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02:45:55

괴수 8호/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괴수 8호
|
파일:괴수 8호 애니플러스 로고 블랙.svg 파일:괴수 8호 애니플러스 로고 화이트.svg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50><table bordercolor=#292b28,#292b28><bgcolor=#00EEDF,#2d2f34><color=#373a3c,#dddddd> 발매 현황 · 등장인물 ( 대괴수) · 설정 · 애니메이션 (원작과의 차이점) ||
괴수 8호 (2024)
怪獣8号
Kaiju No.8
파일:괴수 8호 애니 공식 한글 비주얼.png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슈퍼히어로, 괴수, 어드벤처, SF, 어반 판타지
원작 마츠모토 나오야(松本直也)
감독 미야 시게유키
카미야 토모미
시리즈 구성 오코우치 이치로
캐릭터 디자인 니시오 테츠야
총 작화감독
괴수 디자인&웍스 마에다 마히로
스튜디오 카라
미술 감독 키무라 신지
색채 설계 히로세 이즈미(広瀬いづみ)
3D 감독 마츠모토 마사루(松本 勝)
촬영 감독 아라이 에이지(荒井栄児)
편집 히다 아야(肥田 文)
음향 감독 고 후미유키(郷 文裕貴)
음악 반도 유타(坂東祐大)
음악 제작 일본 컬럼비아
도호 뮤직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야마나카 카즈타카(山中一孝)
오오요시 마코토(大好 誠)
치프 프로듀서 타카하시 아츠시(高橋敦司)
후지오 아키후미(藤尾明史)
프로듀서 야나기사와 슌스케(柳澤駿介)
하시모토 류(橋本 龍)
아리타 타케마사(有田武将)
모리히로 후미(森廣扶美)
오카지마 타카토시(岡島隆敏)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오히라 마사시
애니메이션 제작 Production I.G
제작 방위대 제3부대[1]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24. 04. 13. ~ 방영 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04. 13. ~ 방영 중자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05. 24. ~ 더빙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토) 23: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파일:투명.png (토) 23:00자막/1화
파일:투명.png → (일) 00:00자막/2화~
파일:투명.png (금) 22:00더빙
파일:투명.png 애니맥스 코리아
파일:투명.png (토) 23:00자막/1화
파일:투명.png → (일) 00:30자막/2화~
파일:투명.png (금) 23:00더빙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NF자체판권]
[clearfix]
[[디즈니+|
Disney+
]] [DSNP자체판권]
[clearfix][[X(SNS)|
X
]] [4]
[clearfix]
[[애니플러스|
ANIPLUS
]] 자막, 더빙
자막, 더빙
자막
자막
자막, 더빙
자막, 더빙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예정)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애니플러스 (폭력성, 모방위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넷플릭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디즈니+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일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글로벌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일본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글로벌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5. 설정6. 음악
6.1. 주제가
6.1.1. OP6.1.2. ED
6.2. 삽입곡
7. 회차 목록8.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9. 회차별 WEB 예고편10. 해외 공개
10.1. 대한민국
10.1.1. 자막 방영10.1.2. 한국어 더빙
11. 평가
11.1. 방영 전11.2. 방영 후
12. 원작과의 차이점13.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괴수· 히어로 만화 괴수 8호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방영시기는 2024년 4월, 제작사는 Production I.G, 감독은 미야 시게유키 / 카미야 토모미.

2. 공개 정보

스폰서가 고지라 시리즈로 유명한 영화사 도호의 애니메이션 사업부인 TOHO animation이다. 도호 측에서 고지라를 만들면서 쌓은 노하우를 최대한 살리면서 작업하겠다고 밝혔다. 괴수 디자인은 스튜디오 카라 마에다 마히로.

TV와 별개로 X를 통하여 전세계 실시간 동시 방송을 한다고 한다. X만 그런 게 아니고 대부분의 세계 애니메이션 채널에서 큰 시차 없이 동시에 방송한다고 한다.

일본인만 타겟으로 하는 작품이 아니고 전세계 흥행을 노리고 제작하는 작품이라고 한다. OST도 일본에서 활동하는 가수가 아닌 서양 팝 록 가수에게 맡긴 것도 이 목적을 위한 시도 중 하나로 보인다.[5]

2.1. PV

제작결정 PV
<rowcolor=#ffffff,#ffffff> 티저 PV 티저 PV 2탄
<rowcolor=#ffffff,#ffffff> 메인 PV 메인 PV 제2탄
애니플러스 티저 PV
방송 개시 요격 특별 방송
애니플러스 더빙 티저 PV
「사가미하라 토벌 작전 편」 예고편

2.2. 키 비주얼

파일:괴수 8호 애니화 결정 비주얼.jpg
파일:괴수8호티저비주얼.jpg
제작 결정 비주얼 티저 비주얼
파일:괴수 8호 애니메이션 키 비주얼.jpg
파일:괴수 8호 키 비주얼 2탄.jpg
키 비주얼 1탄 키 비주얼 2탄

3. 줄거리

일상적으로 괴수가 사람들을 위협하는 세계.

괴수를 토벌하는 「일본 방위대」 입대를 지망하던
히비노 카프카는, 언제부턴가 그 꿈을 포기하고
괴수 전문 청소업자로서 일하고 있었다.

「둘이서 괴수를 전멸시키자」

어린 시절 그렇게 함께 맹세한 소꿉친구 아시로 미나
제3부대 대장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가운데,
그녀와 함께 싸울 수 없는 카프카는 자신이 한심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방위대에 입대하려는 이치카와 레노와의 만남을 계기로
멈춰있던 카프카의 시간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애니플러스 / 애니맥스 코리아
거대한 괴수가 언제 공격할지 모르는 세상에 살면서 한때 방위대 입대를 꿈꿨던 히비노 카프카. 오랜 세월이 지나, 이제 그 꿈을 포기하고 괴수의 시체를 청소하고 처분하는 회사에서 일한다. 카프카는 어린 시절 친구인 방위대 제3부대 아시로 미나 대장이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보고, 이치카와 레노를 만나 다시 한번 방위대에 도전하기로 한다. 드디어 꿈을 향해 나아가려던 순간 이상한 괴수와 조우해 굉장히 강력한 괴수로 변신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이제 괴수 8호로 알려진 카프카는 일본 전역에서 도망치게 된다. 여전히 방위대 입대를 꿈꾸고 있지만 괴수 재난이 발생하면 싸울 준비가 돼 있다.
디즈니+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괴수 8호/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괴수 8호/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음악

6.1. 주제가

6.1.1. OP

OP
Abyss
TV ver.
Visualizer ver.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fffff> 노래 YUNGBLUD
작사 및 작곡 Dominic Harrison
Matt Schwartz
Mattias Per Larsson
Robin Lennart Fredriksson
댄 레이놀즈
작곡 Zakk Cervini
Mattman & Robin[6]
Michele Ronzon
Joe LaPorta
프로듀서 YUNGBLUD
Matt Schwartz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fffff> 디렉터 요시자키 히비키(吉﨑 響)
아트 디렉터 나카마 코헤이(中間耕平)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I've seen Hell rise!
Out of your eyes
Creep up at night
To your demise
You've gotta' fight
I've gotta' fight
Been thinkin' that I need isolation
All this devastation
Head needs renovation alright.

If you had to choose would you ever let me go?
Oh
I can't stop the monster I'm losing my control
Oh oh!

Could someone please save my life
Could someone please save my life
Could someone please save my life
Cause I've gone cold!
Save my life
Could someone please save my life
Could someone please save my life
Cause I've gone cold
And I'm stuck in the abyss all on my own!

Save my life
Could someone please save my life
Could someone please save my life
Cause I've gone cold
And I'm stuck in the abyss all on my own!
}}}}}}}}} ||
이매진 드래곤스 프론트맨 댄 레이놀즈와 공동 제작한 곡이다.
[ YUNGBLUD 코멘트 ▼ ]
>안녕하세요, 영블러드입니다.
괴수 8호의 오프닝 테마를 맡고 있습니다.
저도 애니메이션 방송이 시작되는 게 즐거워서 기다릴 수가 없네요.
영상을 조금 봤는데 믿기지 않을 정도로 훌륭하니
여러분들도 재밌게 즐겨주셨으면 좋겠어요.
미친 짓이 시작될 텐데 준비 됐나요?
여러분께 사랑을 담아

영상은 스튜디오 카라 소속의 감독 요시자키 히비키(吉﨑 響)와 아방가르드 영상 작가 나카마 코헤이(中間耕平)가 제작했다. 작화는 없고 전부 CG이다.

6.1.2. ED

ED
Nobody
TV ver.
Lyric Video ver.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fffff> 노래 OneRepublic
작사 및 작곡 Ryan Tedder
Brent Kutzle
Joe Henderson
Josh Varnadore
Tyler Spry
프로듀서 Brent Kutzle
Joe Henderson
John Nathaniel
Tyler Spry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fffff> 콘티 오오시마 토야
연출
작화감독 타구치 에리
원화 나가오카 야스치카, 오오쿠라 케이스케, 오수민, 미야지마 나오키, 와타베 타카히로(渡部尭皓), 황청시, 이마이즈미 켄(今泉 健), MYOUN, 세라 유코(世良悠子). 아사노 나오유키, 오오시마 토야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body, nobody, nobody (ooh)
Nobody, nobody, nobody
Yeah
I'd take the fall
I got you covered when there's no one at all
Oh, yeah, and I'd stay through the night
When you got demons tryna break through the walls
There ain't no, no kinda line
That I wouldn't cross if you need me to
You're out here searchin' for signs
So I think it's finally time that you knew
Nobody got you the way I do (ooh)
Whatever demons you're fightin' through
When you need somebody to turn to (ooh)
Nobody got you the way I do
The way I do (woo)
Nobody, nobody, nobody (ayo)
Got you the way I do
Oh, nobody, nobody, nobody (ayo)
Nobody got you the way I do
The way I do (yeah, yeah)
When you go dark and the night gets so cold
I'll be on my way to you (oh yeah)
You know I ain't tryna lose you, oh, no
If you're in Hell, I'll go there too
There ain't no, no kinda line
That I wouldn't cross if you need me to
You're out here searchin' for signs
So I think it's finally time that you knew
Nobody got you the way I do (ooh)
Whatever demons you're fightin' through
When you need somebody to turn to (ooh)
Nobody got you the way I do
The way I do (the way I do)
Nobody, nobody, nobody (ayo)
Got you the way I do
Oh, nobody, nobody, nobody (ayo)
Nobody got you the way I do
The way, the way, the way I do
The way, the way, the way I do
Nobody got you the way I do (woo)
Nobody, nobody, nobody (ayo)
Got you the way I do (yeah, yeah, yeah)
Nobody, nobody, nobody (ayo)
Nobody got you the way I do
The way I do
Nobody, nobody, nobody, yeah (ooh)
Nobody got you the way I do
}}}}}}}}} ||
OneRepublic의 프론트맨인 라이언 테더는 2023년 봄쯤에 괴수 8호 팀과의 미팅에서 일부 영상과 콘티를 본 뒤 거기서 작품·캐릭터를 분석해, 어떤 사운드가 필요한지 생각해 갔으며, 2023년 11월에 일 때문에 일본을 방문했을 때 그 사이에 가사도 써넣었다고 한다.
[ 라이언 테더 코멘트 ▼ ]
>안녕하세요, 일본 분들.
원리퍼블릭의 라이언입니다.
괴수 8호와 함께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저희 신곡 「Nobody」는 엔딩 테마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곡입니다.

6.2. 삽입곡

5화 극중가
Scream feat. (sic)boy
Lyric Video ver.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fffff> 작사 (sic)boy
작곡 반도 유타(坂東祐大)
(sic)boy

7화 극중가
Warcry feat. 岡崎体育
Lyric Video ver.
Full ver.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fffff> 게스트 보컬 오카자키 타이이쿠(岡崎体育)
작사
작곡 반도 유타(坂東祐大)
밴드 THE KAIJU BAND

7. 회차 목록

<rowcolor=#ffffff,#ffffff> 회차 제목[7]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怪獣になった男
괴수가 된 남자
오코우치 이치로 카미야 토모미
카타야마 타카히토[A]
야나기 류타[A]
카미야 토모미 카타야마 타카히토
세라 유코
(世良悠子)
야나기 류타
오오쿠보 토오루
(大久保 徹)
니시오 테츠야
니시오 테츠야 日: 2024.04.13.
애니플러스: 2024.04.13.
넷플릭스: 2024.04.14.
더빙: 2024.05.24.
디즈니+: 2024.05.
제2화 怪獣を倒す怪獣
괴수를 죽이는 괴수
노무라 카즈야 이나가키 타카유키 후쿠하라 마이
(福原麻衣)
누마타 쿠미코
(沼田くみ子)
키요이케 나호
(清池奈保)
카와무라 아키오
(河村明夫)
오오쿠보 토오루
Mahmoud Moftah
호소다 사오리
(細田沙織)
후쿠시마 사에
(福嶋沙映)
세라 유코
아라카와 사키
(荒川紗希)
츠네키 시노부[M]
(常木志伸)
야나기 류타[E]
日: 2024.04.20.
애니플러스: 2024.04.20.
넷플릭스: 2024.04.21.
더빙: 2024.05.24.
디즈니+: 2024.
제3화 リベンジマッチ
리벤지 매치
유우 카즈미
(夕 一美)
에조에 히토미
(江副仁美)
야마모토 마유코
(山本真夕子)
카와무라 아키오
하기와라 히로미츠
코마츠 마리코
(小松真梨子)
히라노 쇼
(平野 翔)
츠네키 시노부[M]
야나기 류타[E]
日: 2024.04.27.
애니플러스: 2024.04.27.
넷플릭스: 2024.04.28.
더빙: 2024.05.31.
디즈니+: 2024.
제4화 フォルティチュード9.8
포티튜드 9.8
테라오카 이와오 요코야마 카즈키
(横山和基)
카타야마 타카히토
후쿠다 노리유키
(ふくだのりゆき)
사오토메 케이
早乙女 啓)
하세가와 사키
(長谷川早紀)
오오쿠보 토오루
키타무라 신야
(北村晋哉)
스즈키 칸타[E]
日: 2024.05.04.
애니플러스: 2024.05.04.
넷플릭스: 2024.05.05.
디즈니+: 2024.
제5화 入隊!
입대!
아라이 요지로 코무라카타 코지
(小村方宏治)
구시켄 마유
(具志堅眞由)
스기타 마루미
미미우라 토모아키
(耳浦朋彰)
와타나베 유키코
(渡部由紀子)
미야카와 치에코
(宮川智恵子)
츠네키 시노부[M]
日: 2024.05.11.
애니플러스: 2024.05.11.
넷플릭스: 2024.05.12.
디즈니+: 2024.
제6화 夜明けの相模原討伐作戦
새벽의 사가미하라 토벌 작전
노무라 카즈야 나카무라 테츠지
(中村哲二)
카토 유우
(加藤 優)
히라노 쇼
후쿠다 노리유키
야마모토 마유코
츠쿠마 타케노리
(津熊健徳)
사오토메 케이
코마츠 마리코
아라카와 사키
시라이 에이스케
(白井英介)
후쿠하라 마이
無錫市淏明アニメ
知萌传媒
야나기 류타[E]
日: 2024.05.18.
애니플러스: 2024.05.18.
넷플릭스: 2024.05.19.
디즈니+: 2024.
제7화 怪獣9号
괴수 9호
사노 타카유키
(佐野誉幸)
미야 시게유키
이바타 요시히데 제로
(ゼロ)
스기타 마루미
이시이 아키하루
(石井明治)
요시다 유코
미야카와 치에코
후쿠하라 마이
후쿠시마 사에
Roccia Nobili
호소다 사오리
아베 미사오
(阿部美佐緒)
日: 2024.05.25.
애니플러스: 2024.05.25.
넷플릭스: 2024.05.26.
디즈니+: 2024.
제8화 防衛隊へようこそ
방위대에 들어온 걸 환영한다
오쿠노 하루오
(奥野治男)
카타야마 타카히토
사이토 타쿠야
이토 신야
(伊藤進也)
카와무라 아키오
하세가와 사키
후쿠다 노리유키
히라노 쇼
아라카와 사키
日: 2024.06.01.
애니플러스: 2024.06.01.
넷플릭스: 2024.06.02.
디즈니+: 2024.
제9화 日: 2024.
애니플러스: 2024.
넷플릭스: 2024.
디즈니+: 2024.
제10화 日: 2024.
애니플러스: 2024.
넷플릭스: 2024.
디즈니+: 2024.
제11화 日: 2024.
애니플러스: 2024.
넷플릭스: 2024.
디즈니+: 2024.
제12화 日: 2024.
애니플러스: 2024.
넷플릭스: 2024.
디즈니+: 2024.

8.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감독 카미야 토모미와 제작 프로듀서 오오히라 마사시의 인맥으로 실력 있는 애니메이터들이 에피소드마다 골고루 포진된 작품이다. 콘티, 연출, 작화감독에 대해서는 회차 목록 문단을 참고.

니시오 테츠야 인맥인지 나루토 애니메이터도 여러 명 참가한다.
회차 원화 비고
제1화 카타야마 타카히토, 세라 유코(世良悠子), 야나기 류타, 오오쿠보 토오루(大久保徹), 나가오카 야스치카, 이노우에 아츠코(井上敦子), 게소 이쿠오, 라이즈칭(頼志青), 타나베 오사무, 시게츠구 소타, 타카하시 유야 Production I.G
제2화 타카이 코이치(高井浩一), 야마시타 마사히토
제3화 나가오카 야스치카, 아사이 세이코(朝井聖子), 쿠보 미츠테루(久保充照), 미노와 유타카
제4화 카타야마 타카히토, 아베 미사오(阿部美佐緒), 코타니 쿄코(小谷杏子), 야마시타 마사히토, 하시모토 타카시, 게소 이쿠오, 나가오카 야스치카
제5화 스기타 마루미, 아베 미사오(阿部美佐緒) 등
제6화 니이 히로타카, 니호 토모유키, 타네무라 아야타카, Nonno 등
제7화 Proro, 아베 미사오, Roccia Nobili, Vann Oba 등
제8화 카타야마 타카히토, 에바타 쿄헤이(江端恭平), 이노우에 아츠코, 게소 이쿠오
제9화
제10화
제11화
제12화

9.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ff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1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3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4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5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6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7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3px)"
{{{#!folding 제8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10. 해외 공개

10.1. 대한민국

파일:애니플러스 로고 white.svg 신작 시간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6125 {{{#!folding [ LIVE 생중계 시간표 ]
{{{#!wiki style="margin: -11px -1px -5px"
12:00 외출하는
아기 상어
18:00 블루 록
(한국어 더빙)
22:00 달이 이끄는
이세계 여행
제2막
니지욘 애니메이션 2
23:00
23:30 늑대와 향신료
MERCHANT MEETS
THE WISE WOLF
24:00 무직전생 Ⅱ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

(파트 2)
할아버지 할머니
회춘하다
유루캠△ 3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3기
괴수 8호 사신 도련님과
검은 메이드 3기
24:30 마왕학원의
부적합자 Ⅱ
~사상 최강의
마왕인 시조,
전생해서 자손들의
학교에 다니다~

(파트 2)
데이트 어
라이브 Ⅴ
괴짜의
샐러드 볼
25:00 바텐더 신의 글라스 성우 라디오의
속사정
흑집사
-기숙학교 편-
25:30 마왕인 내가
노예 엘프를
신부로 삼았는데
어떻게 사랑하면
되지?
걸즈 밴드 크라이
26:00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시즌 1)
26:30 }}}}}}{{{#!folding [ TV 방송 시간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colcolor=#fff> 시간
07​:30 바랄라 페어리즈
08​:50 [[베이블레이드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rder: 2px Solid #a2ff1f; brder-radius: 12px; backgrund: black; clor: white;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12:00 외출하는
아기 상어
18:00 블루 록
(한국어 더빙)
22:00 달이 이끄는
이세계 여행
제2막
니지욘 애니메이션 2
22:30
23:00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3

ANIMAX
귀멸의 칼날: 합동 강화 훈련편
ANIMAX
23:30 늑대와 향신료
MERCHANT MEETS
THE WISE WOLF
24:00 무직전생 Ⅱ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

(파트 2)
할아버지 할머니
회춘하다
신은 유희에
굶주려있다.

ANIMAX
유루캠△ 3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3기
괴수 8호 사신 도련님과
검은 메이드 3기
24:30 마왕학원의
부적합자 Ⅱ
~사상 최강의
마왕인 시조,
전생해서 자손들의
학교에 다니다~

(파트 2)
데이트 어
라이브 Ⅴ
괴짜의
샐러드 볼
반푼이라 불리던 전 영웅은,
친가에서 추방됐으므로
맘대로 살기로 했습니다

ANIMAX
25:00 바텐더 신의 글라스 성우 라디오의
속사정
흑집사
-기숙학교 편-
25:30 마왕인 내가
노예 엘프를
신부로 삼았는데
어떻게 사랑하면
되지?
걸즈 밴드 크라이
26:00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시즌 1)
하나노이 군과
상사병

ANIMAX
26:30 린카이!
ANIMAX
{{{#!wiki style="margin: 0px -10px; letter-spacing: -1px"
파일:tlogo.png 홈페이지 스트리밍 [유료 멤버십]
[[https://www.tving.com/player/C00901| 파일:TVING 로고.svg '''무료 스트리밍
(모바일 환경에서는 '앱으로 이용하기'를 터치한 뒤, '라이브' 탭으로 이동해야 함)
''']]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Checklist.png 채널 번호표
파일:U+ Mobile TV icon.png U+ 무료 스트리밍   
 (통신사에 관계없이 이용 가능)
}}}
}}}}}}}}}}}} ||


파일:애니맥스 코리아 로고.svg 신작 시간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colcolor=#fff> 시간
07​:30
08​:00
09​:30 바랄라
페어리즈
18​:00 [[베이블레이드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rder: 2px Solid #a2ff1f; brder-radius: 12px; backgrund: black; clor: white"
19​:00
20​:00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21​:30
23​:00 귀멸의 칼날: 합동 강화 훈련편 괴수 8호
ANIPLUS
24​:00 Lv2부터 치트였던
전직 용사 후보의
유유자적 이세계 라이프
반푼이라 불리던 전 영웅은,
친가에서 추방됐으므로
맘대로 살기로 했습니다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3
린카이!
25​:00 전생 귀족,
감정 스킬로
성공하다
신은 유희에
굶주려있다.
망각 배터리 하나노이 군과
상사병
26​:00
27​:00
{{{#!wiki style="margin: 0px -10px; 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Checklist.png 채널 번호표 파일:TVING 로고.svg
무료 스트리밍
파일:wavve 로고.svg
유료 스트리밍
}}}
}}}}}}}}} ||


10.1.1. 자막 방영

애니플러스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2분기 동시방영작으로 가져와 자막으로 방영한다.
또한 넷플릭스 디즈니+에서도 자체적으로 수입해 공개한다.

10.1.2. 한국어 더빙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ffffff,#ffffff> 한국어 더빙 제작 정보
기획 전계만
녹음 디어컬쳐
믹싱
번역 두지현
대본
심의 홍성욱
OAP 이주현
종합편집 김소정
편성 김연숙
임명철
연출 곽영재

자막 방영과 동시에 한국어 더빙 소식도 공개되었다. 더빙은 애니플러스에서 주관한다.

11. 평가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11.1. 방영 전

공식에서 공개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디자인이 팬들이 원하는 것과 달라서 논란이 일고 있다. 공식 트위터에서 캐릭터를 한 명 소개하면 그때마다 팬들의 욕설로 도배가 되는 상황이다. 발표 전에도 누가 봐도 니시오 테츠야였는데 공식적으로 니시오가 맞다고 발표되었다.[17] 원작은 다른 만화보다 미간을 좁게 그리는데,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은 미간이 매우 넓어져서[18] 전체적인 실루엣은 비슷하고 의상 디자인도 잘 되었지만 외모의 분위기가 확 달라지고 원작 팬들은 큰 위화감을 느끼는 것이다.

니시오 테츠야가 애니메이터로서 액션 작화, 괴수 작화를 해내는 능력은 최고급이고 인맥도 많으므로 그 부분은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니시오의 작품이 예전부터 그랬던 것처럼 실제로 움직이는 걸 보면 평가가 역전될 수도 있다. 하지만 한국에선 니시오 테츠야의 그림체를 인면어체 라고 부를 정도로 좋아하지 않아서 호불호가 상당히 갈릴 것으로 보인다.

PV에서는 인물 작화는 살짝 애매한 감이 있지만 상당한 액션과 괴수 작화를 보여주어 PV 공개 이후 반응이 호평으로 바뀌었다.

감독은 미야 시게유키 카미야 토모미로 공개되었다. 미야 시게유키가 감독으로서는 신인때는 잘했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슬럼프가 왔다는 평을 받는 인물이고, 촉망받는 유망주에서 매력없는 원작 홍보용 작품을 만드는 고용 감독으로 전락했다는 평을 받는다. 게다가 카미야 토모미도 연출력은 인정받는 인물이지만 장편 감독 경력은 대도서관의 양치기, 녹풍당의 사계절이 전부인 인물로, 대도서관의 양치기는 5명 공동 감독 체제였으며, 첫 단독 장편 감독작인 녹풍당은 그렇게 좋은 평을 받지 못했다. PV는 카미야 토모미의 연출색이 더 강하므로 카미야가 콘티를 주도하고 베테랑인 미야가 도우면서 만드는 구조로 보인다. 카미야는 콘티 실력은 검증되었으며 미야 시게유키는 00년대 까지만해도 괜찮은 작품을 만들기도 했고 연출 실력은 있는 인물이므로 두 사람이 어떻게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지가 관건으로 보인다.

미야 시게유키는 주인공 히비노 카프카가 마치 자신같아서 이 작품은 하고 싶다고 생각했고 우여곡절 끝에 감독이 되었다고 한다. 카프카 시점의 연출은 미야 시게유키가 할 수도 있다.

한편 미술 감독에는 혈계전선, 스팀보이, 해수의 아이, 도로헤도로 등으로 유명한 거장 키무라 신지가 참여한다. 엄청난 미술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

오프닝 테마에는 YUNGBLUD 이매진 드래곤스 댄 레이놀즈, 엔딩 테마에는 「 Counting Stars」, 탑건: 매버릭 삽입곡 「I Ain’t Worried」 등으로 유명한 OneRepublic으로 주제가 모두 서양 팝 록 가수가 맡아 관심을 받았다.

11.2. 방영 후

1화는 뛰어난 연출력을 보여주어 호평 의견이 많다. 특히 처음에 대원들이 괴수를 토벌하는 장면은 원작에 없는 오리지널 요소로 원작의 비판점이 애니메이션을 통해 개선되기를 기대하는 반응이 많다. OST 또한 호평이며, 중간중간 장면 분위기의 전환이나 등장인물의 심리를 고려한 적절한 배경음도 호평이다.

다만 방영 전의 우려대로 원작의 캐릭터 디자인과 괴리감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호불호가 존재한다.

2화 방영 이후 작화, 연출은 좋지만 개그씬이 너무 과도하다는 점과 지나치게 왕도적인 전개방식이 흥미롭지 않다는 평가가 애니메이션 유입층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pv때부터 괴수와의 처절한 전투씬을 기대하던 시청자가 많았기 때문에 이러한 가볍고 개그풍인 분위기가 생각했던것과는 다르다는 의견이 많다.애초에 원작을 따라간거다. OP, ED 영상이 공개되었는데 ED은 정지화면이지만 대원들끼리의 유대를 보여주는 느낌의 연출이라 호평을 받은 반면 OP은 다소 무미건조한 실사풍 MV형식이라서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고있다.

전체적으로 높은 퀄리티지만 서양에서의 초반부 화제성은 그렇게 좋지 못한 상황인데 아직 본격적인 전투씬이 나오지 않은데다가 원작에 대한 악평,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문제, 이질적인 서양풍 op 등이 발목을 잡고있는 상황이다. 방영전 인터뷰에서 제작진 측은 처음부터 전세계 흥행을 노리고 새로운 시도를 해봤다는 뉘앙스로 설명했지만 정작 서양에서도 일본 노래를 듣고 싶었다, 일본식 연출이 좋다라는 등 서양식 테이스트에 반감을 가진 시청자들이 상당히 많다. 아이러니한 점은 오히려 이러한 일본 특유의 느낌에서 벗어나고자 한 시도는 도리어 일본에서 잘 먹힌 건지 넷플릭스 재팬에서는 제법 높은 순위를 자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한국 넷플릭스에서도 첫 화 공개 이후 항상 탑10에 들어 있을 정도로 예상치 이상의 인기 몰이를 하고 있다. 초반부 화제성은 냉담했던 서양의 반응도 2분기 중후반쯤 오자 입 소문을 타기 시작한 건지 점차 의미 있는 성적을 보이며 흥행의 흐름을 타고 있는 게 보이기 시작했다.

작품의 소재만큼은 여러 작품들에서 레퍼런스를 통해 가져온것 때문에 조금은 신선함이 없어보이고, 작풍과 분위기도 스파이 패밀리와 비슷한 것 때문에 이질감이 느껴질 수 있다.[19]

4화까지 공개된 뒤의 팬덤 반응은 호평이 지배적이다. 원작에서 미흡하거나 부족했다고 느껴지는 부분에 대해서 애니메이션 제작진이 섬세하게 신경을 쓰며 각색하거나 추가하는 게 느껴지다 보니 제작진 잘 만났다는 평까지 나오고 있다.

4화에서 큰 액션과 작화에 힘을 많이 쏟았던 만큼 5화는 거의 쉬어가는 일상파트로 전개되었고 이전부터 지적받은 과도한 개그씬 남발도 어느 정도 줄어들고 적당해졌다는 평도 생겼다. 훈련과 일상씬들로만 이루어진 회차였기에 원작에서 거의 흘려넘기듯 지나간 훈련이나 거의 없는 일상 씬을 매꾸기 위해 상당부분이 오리지널로 추가되었다. 그 외에도 원작에선 꽤 까칠하고 자존심이 센 성격이었던 후루하시 이하루가 애니메이션에선 꽤 서글서글하고 활기찬 성격으로 바뀌고 원작에선 거의 엑스트라 급으로 분량이 없던 여성대원들인 미나세, 이가라시 등의 설정이나 분량이 일부 추가되는 등 원작에 비해 조연들의 캐릭터성을 꽤나 챙겨주고 있는 편.[20] 이로 인해 추가된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일상 씬들은 원작에서 모자랐던 연출과 설정을 충분히 보충해줘서 좋았다는 호평이 많다.

12. 원작과의 차이점

  • {{{#!folding 1화(원작 1화) [ 펼치기 · 접기 ]▼
  • 방위대원들이 작중 처음 등장하는 괴수를 토벌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원작에서도 카프카의 방이 공개되기는 했지만 원작에서는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빈 맥주캔 정도만 나온 것과 달리 애니에서는 설거지도 제대로 안 해서 가득 쌓인 싱크대와 옷도 대충 정리해서 방을 가득 채우고 있는 등 더 디테일하게 묘사됐다.
  • 카프카가 여수에게 쫓기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원작에서는 곧바로 추적 당하나 애니에서는 지형을 이용해서 최대한 시간을 번 것으로 각색했다.
  • 원작에서는 8호가 입 안에 들어갔을 때 카프카의 몸이 바들바들 떨리는 식으로 간략하게 묘사 됐지만, 애니에서는 몸부림을 치며 괴로워하는 모습이 자세히 나왔다.
}}}
  • {{{#!folding 2화(원작 2~3화) [ 펼치기 · 접기 ]▼
  • 병원에서 괴수로 변신한 카프카를 목격한 할아버지가[21] 뉴스에서 증언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원작에서는 카프카가 다시 인간으로 돌아왔을 때 눈가 정도만 벗겨지듯이 인간의 모습이 드러났었는데, 애니에서는 괴수의 얼굴이 흩어지듯이 사라지며 인간의 얼굴이 그대로 드러난다.
  • 원작에서는 카프카가 구한 아이와 미나가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없었으나 추가됐다.
  • 레노가 카프카에게 방위대 1차 합격 소식을 전하려 달려갈 때 그걸 지켜보던 몬스터 스위퍼 동료들이 흐뭇하게 웃으면서 잘 됐으면 좋겠다며 응원하는 장면이 추가됐다.
}}}
  • {{{#!folding 3화(원작 4~6화) [ 펼치기 · 접기 ]▼
    • 원작에서는 카프카가 부분 변신해서 키코루가 던져버린 회사 차량을 다시 바르게 세우는 걸로 묘사됐으나, 애니에서 아예 통째로 들어서 바르게 세우는 걸로 묘사했다.
    • 원작에서는 카프카가 전력해방 0% 뜨자 시간 좀 더 달라며 악을 쓰고 있을 때 호시노만 웃으며 지켜봤지만, 애니에서는 뒤에서 하루이치가 그 광경을 뭐라 표현하기 힘든 눈빛으로 바라보는 것도 추가됐다.
    • 괴수가 호시나에게 달려드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원작에서는 카프카가 여수에 당하고 그저 근성으로 일어서는 정도였으나, 애니에서는 근성으로 일어나는 것과 동시에 전력해방 수치가 0.01%이긴 해도 상승해서 지켜보던 호시나와 코노미가 놀라는 장면이 추가됐다.
    • 이번에는 절대로 따라잡겠다며 필사적인 카프카를 보며 미나가 반응하는 모습이 추가됐다.[22]
}}}
  • {{{#!folding 4화(원작 6~9화) [ 펼치기 · 접기 ]▼
    • 원작에서는 괴수의 공격을 막아내기 위해서 카프카가 괴수 8호로 전신 변신하지만, 애니에서는 부분 변신만으로 공격을 튕겨내고는 괴수를 쓰러뜨리기 위해서 전신 변신한다.
    • 의식을 되찾은 키코루에게 호시나가 찾아오고 호시나가 괴수를 물리쳐줘서 고맙다고 하자 키코루는 카프카를 숨겨주기 위해서 자기가 물리졌다고 직접 말하는 장면이 추가됐다.[23]
    • 카구라기가 신호탄을 쏘며 대피 유도하는 장면이 추가됐다.
    • 원작에서는 괴수가 터지며 분쇄되는 것처럼 사망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2화의 여수 때처럼 괴수가 사망하며 피의 비가 흘러내리며 주변이 피바다가 되는 걸로 각색했다.
    • 괴수가 부활하려고 하자 카프카가 절까지 하며 그러지 말아달라고 더 코믹하게 각색됐다.
    • 원작에서는 기습하려던 여수까지 쓰러뜨리고 변신 해제하지만, 애니에서는 만약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서인지 얼굴 부분만 해제한다.
}}}
  • {{{#!folding 5화(원작 10~11화) [ 펼치기 · 접기 ]▼
    • 입대식에서 이하루,하루이치,아오이등 조연 인물들이 자기소개 겸 서로에게 인사하는 씬이 추가되었다.
    • 원작 12화에서 나온 키코루에게 카프카가 괴수 8호가된 경위를 설명하는 카페 씬이 앞당겨져 먼저 나왔다.
    • 키코루가 괴수 8호에 대한 진실을 방위대에 알리게 되면 실험체로 쓰이다가 병기로 써먹게 될지도 모른다고 카프카에게 경고하고 카프카가 당황해서 키코루에게 가까이 다가가서 애걸복걸 하는 부분에서 원작에서는 그저 가깝다고 외치는 정도로 끝났지만, 애니에서는 아예 발로 차버려서 거리를 두도록 만드는 걸로 각색했다.
    • 훈련 후의 목욕탕 씬에서 여성진의 탈의실 씬이 생겼고 목욕 후의 미나와 여성 대원들이 이야기를 나누는 씬이 추가되었고 원작에선 등장하지 않았던 미나가 등장해 키코루에게 훈련의 기초를 알려주는 씬이 추가되었다.
    • 목욕탕에서 남성 대원들이 미나에 대해 이야기 할때 다른 엑스트라 남성 대원들도 같이 이야기 하는게 추가되었다.
    • 대원들끼리 미나가 찍은 포스터나 다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오리지널을 추가해서 미나가 가진 사회적 영향력이 얼마나 큰지 섬세하게 표현했다.
    • 남성진이 목욕탕에 너무 오래 있어 현기증이 나 기절 한 씬에서도 원작엔 없던 다른 엑스트라 남성대원들이 추가되었다.
    • 원작에서는 거의 "그런 일이 있었다"는 식으로 대사 처리되었는데, 애니에서는 괴수에 쫓기는 과거의 아히루와 그걸 구해주는 미나의 모습이 컷 수준이기는 해도 상세하게 설명하고 지나간다.
    • 신입대원들의 훈련&일상 씬이 오리지널로 대폭 추가되었다.
    • 신입들의 훈련중 오코노기,미나와 밧코[24]가 지나가는데 밧코가 카프카를 위협하며 으르렁거리다 물음표를 띄우며 의아해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25]}}}
  • {{{#!folding 6화(원작 12~14화) [ 펼치기 · 접기 ]▼
    • 시민들이 괴수 위기 대응 매뉴얼에 따라서 대피하는 원작에는 없는 오리지널 장면이 추가됐다.
    • 짧지만 미나가 3부대 간부를 모아놓고 작전을 짜는 장면이 추가됐다.
    • 원작에서는 첫 출동에 긴장한 카프카가 구역질을 느끼는 장면에서 키코루가 다급히 외치는 정도로만 지나갔는데 좀 더 소란스러워졌다.
    • 원작에서는 곧바로 방위대와 괴수가 충돌하였으나 애니에서는 자위대가 미사일을 쏘며 화력 지원하는 게 추가됐다.
    • 미나가 T-25101985 쏘는 장면이 원작에서보다 더 체계적이면서도 더 화려하게 연출됐다.
    • 원작에서는 카프카가 호시나랑 이야기를 나누다가 " 미나가 본수를 쓰러뜨렸다고" 말해서 호시나가 "이름으로 부르지 마"라고 딴지를 거는 부분이 있었는데 애니에서는 삭제됐다.
    • 원작에서는 레노와 이하루가 잠깐 전투를 치르고 잠시 숨을 돌리다가 갑작스럽게 괴수 9호와 마주하게 됐었는데, 애니에서는 작전 수행 이동 중에 이하루가 아직 전투로 인한 출입 금지 구역에 해체업자가 왜 벌써 왔냐며 빨리 대피하라고 괴수 9호에게 먼저 말을 거는 걸로 각색됐다.
}}}
  • {{{#!folding 7화(원작 15~19화) [ 펼치기 · 접기 ]▼
    • 원작에서는 자리를 이탈하던 이하루가 괴수 9호가 쏜 유탄을 피하다가 넘어지나 애니에서는 시간을 벌던 레노를 신경 쓰다가 발에 뭔가 걸려 넘어지는 걸로 각색했다.
    • 레노의 "선배, 조심하세요."란 말에 카프카가 "그래, 맡겨둬."라고 답하는 게 추가됐다.
    • 키코루의 오리지널 전투씬이 추가됐다.
}}}
  • {{{#!folding 8화(원작 20~23화) [ 펼치기 · 접기 ]▼
    • 호시나의 8호 토벌선언 후 레노와 이하루, 키코루가 반응하는 장면이 삭제되었다.
    • 호시나가 몬스터 스위퍼를 찾아가 행방불명된 9호의 원래 의태모습에 대해 묻는 부분이 삭제되었다.
    • 괴수 9호가 운전자를 잡아먹고 의태 모습을 바꾸기 전에 하던 대사와 잡아먹히기 직전 운전자의 대사가 삭제되었다.
    • 괴수 9호가 운전자를 잡아먹을 때 원작에선 몸 전체를 괴수형태로 바꾸어 잡아먹지만, 애니에선 인간형태와 괴수형태가 섞인 모습으로 하여 한층 기괴한 느낌을 주도록 변경되었다.
    • 괴수 9호가 운전자를 잡아먹는 장소가 그냥 도로에서 터널 앞으로 변경되었다.
    • 키코루가 하루이치에게 레노와 이하루의 퇴원 예정을 알려주는 장면이 삭제되었다.
    • 레노가 카프카를 보고 억지부리는 사람이 있다고 한 독백이 삭제되었다.
    • 이즈모 하루이치의 아버지 관련 서사가 추가되었다.
    • 카프카의 정규대원 승격에 다른 대원들이 헹가래를 해주는 장면과 이를 보며 카구라기와 이즈모가 대화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호시나가 8호의 실력을 확인하려 했다는 대사가 삭제되었다.
}}}

13. 기타

  • 이 작품의 스폰서인 TOHO animation은 보통 공식 유튜브 영상의 댓글을 막아두거나 검토를 위해 보류 설정을 걸어두는데, 이 작품은 특이하게 오프닝 엔딩 모두 댓글창을 열어두었다.


[1] 제작위원회 구성업체: TOHO animation, 슈에이샤 [NF자체판권] 4월 14일 일요일 00:00부터 업데이트된다. [DSNP자체판권] 4월 27일 중으로 한국 공개. VPN 이용시 한글 자막으로 바로 스트리밍 가능. [4] TV와 동시 방송. 그 외 스트리밍 서비스는 30분 뒤 공개. [5] 그러나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흥행한 작품들의 주제가는 대부분 일본 가수들이 맡아왔으며 일본 애니메이션다운 매력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면 시청자들 또한 따라오기 마련이므로 이러한 제작사의 의도가 먹혀들지는 미지수다. 특히 애니메이션과 J-POP의 시너지 효과를 더욱 끌어올리며 전세계적으로 흥행한 【최애의 아이】, 마슐 신각자 후보 선발 시험 편 등 흥행을 위해 유명 J-POP 아티스트를 기용하려 제작사간의 경쟁이 불타오르고 있는 와중에 서양 팝 록 가수를 기용한건 흐름에 역행하는 행위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6] Mattias Per Larsson, Robin Lennart Fredriksson [7]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A] 액션 [A] [M] 메카 [E] 이펙트 [M] [E] [E] [M] [E] [17] 이전부터 카메다 요시미치, 키세 카즈치카 등이 니시오라고 말해버려서 공공연한 사실로 여겨졌다. [18] 니시오 테츠야의 작화 특징이기도 하다. [19] 심지어 두 작품 모두 소년 점프+에서 연재되고 있다. [20] 아무래도 원작의 방위대에서 주연 5인(카프카, 레노, 키코루, 미나, 호시나)외 나머지 대원들이 그나마 이하루, 하루이치, 아오이를 제외하면 거의 엑스트라에 가까울 정도로 분량이나 행동묘사가 없었던 점을 고려해 캐릭터들의 분량 배분과 캐릭터성을 위해 어느 정도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을 추가한 것으로 보인다. [21] 덤으로 나이까지(103세) [22] 원작에서는 무슨 표정을 짓는지 알 수 없는 상태로 지나가는 장면처럼만 나온다. [23] 원작에서는 임명식 때 미나가 키코루에게 감사의 인사를 하며 키코루가 카프카를 지켜주기 위해서 거짓말했단 게 드러난다. [24] 아시로 미나의 애완 백호. [25] 밧코는 괴수가 되다만 생물이라 괴수를 감지할 수 있다보니 카프카의 몸 속의 괴수 8호를 본능적으로 감지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