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2:22:00

고유어

1. 정의2. 한국어의 고유어
2.1. 영어2.2. 일본어
3. 비교언어학에서

1. 정의

固有語. 해당 언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이다. "고유어"라는 단어도 한자어이며 한국식 한자어이다.

2. 한국어의 고유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순우리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모찌

2.1. 영어

이글스 화이팅

파인애플처럼 영어에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진 단어[1]들도 존재하나, 사실 이것도 pine이 외래어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고유어라고 부를 수 있는 단어는 더더욱 적다.

2.2. 일본어

일본어의 고유어는 和語(わご, 와고) 혹은 大和言葉(やまとことば, 야마토코토바)라 부른다.

일본어의 고유어는 대부분 한자로 표기될 수 있지만, 이는 한자의 본래 음과는 관계없이 뜻만 빌려쓴 것으로써 한자어라고 볼 수는 없다. 일본어는 한자를 많이 사용하지만, 가나의 발명과 함께 이런 독특한 한자 이용방식으로 한자라는 외래 뜻글자를 사용하면서도 고유어를 수용할 수 있었다.

3. 비교언어학에서

비교언어학에서 어족을 추측하는 데 있어 차용어를 비교대상으로 삼는 것은 삽질이 되므로 고유어는 매우 귀중한 재료이다. 예로서, 외래어인 ' 버스'와 ' 컴퓨터' 같은 낱말을 놓고 영어 'bus', 'computer'와 같기 때문에 영어와 한국어는 같은 계통이라고 하면 안 된다는 말. 고유어 가운데 다른 언어와의 계통적 연관성을 추측할 수 있는 낱말들을 동계어(cognate)라고 한다.

한국어의 경우 한국어 고유어( 순우리말)를 살펴보았을 때 다른 언어와 계통적 연관성이 보이지 않아 고립어로 여겨진다. 제주어나 과거의 언어를 현대 한국어와는 다른 언어로 보고 이것들과 엮어서 한국어족으로 보기도 한다.

[1] 파인애플의 경우는 위에서 말한 독일어와 단어 형성 방식이 유사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1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