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18:57:04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eee,#000>현대 한글 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현대 한글 기타 자모
자​음 <colbgcolor=#eee,#000>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기타 모음(11개) · · · · · · ·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옛한글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colbgcolor=#eee,#000>기본 자모 · · · (아래아)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초​성 <colbgcolor=#eee,#000> 각자​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합용​병서 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ᆖ) · (ᆢ) ·
종성 · ·
오류로 만들어진 옛한글
초​성 }}}}}}}}}
}}}

1. 한글 자모의 여섯 번째2. 제자 원리3. 과거 어휘

1. 한글 자모의 여섯 번째

<colbgcolor=#ddd,#292929> 이름 비읍
분류 자음(예사소리)
음성 <colbgcolor=#e7e7e7,#363636> 어두 p (b̥)
어중 b
종성
종성+모음앞 b
자음동화 m
경음화
(된소리되기)
격음화
(거센소리되기)
[clearfix]
한글 자모의 여섯 번째 글자. 비읍이라고 읽는다. 두 입술을 다물었다가 벌려 입 안의 공기를 밖으로 터트려 내는 양순 파열음. 종성일 때는 입 안의 공기를 밖으로 터트리지 않고 발음한다. 된소리로는 이 있으며 쌍비읍이라고 부른다. 북한에서는 된비읍이라고 부르는데, 조선어 신철자법 제정 당시에는 삐으ퟦ[1]으로 불렀다.

번호판에 가장 많이 쓰이는 자음이다. 바, 배는 영업용, 버, 보, 부는 자가용 차량에 쓰인다.

2. 제자 원리

ㅁ에 획을 가한 형태다.

3. 과거 어휘

용비어천가 등의 문헌에서는 속격으로 ㅅ 대신 여러 다른 자음들이 쓰이기도 했다. ㅁ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류에 붙어 ㄷ, ㅂ, ㅅ, ㅈ, ㅊ, ㅎ으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 쓰였다.


[1] 으+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