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3:31:33

과학(교과)

<문학>, <미적분Ⅰ>, <이산 수학> 따위는 총론 성격에서 과목이라고 명시되어있으며, 교과가 아닙니다. 교과는 과목보다 더 넓은 범주의 개념입니다.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교과
국어과 · 수학과 · 영어과 · 과학과 · 사회 교과군( 사회과 · 역사과 · 도덕과)
예술 교과군( 음악과 · 미술과 · 연극과) · 체육과
실과(기술·가정)과 · 정보과 · 제2외국어과 · 한문과
창의적 체험활동 · 교양과 · 전문교과
※ ' 교과', ' 과목', '시험 선택과목'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 별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 교과 분류 체계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고등학교)을 기준으로 한다.



1. 개요2. 이 교과가 다루는 과목3. 하위 문서

Science Studies

1. 개요

교육과정의 교과 영역 중 하나로 한국 교육계에서의 행정상 공식 명칭은 ‘과학과’이다.

자연과학을 비롯한 일부 공학·기술적인 내용을 교육 개념으로 정제하여 다룬다. 이 교과가 다루는 하위 항목을 굳이 구분하자면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생물학), 지구과학( 지질학[1], 기상학, 해양학, 천문학[2])이 있다.

대부분의 외국에서도 중요한 교과로 인식하여 다루고 있지만, 영역 간의 비중상의 차이가 있다. 20세기까지만 해도 한국에서는 다른 나라처럼 물리학, 화학을 필수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7차 교육과정 이래로 선택 제도가 심화되면서 현재 생명과학, 지구과학보다 밀리는 안습한 위상이 되고 말았다. 이건 탐구 영역 선택 가능 과목 수가 4과목에서 3과목을 거쳐 2과목으로 줄어든 데다 입시 제도 속에 '합리적 선택'이라는 경제 논리를 풀어버리면서 물리학과 화학이 밀려 버린 것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사실 이에 관해서도 끊임없이 문제가 지적되곤 한다. 일본에서는 이 과목을 '이과(理科)'라고 부른다.

2. 교과가 다루는 과목

과학과 교과목을 일컫는 말이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때까지는 과학이라는 이름의 교과서를 사용하지만[3], 고등학교 1학년은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4], 고등학교 2학년부터는 과학탐구 영역으로 8개의 분과된 과목으로 배우게 된다.[5]

2.1. '15 개정 기준

파일:비상교육 통합과학 교과서.png 파일:비상교육 과학탐구실험 교과서.png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통합과학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파일:비상교육 물리학Ⅰ 교과서.png 파일:비상교육 물리학Ⅱ 교과서.png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물리학Ⅰ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물리학Ⅱ
파일:비상교육 화학Ⅰ 교과서.png 파일:비상교육 화학Ⅱ 교과서.png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Ⅰ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Ⅱ
파일:비상교육 생명과학Ⅰ 교과서.png 파일:비상교육 생명과학Ⅱ 교과서.png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생명과학Ⅱ
파일:비상교육 지구과학Ⅰ 교과서.png 파일:비상교육 지구과학Ⅱ 교과서.png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Ⅰ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Ⅱ

3. 하위 문서


[1] 지질학쪽은 감수를 잘 안 하는지 항상 오류 투성이라고 지질학과 고생물학 관련 커뮤니티에서 먼지나게 까인다. [2] 천문학은 지구가 아닌 다른 우주 천체들을 다루는 학문이기에 엄밀히 말하자면 지구과학이 아니지만, 고등학교 과학 교과 과정에서는 지구과학에 포함시켜서 가르치고 있다. [3] 초등학교는 6차 교육과정 시절까지만 해도 자연이라고 했으며, 일부 중학교는 과학 과목을 물상, 생물 2개로 나눠서 배운다. [4] 8년동안 한 교과서에서 물화생지를 모두 다루는 것이다. 과학탐구실험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분류되었으며, 학생들은 초등학교 및 중학교 때처럼 과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뭐 지난 교육과정만 해도 고1과학이 그냥 과학이었던거 생각하면 틀린거 없긴 하다. 통합과학은 2명 이상의 선생님이 한 학급에 들어올 수 있어(같은 시간에 2명이 들어오는 것이 아니다) 과학A, 과학B라고도 부른다. 일부 학교는 통합과학을 아예 C, D까지 나누기도 한다. [5] 정규 과탐의 경우 보통 이과 학생들만 이수하지만, 문과학생들도 어차피 졸업때까지 과탐 1과목은 들어야 하기에 진로선택 대신에 선택하기도 하고 (이과의 사탐선택도 마찬가지. 보통 문과생들은 과학탐구 1과목을 선택할 때 그나마 만만한 생명과학I이나 지구과학I을 고르는 경향이 있다.), 어떤 학교들의 경우 1학년때 생명과학I 등의 일부 과목은 (교육청 몰래) 공통 이수하기도 한다. 과학고의 경우 1학년 때 II과목까지 끝낸다. [6] 2023년 현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다. [7]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진 '물리'였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엔 '물리학'으로 바뀌었다. [8] 7차 교육과정까진 '생물'이였으나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엔 '생명과학'으로 바뀌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