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19:22:47

구슬동자

파일:b daman logo.png
비드맨 시리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bordercolor=#66cdaa><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 시리즈 애니메이션
슈퍼 봄버맨
(1993 ~ 1995)
-
B 비드맨 폭 외전
(1995 ~ 2000)
구슬동자
빅토리 구슬동자
파일:슈퍼비 로고(임시).png
슈퍼 비드맨
(1995 ~ 2001)
수퍼 구슬탄
파일:배틀비 로고(임시).png
배틀 비드맨
(2002 ~ 2005)
구슬대전 배틀비드맨
천하통일 파이어 비드맨
파일:크래비 로고.jpg
크래쉬 비드맨
(2005 ~ 2006)
천하무적 크래쉬 비드맨
파일:메탈비 로고(임시).png
메탈 비드맨
(2007)
-
파일:크로비 로고.webp
크로스 파이트 비드맨
(2010 ~ 2013)
크로스 파이트 비드맨
크로스 파이트 비드맨 2
파일:logo_bottleman.png
보틀맨
(2020 ~)
보틀맨
보틀맨 DX
[ 각주 ]
☆ - 10주년 기념작 □ - 리부트 시리즈
}}} ||
구슬동자 (1998~1999)
[ruby(B, ruby=ボンバーマン)]ビーダマン爆外伝
파일:attachment/BIDAMAN+++img005.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장르 배틀, 액션
원작 후지와라 시게키(藤原茂樹)[1]
아마노 미키토시(天野幹俊)
만화 미타카 코이치(三鷹公一)
감독 나카니시 노부아키
시리즈 구성 우라하타 타츠히코(浦畑達彦)
캐릭터 원안 미즈노 쇼지(水野祥司)[2]
캐릭터 디자인 스기우라 코지
메카닉 디자인
게스트 캐릭터 디자인 시미즈 히로시(清水 洋)
미술 감독 카네코 히데토시(金子英俊)
색채 설계 우타가와 리츠코(歌川律子)
촬영 감독 야마구치 히토시(山口 仁)
편집 오가타 하루토시(尾形治敏)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
음악 칸다 켄슈(貫田顕勇)
치쿠마 준(竹間 淳)[3]
안자이 후미타카(安西史孝)
음악 제작 일본 컬럼비아
메~테레 음악출판
음악 협력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제작 나고야 테레비
미래계획
도큐 에이전시
파오 하우스
방영 기간 1998. 02. 07. ~ 1999. 01. 31.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아사히, 나고야 테레비 / (일) 07: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BS / (수, 목) 17:45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48화
시청 등급 미정
}}}}}}}}} ||

1. 개요2. 설명3. 등장인물4. 등장 메카5. 주제가6. 회차 목록7. 관련 완구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구슬동자 일본 방송 예고편[4]

원제는 봄버맨 비다맨 폭외전(B-ビーダマン爆外伝).

허드슨의 간판 게임 봄버맨 시리즈의 두 번째 애니메이션 작품인 동시에 타카라(現 타카라토미)의 완구 비드맨 시리즈의 첫 번째 애니메이션 작품이며, 폭외전 시리즈로서는 4편에 속한다.[5][6] 감독은 나카니시 노부아키.

2. 설명

원래 비드맨 시리즈는 봄버맨의 파생 작품이었으며 이후에 독립했다. 따지고 보면 형제관계지만, 구슬동자를 봄버맨 짝퉁으로 아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1998년 2월 7일부터 1999년 1월 31일까지 테레비 아사히 계열 채널에서 방영했으며 총 48화 완결, 애니메이션 제작은 매드하우스. 원래 용자 시리즈가 방영되었던 토요일 오후 5시에 방영되었다가 얼마 후 일요일 아침 7시로 옮겼다. 그리고 해당 시간대는 2017년까지 남아용 완구 판촉 애니메이션을 방영하였다. 후속작으로 빅토리 구슬동자가 있다.

마찬가지로 눈이 있으며 코와 입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봄버맨은 배에 밸트가 있어 폭탄을 던져서 공격하지만, 이 비다맨은 배에 있는 구슬을 쏘아 공격한다.

기본 스토리 베이스는 소소한 일상 사건에 메카닉 전투물이 더해진 슈퍼로봇과 비슷한 장르인데, 사회 설정의 농도가 꽤나 높은 편이다. 초반부 2화의 SF 설정 이야기는 꽤나 장대한 편이고, 본편에선 지층 연구, 각 직업별 실정 은 제작년도비 여타 아동만화에 비하면 실감나는 편.

그렇지만 위의 이야기는 주로 청소년, 어른 입장에서 아~ 이랬구나~ 하고 보는 정도이고 어린이들을 타겟으로 한 감성적인 갈등 → 사건해결의 구도를 담아내고 있다.

우스개소리지만 초반 2화만에 모든 요약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초반 2화가 속하는 전설편은 폭 외전 3편을 일부 스토리 변경, 2화로 압축시켜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2편까지는 원작인 슈퍼 봄버맨의 외전으로서 진행하였지만, 3편부터 독자적인 노선을 가지게 되어, 4편부터 애니화가 실현되었다. 즉, 애니가 없는 전작을 조금이라도 애니로 만들어 초반 프롤로그 형식으로 추가시킨 것이다.[7]

한국에서는 한국민영방송협회 8개 회원사[8]를 통해 1999년 10월 20일부터[9] 2000년 4월 5일까지 <구슬동자>란 제목으로 매주 수~목 오후 5시 45분에 방영했으며, 번역은 윤경아, 더빙연출은 배숙현 PD가 맡았다.

더빙 비화엔 대해서 입이 없는 캐릭터라 더빙하기 편했다는 얘기가 있다. 왜색이 강한 일부 에피소드는 더빙 제작에서부터 제외했다.[10] 재능방송에서는 왜색이 있던 장면들을 복원해서 방영한 적이 있다. 나름대로 스토리도 탄탄했고 거기에다 방영 시간이 당시 최절정의 인기를 구가하던 포켓몬스터 바로 전 시간인 덕분에 시청률도 좋은 편이었다.[11] 본방 당시에는 본작 관련 상품이 걸린 시청자 퀴즈를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비디오로 출시된 용자시리즈의 더빙판 거의 모두를 성공적으로 되살려낸 함진영이라는 블로거에 의해 구슬동자와 빅토리 구슬동자 역시 더빙판을 구할 수는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두 편 모두 종반부 스토리의 더빙 비디오는 찾지 못했으며, DVD도 출시되지 않은 터라 자막을 갖춘 영상으로도 보기가 힘든 편. 빅토리 구슬동자의 경우는 중국어 버전의 더빙은 있지만 일본어 버전 역시 거의 유실된 듯하다.[12]

일본에선 본방 당시 일본 컬럼비아를 통해 VHS 비디오테이프로 나왔으나 세월이 흘러 절판됐고, 2000년대 이후 저작권 문제 때문인지 DVD 발매는 물론 유료 VOD 배포조차 되지 않았다. 많은 팬들이 아쉬워 하고 있는 부분. 그나마 구슬동자는 BGM 콜렉션을 내놓았지만, 이상하게도 빅토리 구슬동자는 오프닝과 엔딩을 제외한 어디에도 BGM 관련을 찾아볼수가 없다.[13] 현재까지도 나오지 않는걸로 보아 어른의 사정으로 나오지 못하는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이 만화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이 브금을 어디서 찾을수 있냐는 질문을 자주 볼수 있을 정도.

그러다가 2023년 11월 17일 방영 25주년을 맞아 전 화가 순차적으로 무료 공개될 예정이다. #

가슴에 구슬이 달려있다고 해서(다만 이건 다크비다의 경우고 나머지들은 해당사항 없다) 건담 엑시아가 이런 별명으로 불린 일이 있으며, 제로의 가면이 민무늬라서 그렇게 불린적이 있다. 또 최근에는 세라비 건담이 이렇게 불리고 있다. 스사노오 고간포를 장착한 탓에 구슬동자 칭호를 얻었다.

각본가 이노우에 토시키가 참여했던 애니 중 하나이다.(29, 30화, 32화~35화 하나를 제외하면(31화) 실독 위주를 필두로 한 에피소드의 각본을 맡았다.)[14]

국내판에선 아주 해괴한 검열이 하나 있다. 이 세계관의 등장인물들은 다들 머리 위에 하얀 막대기랑 고유컬러의 구슬이 달린 꼭지가 달려있는데, 일부 캐릭터들은 이 꼭지의 하얀 부분이 몸통이랑 같은 색깔로 덧칠해져있다. 대표적인 검열 대상은 오렌지봉, 그레이봉, 블랙봉, 브라운봉이다. 다행히 화이트봉, 블루봉, 레드봉, 옐로우봉 등 다른 주역들은 멀쩡한데 굳이 전자의 캐릭터의 꼭지부분을 검열한 이유는 밝혀진 바 없다. 빅토리에서도 이어졌는지는 불명.

등장인물의 대부분의 이름에 다크, 봉(ボン)이 들어간다. 봉은 사실 봄(bomb)을 뜻한다. 봄의 가타가나 표기는 ボム(보무)이지만 봄버맨(bomberman)의 일어표기인 ボンバーマン(본바만)의 앞글자에서 본(ボン)을 따오고 한국에서 정식 방영할 때 봉으로 일제히 번역한 것이다. 이게 왜 같은 bomb인데도 표기가 달라지냐면 ン(n)은 'マ(ma), バ(ba), パ(pa) 행' 앞에서는 양순 비음인 [m]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리 복잡해진 것이다. 사실 더 복잡하게 따지자면 bomber나 bomb이나 두번째 b는 묵음이기 때문에 발음기호를 중시하는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으로는 보머가 된다.[15] 어찌됐건 구슬동자에선 이렇게 번역되었는데 공식 한글화된 봄버맨 시리즈 작품들 사이에서도 ボン에 대한 번역은 통일된 게 아니어서 작품마다 다르다. 터치! 봄버맨 랜드에서는 ボン을 봉으로 번역했고 슈퍼 봄버맨 R에서는 봄으로 번역되었다.

3. 등장인물

구슬동자/ 빅토리 구슬동자의 주역 캐릭터
화이트봉 블루봉 옐로우봉 레드봉 블랙봉
그 외의 문서가 존재하는 캐릭터
그레이봉 박사 핑크봉 그린봉 마녀봉
문서가 없는 기타 등장인물 보러가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슬동자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등장 메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슬동자 시리즈/메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슬동자 시리즈/주제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伝説! ビーダの勇士たち
전설! 비다의 용사들
요네무라 쇼지 나카니시 노부아키 마츠오 코우 아시노 요시하루 日: 1998.02.07.
韓:
제2화 伝説! 勇士たちよ永遠に
전설! 용사들이여 영원히
호시카와 타카후미 佐井鶴宮稲 日: 1998.02.14.
韓:
제3화 飛べ! ホワイトゲイル
날아라 화이트 게일
미나카미 세이시 시기노 아키라
(しぎのあきら)
마츠노 코우 타케우치 아키라
(武内あきら)
日: 1998.02.28.
韓:
제4화 孤高の戦士くろボン
독고 전사 블랙봉
히라타 토시오 나카무라 노리유키
(中村憲由)
나가모리 요시히로
(長森佳容)
日: 1998.03.07.
韓:
제5화 現れた闇の使者
어둠의 사자 나타나다
나카니시 노부아키 이와모토 야스오 타카하시 노보루
(高橋 昇)
日: 1998.03.14.
韓:
제6화 撃て! ブルースナイパー
쏴라! 블루즈 나이퍼
카타부치 스나오 마사키 신이치
(政木伸一)
아베 준코
(阿部純子)
日: 1998.03.21.
韓:
제7화 守れ! 森のビーダロン
지켜라! 숲의 비다론
닛타 타카오
(新田隆男)
오카노 유키오
(岡野幸男)
나카노 요리미치
(中野頼道)
와타나베 카즈오
(渡辺和夫)
日: 1998.03.28.
韓:
제8화 博士の超スーパー大発明
박사의 초 슈퍼 대발명
마츠오 코우 타케우치 아키라 日: 1998.04.05.
韓:
제9화 死なないで! ルイルイ
죽지 마라! 루이루이
미나카미 세이시 나카무라 노리유키 나가모리 요시히로 日: 1998.04.12.
韓:
제10화 くろボンの秘密
블랙봉의 비밀
이와모토 야스오 타카하시 노보루 日: 1998.04.19.
韓:
제11화 四天王ドラーケン登場
사천왕 드라겐 등장
닛타 타카오 마사키 신이치 아베 준코 日: 1998.04.26.
韓:
제12화 起て! ホワイトゲイルII
초로! 화이트 게일
오카자키 유키오
(岡崎ゆきお)
와타나베 카즈오 日: 1998.05.03.
韓:
제13화 嵐のお嬢様! ピンクボン
폭풍의 아가씨! 핑크봉
미나카미 세이시 시기노 아키라 마츠오 코우 타케우치 아키라 日: 1998.05.10.
韓:
제14화 第2の四天王ティーゲル
제2의 사천왕 티 게일
나카무라 노리유키 나가모리 요시히로 日: 1998.05.17.
韓:
제15화 嵐の夜のミステリー
폭풍의 밤 미스터리
오오쿠보 토모야스
(大久保智康)
이와모토 야스오 타카하시 노보루 日: 1998.05.24.
韓:
제16화 さすらいのヒーロー現る
방랑의 히어로 나타나다
미나카미 세이시 마사키 신이치 아베 준코 日: 1998.05.31.
韓:
제17화 泣くなカゼ丸
울지 마 윈드버드
타카야시키 히데오
(高屋敷英夫)
나카노 요리미치 이시이 카즈히코
(石井和彦)
日: 1998.06.07.
韓:
제18화 発見! 迷宮の秘宝!?
발견! 미궁의 비보!?
미나카미 세이시 마츠오 코우 타케우치 아키라 日: 1998.06.14.
韓:
제19화 號! ブラッククラスター
GO! 블랙 크러스터
나카무라 노리유키 나가모리 요시히로 日: 1998.06.28.
韓:
제20화 ティーゲル最期の日
티 게일 최고의 날
오오쿠보 토모야스 이와모토 야스오 타카하시 노보루 日: 1998.07.05.
韓:
제21화 謎の美女! パープル登場
의문의 소녀! 퍼플 등장
미나카미 세이시 미나토야 유메키치
(港屋夢吉)
마사키 신이치 아베 준코 日: 1998.07.12.
韓:
제22화 吠えろ! イエロークラッシャー
짖어라! 옐로 크래셔
타마키 코지
(玉木公司)
오카자키 유키오 이시이 카즈히코 日: 1998.07.19.
韓:
제23화 キメろ! ブルーブレイバー
정해라! 블루 브레이버
오오쿠보 토모야스 마츠오 코우 니이도메 토시야
(新留俊哉)
日: 1998.08.02.
韓:
제24화 夢のプリマドンナあかボン
의문의 프리마돈나 레드봉
미나카미 세이시 나카무라 노리유키 나가모리 요시히로 日: 1998.08.09.
韓:
제25화 シュリンゲ・魅惑の罠
슈링게 미혹의 함정
오오쿠보 토모야스 이와모토 야스오 타카하시 노보루 日: 1998.08.16.
韓:
제26화 博士のプロポーズ大作戦
박사의 프로포즈 대작전
미나카미 세이시 마사키 신이치 아베 준코 日: 1998.08.23.
韓:
제27화 さよならパープルさん
안녕 퍼플 씨
오오쿠보 토모야스 나카노 요리미치 이시이 카즈히코 日: 1998.08.30.
韓:
제28화 ピンクの船は大パニック!
핑크의 배는 대패닉!
카네코 츠토무
(金子ツトム)
아오야마 히로시
(青山ヒロシ)
미조구치 마사히코
(溝口雅彦)
사카모토 다이지로
(坂元大二郎)
日: 1998.09.06.
韓:
제29화 反逆の四天王シルドーク
반역의 사천왕 실독
이노우에 토시키 나카무라 노리유키 나가모리 요시히로 日: 1998.09.13.
韓:
제30화 初恋の人はあかボン?
첫사랑 대상은 레드봉?
이와모토 야스오 타카하시 노보루 日: 1998.09.20.
韓:
제31화 モミテボンの一日天下
살살이봉 1일 천하
미나카미 세이시 마사키 신이치 아베 준코 日: 1998.09.27.
韓:
제32화 シルドーク捕わる!?
실독 잡히다!?
이노우에 토시키 오카자키 유키오
(岡崎幸男)
이시이 카즈히코 日: 1998.10.11.
韓:
제33화 狙われたホワイトブロス
노려지는 화이트 브로스
마츠오 코우 나카타 미호
(仲田美歩)
日: 1998.10.18.
韓:
제34화 伝説のビーストーン
전설의 비스톤
나카무라 노리유키 나가모리 요시히로 日: 1998.10.25.
韓:
제35화 降臨、闇のプリンス
강림, 어둠의 프린스
이와모토 야스오 타카하시 노보루 日: 1998.11.01.
韓:
제36화 最強の敵ダークプリンス
최강의 적 다크 프린스
미나카미 세이시 마사키 신이치 아베 준코 日: 1998.11.08.
韓:
제37화 ティーゲルとシュリンゲの逆襲
티 게일과 슈린게의 역습
오오쿠보 토모야스 야마자키 시게루
(山崎 茂)
이시이 카즈히코 日: 1998.11.15.
韓:
제38화 決闘!ドラーケン対シルドーク
결투! 드라켄 VS 실독
미나카미 세이시 마츠오 코우 니이도메 토시야 日: 1998.11.22.
韓:
제39화 呪われたきいろボン
저주받은 옐로우봉
아라니시 다이스케
(荒西大介)
나카무라 노리유키 나가모리 요시히로 日: 1998.11.29.
韓:
제40화 氷の巨人アイスケンシュタイン
얼음의 거인 아이스켄슈타인
오오쿠보 토모야스 이와모토 야스오 타카하시 노보루 日: 1998.12.06.
韓:
제41화 おかえりカゼ丸
어서와 윈드실드
미나카미 세이시 마사키 신이치 아베 준코 日: 1998.12.13.
韓:
제42화 くろボンのプレゼント
블랙봉의 프레젠트
야마자키 시게루 이시이 카즈히코 日: 1998.12.20.
韓:
제43화 合体! セイントブラスター
합체! 세인트 블러스터
오오쿠보 토모야스 오카자키 유키오 시시쿠라 사토시
(宍倉 敏)
日: 1998.12.27.
韓:
제44화 発見! 予言の書
발견! 예언서
미나카미 세이시 나카무라 노리유키 나가모리 요시히로 日: 1999.01.03.
韓:
제45화 くろボンの真実
블랙봉의 진실
이와모토 야스오 타카하시 노보루 日: 1999.01.10.
韓:
제46화 ダークプリンスの正体
다크 프린스의 정체
오오쿠보 토모야스 마사키 신이치 아베 준코 日: 1999.01.17.
韓:
제47화 襲来! ダークネスドラゴン
습격! 다크니스 드래곤
야마자키 시게루 이시이 카즈히코 日: 1999.01.24.
韓:
제48화 誕生! 光の竜
탄생! 빛의 용
미나카미 세이시 나카니시 노부아키 나카타 미호 日: 1999.01.31.
韓:

7. 관련 완구

일본의 타카라社가 발매했으며 손오공社가 라이선스 생산을 맡았다. 발매 당시 국내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특히 세인트 드래곤과 다크니스 드래곤이 인기가 높았다. 다크니스 드래곤은 타카라에서 클리어 한정판으로 출시한 적이 있으나 국내엔 발매되지 않았다.(애초에 일반 합본도 없었지만)

발매된 지 한참 지난 완구여서 프리미엄이 꽤 높은 편으로 구하고자 한다면 해외 구매대행으로 구해야 한다. 국내는 업자의 돈장난질로 해외에 비하면 가격이 터무니없다.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라고 해외에서 타카라판 구하는것이 차라리 낫다.(진짜 차선은 중국산 복제품이 해당)

그렇다고 복각이나 리메이크를 기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근본은 봄버맨 시리즈의 파생작이었기에 관련 상품을 만드는데 있어 봄버맨의 라이센스가 필수이기 때문.

그러다가 2024년 5월 8일 시즈오카 하비 쇼의 전시를 통해 세인트 블레스터가 타카라토미의 토이라이즈 브랜드로 리메이크되는 걸로 확정되었다. #

8. 기타

가슴 한가운데에 구슬형태의 구조물이 있는 메카닉에 붙는 별명이기도 하다. 신기동전기 건담W 기동전사 건담 00, 명왕계획 제오라이머 계열 기체에 붙은 적이 있다.

1999년 1월 29일에 게임보이 컬러용으로 < 승리를 위하는 길> 편이 출시되었다.

메카닉이 주로 등장하는 작품인 만큼, 올드팬들 중엔 슈퍼로봇대전에 참전하길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봄버맨의 저작권이 코나미에 있어서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9. 둘러보기

나고야 테레비 제작/ 테레비 아사히 계열의 일요일 아침 7시대 애니메이션
구슬동자(1998~1999) 빅토리 구슬동자(1999~2000)


[1] 봄버맨 시리즈의 디렉터. [2] 봄버맨의 현재 디자인을 정립시킨 사람이다. 첫 담당작은 봄버맨 '94. 2018년 6월 9일에 5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3] 봄버맨 시리즈의 작곡가. [4] 용자왕 가오가이가 최종화 방영 직후 영상이다. [5] 2편까지는 애니메이션 없이 완구와 만화만으로 진행했으며, 3편도 동일했으나 본작 초반부가 3편을 기준으로 만들어졌다. [6] 첫 번째 봄버맨 애니메이션은 ボンバーマン 勇気をありがとう 私が耳になる(봄버맨 용기에 고마워하다 나의 귀가 되다). [7] 그렇기에 만화판은 전설편 없이 바로 비다시티편부터 진행된다. [8] SBS, PSB(현 KNN), TBC, KBC, TJB, UBC, CJB, JTV. GTB(현 G1) JIBS는 법인이 설립되기 전이었으므로 제외. [9] 그 이전에는 < 천방지축 덩크슛>이 편성됐으며, 종영 후 5시 35분 애니시간대가 10분 후로 늦춰졌다. [10] 8화, 44화. 근데, 44화는 스토리 진행에 존재하고 있어 중요한 화인데 SBS판에서는 이게 빠져서 개연성에 문제가 되었다. [11] 참고로 주연 5인방의 성우들 중 블랙봉의 역의 강구한을 제외한 나머지 성우들은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본편에 레귤러로 출연한 바 있는데, 본작과 같이 방영된 무인편이 아니라 한참 뒤에 방영된 AG, DP에서 출연하였다. 사실 당시 SBS의 경우 동시기에 방영하는 작품들은 캐스팅이 겹치는 것을 피한다는 원칙이 있었기 때문에, 구슬동자와 포켓몬 무인편의 성우진은 지미애(핑크봉- 최이슬, 그나마 핑크봉은 등장 비율이 낮은 조역이었다) 정도를 제외하면 거의 겹치지 않는다. [12] 구슬동자는 유투브와 판도라TV에 한글자막이 달린 영상이 올라왔던 적이 있었지만, 현재는 삭제 내지 비공개 처리되었다. [13] 비슷한 시기에 방영되었던 탑블레이드 V 또한 같은 문제를 겪고 있다. [14] 이노우에 토시키는 가면라이더 시리즈로 유명하지만 소속은 매드하우스다. [15] 보기 좋은 예로, 구슬동자 작품 내에 나오는 비다시티 방송프로 중 '봄 뉴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