이다.

참고로 부모가 프리드리히 3세 기준으로 서로 오촌이기 때문에, 빅토리아 여왕을 기준으로 촌수를 나타내려고 하면 촌수가 꼬인다. 남편 후안 카를로스 1세와의 촌수는 아버지 쪽으로 8촌, 어머니 쪽으로 9촌이 되는 식. 상단에서는 아버지 쪽 기준으로만 촌수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유럽 왕족들과의 촌수도 마찬가지로 꼬이게 된다. 다만 크리스티안 9세 기준으로는 부모가 육촌이기 때문에, 크리스티안 9세나 그 후손을 기준으로 촌수를 나타낼 때는 촌수가 꼬이지 않는다.

4.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배우자 / 자녀
1녀 루고 여공작 엘레나 공주
(Infanta Elena, Duchess of Lugo)
1963년 12월 20일([age(1963-12-20)]세) 하이메 데 마리차라
슬하 1남 1녀
2녀 크리스티나 공주
(Infanta Cristina)
1965년 6월 13일([age(1965-06-13)]세) 이냐키 우르단가린
슬하 3남 1녀
1남 펠리페 6세
(Felipe VI)
1968년 1월 30일([age(1968-01-30)]세)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슬하 2녀[11]


[1] 여기서의 Princess는 왕자비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2] 1942년생으로 독신이다. 그리스 왕정 폐지 이후 현재까지 스페인에서 언니와 같이 지내고 있다. [3] 조지 5세의 4남이자 초대 켄트 공작 조지 왕자(1904~1942)의 장남 [4] 파블로스가 생전에 본 유일한 손주이다. [5] 니콜라이 1세의 손녀이다. [6] 빅토리아 여왕의 장녀이다. [7] 게오르크 5세의 장남이다. [8] 크리스티안 9세의 3녀이다. [9] 첫째 고모 엘레니의 아들, 참고로 미하이 1세는 소피아의 친사촌 알렉산드라 공주(둘째 큰아버지 알렉산드로스의 유복녀)의 남편인 페타르 2세와 고종사촌간이도 하다. [10] 아버지 파블로스 필립 마운트배튼과 사촌지간이다. [11] 아스투리아스 여공 레오노르, 소피아 공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