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서비스 | <colbgcolor=#fff,#1f2023> Shorts · Premium · Music · Kids |
기록 | 구독자 순위 · 좋아요 순위 · 조회수 순위 · 인기 동영상 | |
비판 | 문제점( 사용자/ 시스템/ 운영/ 광고) · 사건 사고 ( 2010년대/ 2020년대) · 노란 딱지 | |
기타 | 유튜브 크리에이터( 유튜브 6개월 법칙) · 게시 중단된 음악 · YouTube 크리에이터 어워즈 · 콘텐츠 ID |
OTT 서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대한민국| |
<tablebgcolor=#fff><tablewidth=100%> | ||||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중국|
|
|
|||
|
||||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일본|
|
|
|
|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스포츠 중계 서비스
|
|
|
|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실시간 방송 서비스
|
||<^|1><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
||}}}}}}}}} ||
YouTube Premium 유튜브 프리미엄 |
|
|
|
<colbgcolor=red> 개발 | 구글 |
발표일 | 2015년 10월 21일[1] |
종류 | 유튜브의 유료 요금제 |
지원 국가 | 문단 참고 |
가입 페이지 |
|
[clearfix]
1. 개요
공식 홈페이지구글에서 서비스 중인 유튜브 유료 요금제. 2015년 10월 21일 처음 발표되었고, 2016년 12월 6일에 미국, 호주, 뉴질랜드, 멕시코에 이어 한국에 전 세계 다섯 번째로 출시되었다.
처음 발표 당시에는 Red(레드)라는 이름이었으나 2018년 6월 개편 이후 Premium(프리미엄)으로 변경했다. 기존에는 한국 한정으로 유튜브 뮤직 이용이 프리미엄에 함께 묶음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였으나, 2020년 9월 2일부터 유튜브 뮤직 서비스가 유료화되면서 해외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유튜브 뮤직만 제공하는 서비스와 프리미엄과 같이 제공하는 서비스로 가격에 차등을 주어 이원화되었다.
2. 구독 종류
2.1. 유튜브 뮤직 프리미엄
- YouTube Music 사용 가능
- 오프라인 스테이션,[4][5] 다운로드 기능[6]
- 동영상 오프라인 저장 가능 이는 현재 Android 또는 iOS가 탑재된 모바일 기기나 컴퓨터 Chrome 브라우저에서 제공된다. 기기를 30일마다 인터넷에 연결하면 다운로드된 동영상을 계속 볼 수 있으며, 30일이 지나도 인터넷에 연결하여 라이선스를 업데이트하면 추가적인 다운로드 없이 볼 수 있다.
- YouTube 뮤직 앱 백그라운드 재생 기능[7]
- 오디오 전용 모드 기능[8]
- YouTube Music 프리미엄 사용자 한정 이용 가능 음악 액세스 가능[9]
- YouTube Music에서 표시되는 국가는 유튜브와 다르게, 계정이 귀속된 국가로 표시된다.[10]
음원 사이트의 이용권 방식과 똑같다. 이용요금은 한국 8,690원(7,900원 + 부가가치세 790원). iOS 결제시 11,500원. 미국 9.99$/월, 일본 980엔/월,
갭리스를 지원한다.
Google Play Music에서 이어받은 기능으로, PC 화면 상단 우측에 '음악 업로드'라는 버튼이 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자신이 가진 음악파일을 직접 업로드하여 자신의 계정에 연결된 모든 기기에서 들을 수 있다.[11] 다만, 이 기능은 아직 한국에서 지원되지 않으며, VPN 사용하여 업로드한 후 다시 한국 IP로 접속시 들을 수 없는 노래로 표시된다.
2.2. 유튜브 프리미엄
- YouTube Music Premium 구독의 모든 혜택 포함
- 유튜브 광고 제거
- 유튜브 앱 백그라운드 영상 재생[12]
- 한국 외 대부분 지역에서 무료로 제공. VPN 및 해외 IP 사용시 무료로 사용 가능.
-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13]
- 유튜브 오리지널 감상 가능
- 다른 작업을 하는 동시에 작은 화면으로 영상과 작업을 하는 기능(PIP 기능)[14]
기존의 유튜브 레드를 대체한다. 서비스 명칭에서 느껴지는 이미지와는 달리 프리미엄이 뮤직 프리미엄의 상위호환 서비스이다.
한국 서비스 이원화 이후 가격이 인상되었다. 한국 기준 10,450원(9,500원 + 부가가치세 950원). iOS 결제시 14,000원.[15] 단, 2020년 9월 2일 요금 인상 이전 가입자는 구독을 지속할 경우 가격이 유지된다.[16] 구글 측에서는 인상 이전 가입자들에 대해서 인상 계획은 없다고 한다. 구독을 일시정지하면 최대 6개월 이내로 원할 때 기존 가격으로 재개할 수 있다.[17]
한국에서는 만 19세 이상만 구독 가능하다.
미국 기준 11.99달러, 일본은 1,180엔(iTunes에서 결제시 1,550엔) 국가에 따라 가족 요금제[18], 학생 요금제[19]가 있기도 하다.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 프리미엄에 가입하려고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광고일 것이다. 유튜브 프리미엄에 가입하지 않을 경우 대개는 영상마다 광고가 나오기에 일일이 광고 건너뛰기 버튼을 눌러줘야지 길이가 긴 동영상을 끊김 없이 계속 시청할 수 있으며 동영상 시청을 하면서 운동이나 공부 등의 다른 일을 하는 도중에 광고가 뜨면 정말 딥빡이 아닐 수 없기 때문에 가입하려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웹 한정으로 애드블럭 같은 광고 차단용 프로그램을 깔아서 해결하는 사람도 있다.
또, 유튜브 뮤직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는데 기존 한국에서 운영하는 음원사이트들만 하더라도 한달 정기결제가 1만원이 넘는 걸 보면 음원서비스 + 영상 광고 제거로 나쁘지 않은 가격으로 보는 사람들도 많다. 물론 가사 제공 부분이 미비하고 유명하지 않은 한국 노래가 간혹 없기는 하지만 다양한 해외노래와 알고리즘을 통한 추천 음악 제공에 장점이 있다.
언제부턴가[20] 유튜브 프리미엄에 YouTube 기능 실험 대상 참여 가능이 추가되었다. [21]
가끔씩 구글이 프리미엄 이용자에게 다른 혜택을 주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서 4,990원 이하의 채널 멤버쉽에 무료로 가입할 수 있게 해준다거나[22] 5만원 상당의 구글 홈 미니를 뿌린다거나. 물론 이는 다 기간 제한이다.
2.2.1. 유튜브 오리지널
유튜브에서 자체 제작한 영상들을 볼 수 있다. 대부분 영어로 된 드라마(자막 있음), 다큐나 애니메이션 위주이지만, 한국어 영상도 조금씩 추가되고 있다. 2021년 3월에 8부작 다큐 K-POP Evolution이 공개되었다. 채널 링크단, 주의할 점이 유튜브 오리지널 감상시 만 나이를 입력하지 않은 계정이면 재생이 안될 수 있다. 만약 본인이 프리미엄에 가입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오리지널을 시청하려고 할 때 풀영상이 아닌 예고영상이 나온다면, 나이를 체크해봐야 한다.
2019년을 끝으로 유튜브 오리지널 드라마 제작 중단을 발표했다. 그리고 현 시점 기준으로는 예전에는 프리미엄만 시청 가능하고 일반 유저에게는 티저만 나왔지만, 지금은 일반 유저도 광고가 붙지만 시청할 수 있다.
결국, 2022년에 아동용을 제외하고 사업을 철회하였다. #
2022년 8월 14일, 새로운 OTT 마켓플레이스를 준비하고 있다는 기사가 나왔다. # 내부적으로 '채널스토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2022년 가을에 서비스할 예정이라고 한다.
유튜브 오리지널 드라마
|
|||
제목 | 제작 국가 | 방송 분량 | 방송 현황 |
2016년 | |||
12 데들리 데이즈 12 Deadly Days |
|
미니시리즈, 총 12 회 | 종영 |
2018년 | |||
임펄스 Impulse |
|
시즌 2, 총 10 회 | 종영 |
사이드스와이프드 Sideswiped |
|
시즌 1, 총 8 회 | |
오리진 Origin |
|
시즌 1, 총 10 회 | |
샴페인 일 Champaign ILL |
|
시즌 1, 총 10 회 | |
탑매니지먼트 |
|
시즌 1, 총 16 회 | |
스텝 업 하이 워터 Step Up: High Water |
|
시즌 2, 총 20 회 | Starz로 이동 |
코브라 카이 Cobra Kai |
|
시즌 2, 총 20 회 | 넷플릭스로 이동 |
2019년 | |||
위어드 시티 Weird City |
|
시즌 1, 총 6 회 | 종영 |
웨인 Wayne |
|
시즌 1, 총 10 회 |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로 이동 |
2020년 | |||
브라바스 Bravas |
|
시즌 1, 총 8 회 | 넷플릭스로 이동 |
3. 여담
- 유튜브에 검색하면 나오는 영상 또는 음악이 유튜브 뮤직에는 음악이 아니라는 이유로 검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인의 재생목록에 있더라도 재생이 불가능하다. 이는 저작권자의 수익 문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 이 서비스가 출시되면서 프리미엄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이용자의 불편이 늘어났다. 영상 도중 광고 송출[23]이 잦아지고, 스킵 불가능 광고(범퍼 광고)도 늘어났다. 2018년 8월 27일경에는 유튜브 홈 화면에 유튜브 프리미엄 무료 영상이 많이 뜨는 일이 있었다. 다음 날부터 수는 적어졌지만 계속해서 유튜브 프리미엄 유료 영상이 뜨고 있었지만 9월부터는 다시 뜬다. 그리고 2019년 5월 24일부터 1/4이 유튜브 프리미엄 홍보광고로 나온다. 게다가 유튜브 앱을 실행할 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없을 때 열면 거의 반드시 떠서 라이트 유저들은 광고가 너무 지나친 탓에 엄청 짜증나고 일일이 누르기 귀찮다고 한다. 때문에 업데이트를 제거해서 2018년 초기 버전으로 되돌리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으며 유튜브 광고 차단에 최적화된 Adblock Plus 등의 사용량이 증가했다.
- 여럿이 협업해 만든 곡의 경우 아티스트 보기를 누르면 이름이 먼저 적힌 아티스트의 페이지로 이동한다.
- 일부 외국 가수들의 경우 일부 한국어로 번역되는데 그게 정확하지 못하다. 일례로 Pomme가 완전히 다른 뜻인 "지혜"로 번역된다든가...[24]
- 2020년 기준으로도 없는 음반이 많다. 이러면 멜론 같은 한국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일반 유튜버가 올린 영상으로 들어야 한다. 물론 그런 영상 또한 뮤직 앱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기도 하지만... 음반이 올라오는 주기도 긴 편이다. 유튜브 채널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아티스트들은 유튜브 뮤직에도 착실히 음원이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아티스트들의 음원은 듣기 힘든 경우도 많다.
- 유튜브 일반 사이트 내 음악 단가가 지나치게 낮다. 국내 스트리밍 플랫폼의 7분의 1에서 10분의 1 수준. 스포티파이는 이용자 1인당 연간 20달러를 창작자 집단에 분배하지만, 유튜브는 1달러도 못 미친다. 다만 해당 기사는 음악 업체의 입장을 다룬 기사인 만큼, 그저 밥그릇 지키기 위한 언플일 수도 있다. 한국 음악 업체의 수익 정산 비율 역시 창작자에게 매우 불리한 편이며, 과거 애플 뮤직이 한국에 처음 상륙했을 당시 로엔엔터테인먼트를 필두로 대규모 언플[25] 및 음악 공급 거부를 통해 방해한 전적도 있는만큼 완전히 신뢰하기는 어렵다. 무엇보다 유튜브 프리미엄 유저들도 제대로 된 음질의 음악을 듣고 싶으면 함께 패키지로 제공되는 유튜브 뮤직을 써야한다. 작정하고 여러 곡의 음악을 들으려고 한다면 유튜브 메인 서비스를 쓸 이유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유튜브 뮤직은 유튜브 브랜드로 엮여있는 것과는 달리 실상은 그냥 지극히 평범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라 수익 분배 비율도 유튜브 메인 서비스와는 기준이 전혀 다르다.
- 유튜브 뮤직도 이퀄라이저를 지원하기 시작했다.[26]
-
유튜버들이 본인들의 영상 그 자체에 직접 스폰서 광고를 때려박으면서, 유튜브 프리미엄의 광고로부터의 자유 기능이 점점 무의미해지고 있다.
이에 대한 반론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광고를 바로 넘길 수 있고 정말 악질 유튜버가 아니라면 영상을 시청하기 힘들 정도로 광고를 도배하는 일은 많지 않다. 또한 '유튜브 광고'를 표시하지 않으려는 목적으로 유튜브 프리미엄을 사용하는 것이지, 영상 내부의 광고까지 가릴 목적으로 결제하는 것이 아니다. 유튜브 영상 내부에 유료 광고가 포함되어 있으며 스트리머가 시청자들에게 표시하도록 설정한 경우 플레이어 왼쪽 아래 '유료 광고 포함'이라고 표시되며, 이러한 영상도 마찬가지로 유튜브 광고를 포함할 수 있고 영상 내부의 광고는 바로 넘길 수 있다. - 최초 고객의 경우 1달 무료였던 것이 2달로 연장되었다. LG U Plus 이용 고객이면 3달 무료 이벤트가 진행중이다. 이벤트 시작후 타 통신사로 갈아탔더라도 해당 프로모션의 혜택을 볼 수 있다.
-
갤럭시 시리즈를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4개월 무료 체험 이벤트를 진행한다. LG U+를 이용한다면 3개월도 더 받는다. - 구글에서 한 번씩 유튜브 프리미엄 회원들에게 공짜로 구글 기기들을 선물하는 이벤트를 여는데, 2020년에만 구글 네스트 미니라든지 크롬캐스트 울트라, Stadia 게임 컨트롤러 등을 프리미엄 회원들 중 신청자에게 그냥 무료로 배송해줬다. 이 정도면 2020년 한해 동안 내는 유튜브 프리미엄 결제 금액을 다 보상받을 수 있는 수준. 보통 이벤트가 공고 며칠 전까지 가입자에 한해서 기기를 증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타이밍만 잘 맞추면 오히려 더 싼 가격에 기기들을 살 수 있는 셈. 물론 구글 관계자가 아닌 이상 이를 예측할 수는 없지만. 그러나 혹시 인도나 아르헨티나 우회결제를 했다면 이 선물은 받을 수 없다.
- 2021년 10월경 장기 멤버십 대상으로 Google one 클라우드 스토리지 100GB 3개월 무료쿠폰을 주었다.
- 2022년 1월 19일부터 가격 표시 방법이 VAT(부가가치세) 포함 가격으로 변경되었다.[27]
- 갤럭시나 아이폰을 구매할 경우 판촉 행사로 1개월 무료 이용권을 주기도 한다.
- 최초 체험 후에는 약관에 의해 계정 연령이 만 19세 이상으로 판정되어 미성년자 시청 불가인 동영상도 시청이 가능해진다.[28]
- 오프라인 저장 기능은 오류가 많다. '완료되지 않은 영상을 찾는 중'이라는 알림이 지속적으로 뜨는 오류는 유명하고, 이미 저장이 다 끝난 영상을 나중에 다시 저장하기도 하는 등[29] 불편한 점이 굉장히 많다. 정작 이 문제에 대해 문의하면 유튜브 프리미엄 기한이 끝나지 않았는지, 혹은 다른 기기에서 저장된 영상들이 있는지[30] 확인해보라는 등 이상한 답변만 와서 악명이 높다.
-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자에 한해 고음질 오디오 스트리밍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1]
Youtube Red 발표일 기준
[2]
단, 서비스 자체 유료는 한국 IP 주소에만 적용되므로 VPN을 이용해 타 국가 IP로 우회하면 기존처럼 무료 이용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해외 인터넷 망으로 접속했을 때도 동일하다.
[3]
한국에서 유튜브 뮤직을 광고와 함께 무료로 이용할 수 없게 만든 이유는 아무래도
스포티파이가 국내에 상륙했을 때의 사례를 보면 광고료와 관련하여 수익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모바일 한정. 사용자의 음악 청취 성향을 고려하여 매일 밤 적절한 배터리 잔량과 Wi-Fi 연결이 있으면 최대 500곡을 다운로드하는 기능도 있다.
[5]
간혹 프리미엄을 결제하지 않은 사람들이 쓸 수도 있는 걸로 보아, 단순히 유튜브 뮤직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에게도 일시적으로 제공하는 듯 하다.
[6]
하지만 음원 파일은 Google의 Widevine DRM에 묶여 있어 30일마다 1번씩 인터넷 연결로 라이선스를 업데이트해야 하며, YouTube Music 앱에서만 재생이 가능하다.
[7]
화면 꺼진 상태 재생 포함, PIP 기능 미포함.
[8]
이 기능은 앱을 보고 있는 상태에서 동영상 대신 음악부분만 들을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다. 모바일 데이터 사용시 데이터 절약에 특히 유리하다.
[9]
이 음악들은 유료 계정으로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는 들을 수 없다.
[10]
따라서 만약 해외계정을 사용하며 그 나라에서만 들을 수 있는 음악을 라이브러리에 넣어둘 경우, 로그인하지 않으면 이를 들을 수 없다. 또한, 핫리스트 항목에 그 국가에서 인기있는 뮤직비디오들이 나온다.
[11]
가족 요금제 사용중일 경우 같은 구독을 사용중인 다른 가족 계정을 포함한 다른 사용자들은 내가 업로드한 음악들을 들을 수 없다.
[12]
뮤직 프리미엄만 이용할 경우 유튜브 뮤직 앱만 지원하게 되지만 그냥 프리미엄을 이용할 경우 둘 다 지원한다.
[13]
모바일 앱에서 DRM이 장착된 채로, 원하는 해상도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단, 배속 지원은 되지 않는다. 일반 동영상 다운로드와 다른 점은 용량이 매우 작다는 점.
[14]
안드로이드 오레오 이상부터.
iOS에서는 iOS 14 이상에서 미국부터 순차 적용된다.
macOS 웹 환경에서는 잘 지원한다.
[15]
웹 환경에서 결제하더라도 애플 기기에서 이용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는 없다. 굳이 아이폰 앱에서 추가금액 얹어 결제할 이유는 없는 셈.
[16]
7,900원, 세금포함 8,690원.
[17]
반드시 구독 취소가 아닌 일시정지를 해야한다! 구독을 취소할 경우 구독 기간이 남아있어도 월 9500원+VAT의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18]
대한민국, 베네수엘라, 벨라루스,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제외.
[19]
학생 요금제를 제공하는 모든 국가(한국 미포함)에서는 대학생 이메일을 인증해야 이용 가능하다.
[20]
2020년 하반기~2021년 쯤.
[21]
원래는 일부 유저에 랜덤(…)으로 제공이었다.
[22]
광고 수입처럼 구글에서 유튜버에게 따로 수익을 지급한다.
[23]
X초 후 광고 표시 문구가 미리 나온다.
[24]
pomme은 프랑스어로 사과를 의미한다.
[25]
마찬가지로 수익 정산 비율을 가지고 물고 늘어졌는데, 실제로는 애플 뮤직의 정산 방식이 창작자에게 더 유리한 편이었다.
Apple 문서와 애플의 역사를 보면 알겠지만, 애플은 아티스트들과 문화예술 업계에 굉장히 우호적이며 예술적인 사상을 좋아하는 기업으로 유명하다. 애플 제품들의 호평받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디자인이 어디서 나왔겠는가. 또한 예술가들이 자신들의 창작 도구로써 애플 제품의 큰 소비자들 중 하나이므로, 애플이 굳이 그런 사상이 없더라도 우호적일 수 밖에 없다. 당장 영상편집 툴인
파이널 컷 프로나 작곡 MIDI 프로그램
로직 프로가 어느 회사가 개발한 독점 툴인지 생각해 보자.
[26]
iOS에선 지원하지 않는다. 애플 계열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모두 음장이나 이퀄라이저에 상대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퓨어한 사운드를 전통적으로 중시하고 있고 소비자들도 대체로 여기에 길들여져 있는지라 이런 요인이 iOS 앱 기능 개발 우선순위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 애플 본인들이
애플 뮤직을 서비스하고 있는 만큼 경쟁사 앱에 기능을 주는 것을 그리 좋아할 리도 없다.
[27]
애초에 법률상으로 무조건 VAT를 포함 시킨 금액이 표시되어야 했으나, 변경되기 이전까진 비포함 가격으로 표시하고 있었다.
[28]
단점은 프리미엄 종료 후 아동용 동영상을 볼때마다 길이가 4초인 '이 광고 끝나고 다시 만나요'라는 광고가 종종 뜨면서 강제로 광고를 보게 한다. 영상을 껐다 켜기를 반복해도 거의 90% 계속 나온다. 광고가 끝나면 다시 2초동안 같은 광고가 연출되고 영상이 재생된다.
[29]
즉 다운로드가 완료되어 저장공간까지 차지하고 있음에도 자동으로 다시 저장이 진행되는 오류로, 긴 시간을 들여 저장했는데 막상 영상을 보려 하니 오프라인 저장 대기 중이라며 시청할 수 없는 영상이 상당히 많다.
[30]
기한이 끝났거나 다른 기기에서 저장된 상태에서는 애초부터 오프라인 저장이 진행되지 않는다. 오프라인 저장을 한 상태에서의 오류를 문의했는데 뜬구름 잡는 답변만 하고 있는 것.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