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4 16:37:31

Windows 11/버전/21H2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Windows 11/버전
파일:Windows 로고.svg 버전
10 Version 21H1 Version 21H2 Version 22H2
11 Version 21H2 Version 22H2
Version 21H2
<colbgcolor=#0078d6><colcolor=white> 업데이트명 최초 출시
코드명 정식: Sun Valley
개발: Cobalt
출시 빌드 10.0.22000.194
개발 기간 2019년 12월 17일 ~ 2021년 9월 17일
출시일 2021년 10월 5일
지원 기간 <colbgcolor=#0078d6><colcolor=white> 일반 지원[1] 2023년 10월 11일
지원 종료
연장 지원[2] 2024년 10월 9일
지원 중


1. 개요2. 빌드 일람3. 개발4. 변경점5. 21H2에서 삭제된 내용6. 알려진 문제7. 해결된 문제점8. 기타

[clearfix]

1. 개요

마이크로소프트가 정식 출시한 Windows 11의 첫번째 버전이다. 버전에 대한 명칭은 21H2이다.

2021년 10월 5일 정식 출시되었다. #

21H2라고 이름 붙여진 버전이 3가지나 존재하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빌드 일람


패스트 링(종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vNext 20H2(Manganese)
10.0.19536.1000 2019년 12월 17일
10.0.19541.1000 2020년 1월 9일
10.0.19546.1000 2020년 1월 17일
10.0.19551.1005 2020년 1월 24일
10.0.19555.1001 2020년 1월 31일
10.0.19559.1000 2020년 2월 6일
10.0.19564.1000 2020년 2월 13일
10.0.19564.1005 2020년 2월 13일
10.0.19569.1000 2020년 2월 21일
10.0.19577.1000 2020년 3월 6일
10.0.19582.1001 2020년 3월 13일
10.0.19587.1000 2020년 3월 19일
10.0.19592.1001 2020년 3월 26일
10.0.19603.1000 2020년 4월 9일
10.0.19608.1000 2020년 4월 16일
10.0.19608.1006 2020년 4월 18일
10.0.19613.1000 2020년 4월 23일
10.0.19613.1005 2020년 4월 28일
10.0.19619.1000 2020년 4월 30일
10.0.19624.1000 2020년 5월 7일
10.0.19628.1 2020년 5월 14일
10.0.19631.1 2020년 5월 22일
10.0.19635.1 2020년 5월 29일
10.0.19640.1 2020년 6월 4일
10.0.19645.1 2020년 6월 11일 }}}}}}}}}
개발자 채널(종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vNext 21H1(Iron)
10.0.20150.1000 2020년 6월 18일
10.0.20152.1000 2020년 6월 25일
10.0.20161.1000 2020년 7월 2일
10.0.20170.1000 2020년 7월 16일
10.0.20175.1000 2020년 7월 23일
10.0.20180.1000 2020년 7월 30일
10.0.20185.1000 2020년 8월 6일
10.0.20190.1000 2020년 8월 13일
10.0.20197.1000 2020년 8월 22일
10.0.20201.1000 2020년 8월 27일
10.0.20206.1000 2020년 9월 3일
10.0.20211.1000 2020년 9월 11일
10.0.20211.1005 2020년 9월 12일
10.0.20215.1000 2020년 9월 17일
10.0.20221.1000 2020년 9월 24일
10.0.20226.1000 2020년 10월 1일
10.0.20231.1000 2020년 10월 8일
10.0.20231.1005 2020년 10월 13일
10.0.20236.1000 2020년 10월 15일
10.0.20236.1005 2020년 10월 17일
10.0.20241.1000 2020년 10월 22일
10.0.20241.1005 2020년 10월 24일
10.0.20246.1 2020년 10월 30일
10.0.20251.1 2020년 11월 5일
10.0.20257.1 2020년 11월 12일
10.0.20262.1 2020년 11월 19일
10.0.20262.1010 2020년 11월 21일
10.0.20270.1 2020년 12월 4일
10.0.20277.1 2020년 12월 11일
10.0.20279.1 2020년 12월 15일
vNext 21H2(Cobalt)
10.0.21277.1000 2020년 12월 11일
10.0.21286.1000 2021년 1월 7일
10.0.21292.1000 2021년 1월 14일
10.0.21292.1010 2021년 1월 16일
10.0.21296.1000 2021년 1월 22일
10.0.21296.1010 2021년 1월 26일
10.0.21301.1000 2021년 1월 28일
10.0.21301.1010 2021년 2월 2일
10.0.21313.1000 2021년 2월 13일
10.0.21318.1000 2021년 2월 20일
10.0.21322.1000 2021년 2월 25일
10.0.21327.1000 2021년 3월 4일
10.0.21327.1010 2021년 3월 9일
10.0.21332.1000 2021년 3월 11일
10.0.21332.1010 2021년 3월 16일
10.0.21337.1000 2021년 3월 18일
10.0.21337.1010 2021년 3월 20일
10.0.21343.1000 2021년 3월 25일
10.0.21354.1 2021년 4월 8일
10.0.21359.1 2021년 4월 15일
10.0.21364.1 2021년 4월 22일
10.0.21364.1000 2021년 4월 24일
10.0.21364.1011 2021년 4월 29일
10.0.21370.1 2021년 4월 30일
10.0.21376.1 2021년 5월 7일
10.0.21382.1 2021년 5월 15일
10.0.21382.1000 2021년 5월 19일
10.0.21387.1 2021년 5월 22일
10.0.21390.1 2021년 5월 27일
10.0.21390.1000 2021년 6월 8일
10.0.21390.1010 2021년 6월 11일
10.0.21390.2025 2021년 6월 15일
11 21H2(Cobalt)
10.0.22000.51 2021년 6월 29일
10.0.22000.65 2021년 7월 9일
10.0.22000.71 2021년 7월 16일
10.0.22000.100 2021년 7월 23일
10.0.22000.120 2021년 8월 6일
10.0.22000.132 2021년 8월 13일
10.0.22000.160 2021년 8월 20일
10.0.22000.168 2021년 8월 28일 }}}}}}}}}
베타 채널(종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0.22000.176 2021년 9월 3일
10.0.22000.184 2021년 9월 10일
10.0.22000.346 2021년 11월 13일
10.0.22000.466 2022년 1월 15일
10.0.22000.526 2022년 2월 11일
10.0.22000.588 2022년 3월 16일 }}}}}}}}}
릴리스 미리보기 채널(종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0.22000.651 2022년 4월 15일
10.0.22000.706 2022년 5월 20일
10.0.22000.776 2022년 6월 17일
10.0.22000.829 2022년 7월 15일
10.0.22000.917 2022년 8월 17일
10.0.22000.1041 2022년 9월 16일
10.0.22000.1163 2022년 10월 19일
10.0.22000.1279 2022년 11월 11일
10.0.22000.1515 2023년 1월 18일
10.0.22000.1639 2023년 2월 17일
10.0.22000.1757 2023년 3월 17일
10.0.22000.1879 2023년 4월 14일
10.0.22000.2001 2023년 5월 12일
10.0.22000.2121 2023년 6월 16일
10.0.22000.2243 2023년 7월 14일
10.0.22000.2359 2023년 8월 11일
10.0.22000.2479 2023년 9월 15일
}}}}}}}}} ||
정식 채널(종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0.22000.194 2021년 9월 17일
10.0.22000.258 2021년 10월 13일
10.0.22000.282 2021년 10월 16일
10.0.22000.318 2021년 11월 10일
10.0.22000.348 2021년 11월 20일
10.0.22000.376 2021년 12월 15일
10.0.22000.434 2022년 1월 12일
10.0.22000.438 2022년 1월 18일
10.0.22000.469 2022년 1월 26일
10.0.22000.493 2022년 2월 9일
10.0.22000.527 2022년 2월 16일
10.0.22000.556 2022년 3월 9일
10.0.22000.593 2022년 3월 29일
10.0.22000.613 2022년 4월 13일
10.0.22000.652 2022년 4월 26일
10.0.22000.675 2022년 5월 11일
10.0.22000.708 2022년 5월 25일
10.0.22000.739 2022년 6월 15일
10.0.22000.740 2022년 6월 21일
10.0.22000.778 2022년 6월 24일
10.0.22000.795 2022년 7월 13일
10.0.22000.832 2022년 7월 22일
10.0.22000.856 2022년 8월 10일
10.0.22000.918 2022년 8월 26일
10.0.22000.978 2022년 9월 14일
10.0.22000.1042 2022년 9월 21일
10.0.22000.1098 2022년 10월 12일
10.0.22000.1100 2022년 10월 18일
10.0.22000.1165 2022년 10월 26일
10.0.22000.1219 2022년 11월 9일
10.0.22000.1281 2022년 11월 16일
10.0.22000.1335 2022년 12월 15일
10.0.22000.1455 2023년 1월 11일
10.0.22000.1516 2023년 1월 20일
10.0.22000.1574 2023년 2월 15일
10.0.22000.1641 2023년 2월 22일
10.0.22000.1696 2023년 3월 15일
10.0.22000.1761 2023년 3월 29일
10.0.22000.1817 2023년 4월 12일
10.0.22000.1880 2023년 4월 26일
10.0.22000.1936 2023년 5월 10일
10.0.22000.2003 2023년 5월 25일
10.0.22000.2057 2023년 6월 14일
10.0.22000.2124 2023년 6월 29일
10.0.22000.2176 2023년 7월 12일
10.0.22000.2245 2023년 7월 26일
10.0.22000.2295 2023년 8월 9일
10.0.22000.2360 2023년 8월 23일
10.0.22000.2416 2023년 9월 13일
10.0.22000.2482 2023년 9월 27일
10.0.22000.2538 2023년 10월 11일
}}}}}}}}} ||

3. 개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Windows 11/개발/21H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변경점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9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 UI/디자인 #===
  • UI가 Windows 10X와 유사하게 바뀌었다. 플랫폼 통합을 위하는 것으로 보인다.
    • 체크 박스와 라디오 버튼이 기존 하얀색 배경에 검은색 체크에서 악센트 컬러로 칠해지도록 바뀌었다.
    • 스크롤이 기존 숨겨진 상태일 때처럼 날씬해졌다.
    • 그래픽 드라이버가 리 로드될 때 화면이 확대되는 애니메이션이 생겼다.
    • 창 최소화, 최대화 등의 애니메이션도 이전에 부드럽지 못하고 어색했던 모습에 비해 상당히 부드럽게 개선되었다. Windows 10 인사이더 프리뷰에서 먼저 선보였던 요소이다.
    • 창의 형태가 기존의 사각형 형태가 아닌 꼭짓점이 둥근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 Windows 7처럼 앱이 시작할 때 애니메이션이 생겼다.
    • 앱이 실행 중일 때 작업표시줄 하단에 얇은 바가 생기던 것이 좀 더 잘 보이도록 여백이 생기고 굵어졌다.
    • 작업 표시줄 위치를 변경할 수 없게 되었다. 작업 표시줄 위치는 하단에 강제로 고정되며, 더 이상 위쪽이나 양옆으로 작업 표시줄을 이동할 수 없게 되었다.
    • 시작, 작업 보기 등 버튼을 눌렀을 때 과거 Windows 8.1과 유사하게 아이콘에 효과가 생긴다.
  • 오래전부터 Windows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일관되지 않은 UI 문제를 개선시켜 나가고 있다. 아직까지 컨텍스트 메뉴가 들쭉날쭉하고, 레거시 기능들의 다크모드 미지원, Win3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는 수정이 덜 이루어져 상당히 어색해 보인다. 하지만 아직 정식 버전 출시 전이고, 본격적인 Windows 11 Insider Preview 빌드 테스팅도 예고된 상황이니, 최종적으로 어느정도 수준까지 UI가 통합될지는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Windows 11 Insider Preview 22499.1000 빌드가 나오면서 빌드번호 22000 버전대에서는 현재 모습에서 더 이상 큰 UI 개선이 없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Windows 10이 출시 후 여러번에 걸친 대형 업데이트를 통해 점진적으로 UI를 업데이트 해온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서히 UI들이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 시작 메뉴가 8, 10에 이어서 또 바뀌었는데, 중앙에 있다.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높고 크기도 예전 것보다 큰 데다 16:10 디스플레이가 대세가 됨에 따라 작업 공간에서 마우스를 왼쪽 아래까지 옮기는 거리가 길어지는 불편 때문에 옮겨진 것이다. 설정을 바꾸면 Windows 10까지의 것처럼 왼쪽 정렬로 되돌릴 수도 있다. 아예 10의 시작 메뉴를 되돌리려면 레지스트리 수정이 필요하다. 사라진 라이브 타일도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라이브 타일이 사라지면서 외형은 다르지만 기능적으로는 Windows XP, Vista, 7과 비슷해졌는데, 어찌 보면 과거로 회귀했다고도 볼 수 있다.
    • 시작 메뉴에 폴더나 그룹을 적용할 수 없다. 모바일 환경의 앱 서랍 같은 병렬 배치를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과거 초기형 스마트폰의 제조사 UI나 중국산 일부 구형 안드로이드 변종을 제외하고는 현용 모바일 OS인 iOS나 Andoid 모두 그룹을 지원하고 있으므로, 여러 리뷰어들이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주목한 부분이다.
  • 시작 메뉴의 변화에 따라 작업 표시줄의 아이콘들도 중앙으로 배치되었다. 이 역시 설정에서 Windows 10의 것처럼 왼쪽 정렬로 되돌릴 수 있다. 기능적으로는 10에서 거의 달라진 것이 없으나, 아이콘 정렬의 기본값이 왼쪽 정렬에서 가운데 정렬로 바뀐 외형상 변화 하나만으로도 경로의존성[3] 문제로 꽤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고해상도, 대형 모니터 환경에서 왼쪽에 치우친 시작 메뉴는 마우스의 동선을 상당히 늘리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서, 이러한 중앙 배치를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들도 많다. 다만 문제는 시작버튼 위치가 변한다는 것. 무슨 소리인가 하면, 앱을 많이 실행하면 실행할수록 밀려서 시작버튼이 왼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 바탕 화면이 Windows 로고가 아니다. 7[4], 10 바탕 화면 모두 로고가 있지만, 11에는 없다. Vista 이전과 8과 8.1도 Windows 로고가 아니긴 하다.
  • 윈도우10처럼 작업표시줄에 있던 위젯아이콘이 실시간으로 날씨를 알려주게 되었다.

===# 기능 #===
  • 스냅 레이아웃 기능이 추가되었다. Windows 7에 도입된 에어로 창 배치(스냅) 기능의 레이아웃 구성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세로 화면에서 앱을 상단에 스냅해, 세로 화면 분할을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 스냅 그룹 기능을 사용해, 특정한 앱 레이아웃과 다수의 앱을 하나로 묶어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으며, 이를 한 번의 작업 표시줄 아이콘 선택으로 불러올 수 있다. Windows 10 때 취소되어 있던 Sets가 재해석된 셈이다.
  • 외장 모니터와 연결할 시 작은 화면(랩톱 모니터)과 큰 화면(외장 모니터)의 환경에 맞게 적절히 화면 구성이 변화한다. 또한 외장 모니터에서 랩톱을 분리하면 해당 화면에 열려있는 모든 창이 최소화되지만 그 위치를 기억해, 모니터를 다시 연결하면 이전 위치로 창이 바로 돌아간다.
  • 위젯에 인공지능을 접목시켜, 사용자에 따라 최적의 콘텐츠를 큐레이팅한다. 위젯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 음성 명령 기능이 대폭 강화되어, 음성 받아쓰기 기능을 실행해 메모장이나 Microsoft Word에 음성으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구두점도 자동으로 인식해 삽입해준다.
  • Windows 10에서는 서드파티 앱을 통해 카메라를 설정해야 하지만, Windows 11에선 운영체제에서 직접 카메라 설정을 손볼 수 있다. 백그라운드에서 웹캠이 작동 중일 때, 작업표시줄 시스템 트레이의 아이콘이 웹캠이 켜져 있음을 표시해 준다.
  • Win + V 단축키로 접근할 수 있는 클립보드 관리자를 Windows 11에 맞게 재설계했다. 이제 이모지 GIF를 클립보드 관리자에 첨부할 수 있다. 또한 붙여넣기를 할 때 '일반 텍스트로 붙여넣기' 설정을 추가하여, 서식이나 글꼴을 따오는 일 없이 글의 내용만을 복사해 클립보드 관리자에 붙여넣을 수 있다.
  • 타임라인 기능을 제거했다. 타임라인의 일부 기능만을 보전시켜 Microsoft Edge에 이전시켰다.
  • 시작 단추를 누르면 클라우드와 Microsoft 365의 힘을 이용하여 이전에 iOS를 포함하여 다른 플랫폼이나 장치에서 사용자가 중단했던 부분을 확인하고 최근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사실상 이전의 타임라인 기능을 시작 메뉴가 지원하게 된 셈이다.

===# 앱 #===
  • Windows 7를 끝으로 큰 변화가 없던 보조 프로그램들을 새로 디자인했다.
  • 기존 윈도우에 내장된 Skype 앱이 제거되었고, 채팅 앱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Microsoft Teams의 기능이 채팅 앱에 통합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없어도 상대방을 초대해 화상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안드로이드 또는 iOS 장치에 SMS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앱의 화면만을 상대방에게 공유할 수 있다. 채팅 앱은 PC - 안드로이드 - iOS 크로스플랫폼으로 설계된 앱이다.
  • 새로운 디자인과 새로운 정책의 Microsoft Store가 공개되었다. 기존에 있던 스토어를 고치지 않고 처음부터 다시 만들었다고 했다. UWP, .msix(패키징 된 Win32) 앱 등록만 가능했던 기존 스토어와 다르게, 이제는 패키징 되지 않은 .exe 및 .msi 파일과 같은 구 Win32 앱의 게시가 허용된다. 단, 패키징 되지 않은 Win32 앱은 스토어에서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프로그레시브 웹 앱도 허용하고, 영화와 TV 프로그램의 게시도 허용한다. 메모장 등 사전 설치 앱은 이제 Windows 업데이트가 아닌 Microsoft Store에서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이는 안드로이드 사전 탑재 앱들이 플레이 스토어에서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보면 된다. 인 앱 결제시 Microsoft 측에 내는 수수료 비용은 15%로 책정되었으며, 게임이 아닌 앱에는 서드파티 자체 결제 시스템을 허용, 개발사들이 자체 결제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에는 Microsoft 측에 내는 수수료가 없다.
    안드로이드 앱 등록 기능은 Windows 11 RTM 버전에는 탑재되지 않으며, 추후 업데이트로 탑재한다고 했다. #
  • Windows 11 - Xbox 게임을 구매할 수 있는 Xbox 앱이 사전설치 앱으로 추가되었다. Xbox 앱을 통해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임의 직접 실행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다.
  • 3D 뷰어, OneNote for Windows 10, 그림판 3D는 더 이상 사전설치 방식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업그레이드 방식으로 이주한 사용자는 기존에 설치된 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삭제 이후에는 Microsoft Store에서 해당 앱을 직접 다운로드해야 한다. Math Input Panel 앱도 사전설치 앱에서 제외되었으며, Math Recognizer 앱을 별도로 찾아 설치해야 한다.
  • Internet Explorer를 비활성화했다. 트라이던트 엔진 자체는 엣지의 IE 모드와 탐색기의 동작을 위해 남아있다.
  • 사진 앱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자동으로 앨범을 생성하고, 콜렉션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 태블릿 환경 #===
  • Windows 11은 태블릿 모드를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은 전통적인 환경에서 태블릿 사용자의 이용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앱 주변부 히트 박스를 키우고, 앱의 크기를 최소화 하거나 최대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제스처 조작법을 추가하였다. 세 손가락, 네 손가락을 사용해 제스처 입력으로 앱을 조작할 수 있다. Microsoft Surface 트랙패드의 제스처 입력을 화면 터치 방식으로 제공한다. Microsoft Surface의 키보드를 분리할 시 작업 표시줄의 아이콘 간격이 넓어지도록 재배열 되는 등 터치 조작 편의성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 크기가 큰 태블릿을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사용자를 배려해, 소형 가상 키보드 기능을 추가하였다. 가상 키보드는 자유롭게 위치를 옮길 수 있으며 작은 키보드로도 이모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는 Windows 10에서도 지원하며, 가상 키보드를 켜고 좌상단의 설정을 누르면 선택할 수 있다. 단, 언어팩을 설치해서 한/영 전환을 하는 것이 아니면 영문 입력이 불가능하다.
  • Microsoft Surface 펜을 위하는 새로운 조작 인식(한 번 누르기, 두 번 누르기, 길게 누르기 등) 체계를 제공한다. 스타일러스 펜 사용자에게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진동 피드백 기능 추가를 준비 중이다.

===# 호환성 #===
  • 최초 64비트만 지원하게 되면서 AMD64 기술적 문제 때문에(64비트 운영체제에서는 가상 8086을 지원하지 않음) NTVDM과 16비트 프로그램 호환용 WoW가 탑재될 수 없어 MS-DOS와 16비트 호환이 빠졌다. 이전 버전에서 16비트 호환이 되었는지 혼란할 사람들도 있을 수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64비트에서는 16비트 실행 파일의 에뮬레이션을 지원하지 않고, Windows 10 이전 32비트 버전만 16비트 실행 파일의 호환 기능을 가지고 있다. 32비트 버전이 제거되면서 자연스럽게 가능성도 사라진 것이다. 애초에 16비트 프로그램과 MS-DOS의 호환성은 버전업을 통하면서 계속 약화되고 있었다. 언제인가는 사라질 운명이었는데 이번에 64비트만 지원하면서 사라진 것이다. Windows 11에 탑재된 WoW64 또한 32비트 프로그램 호환용이다.
  • 'Project latte'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던, 로컬 디바이스 단계에서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앱을 지원할 예정이다. 따라서 앱플레이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앱은 Amazon Appstore[5] Microsoft Store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Google Play는 구글 앱을 내장하기 위하는 기기 인증이 필요하므로 제공되지 않는다. 여타 커스텀 펌웨어처럼 사용자가 직접 GApps를 설치할 수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 Apple의 macOS Big Sur처럼 AMD64, ARM 플랫폼에 같이 지원한다. 스냅드래곤 8cx, 엑시노스 2200(가칭), MS의 SQ2같은 Laptop용 ARM 칩이 쓰일 수 있다. 또한 AArch64 환경에서 AMD64 응용 프로그램의 에뮬레이션을 지원한다. 공식 지원 ARM 프로세서
  • 새로운 기술인 ARM64EC가 발표되었다. # x86 코드를 AArch64 프로세서에서 돌릴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Apple Silicon에서 동작하는 macOS의 경우는 호환성 확보를 위해 Rosetta 2를 사용하는데 Rosetta 2의 경우 실행하는 프로세와 모든 모듈이 AMD64로 된 경우만 사용할 수 있고, AMD64 바이너리와 AArch64 바이너리가 섞인 경우는 사용할 수 없고, 순수 AMD64 바이너리들만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든 바이너리들을 AArch64로 재컴파일을 하거나 해야 하지만, 어셈블리 언어나 프로세서 인트린식이 사용된 프로그램들의 경우는 단순 재컴파일이 불가능하거나 AMD64 바이너리만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들과 같이 네이티브로 포팅되지 못하고 묶여 있다. 반면 ARM64EC를 사용하면 포팅이 불가능한 부분만 제외하고 AArch64로 컴파일해서 프로세서의 네이티브 성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다. 그 때문에 x86용으로 나온 플러그인도 ARM 프로그램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 기술적 특징 #===
  • (적절한 사양의 컴퓨터에서) 전체적으로 속도가 빨라지고 가벼워졌다. 어느 정도냐면 일반 HDD에 설치해도 큰 무리 없이 실사용 가능한 수준이다. 전반적으로 HDD에 설치한 Windows 10 이전 Windows에 근접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HDD에 설치 시 저조한 퍼포먼스를 보이는 Windows 10과는 대조되고 있다. 명심할 것은 '가벼워졌다'가 'Windows 구동 사양의 완화'와는 다른 점이다. 구형 컴퓨터에 설치하면 이런 변화를 느끼기 힘들며 더 느리기도 하다. 어디까지나 현 신세대 컴퓨터 부품들이 가진 각종 성능과 기능들에 최적화하여 역량을 더 효율적으로 끌어낼 수 있는 개념으로 보아야 한다.
  • CPU 사용 스케줄러가 개선되어서 엘더 레이크 같은 하이브리드 빅리틀 코어 CPU 등 신형 CPU들은 기존 Windows 10보다 성능이 대폭 향상된다. 기존 CPU들도 성능이 좋아졌다. # 다만 구형 CPU로 내려갈수록 성능이 Windows 10과 동등하거나 # 아주 오래된 CPU들은 사항 항목에 서술되어 있는 문제로 성능이 오히려 떨어지기도 한다.
  • HDR 지원이 대폭 강화되었다.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 페이지에서 디스플레이 HDR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국제 컬러 협회 디스플레이 색상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앱에서 HDR 모드를 지원한다. Windows 게임들은 이제 Xbox Series X|S에 탑재된 엑스박스 머신러닝 HDR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멀티 모니터 지원이 자연스러워져서, 외부 모니터를 연결했다가 뺐다가 할 때마다 떠 있는 창의 위치가 무너지는 현상을 '분리된 모니터에 떠 있던 창들은 다시 연결될 때까지 최소화 상태로 전환'하는 식으로 해결했다. HDMI와 달리 DisplayPort는 모니터가 꺼지면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이전 버전의 Windows까지 멀티 모니터의 화면을 껐다가 켜면 끈 순서에 따라 화면이 뒤섞여서 돌아오는데, 이것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 게임 등에서 CPU 및 RAM을 통하지 않고 GPU에서 바로 저장장치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게 하는 DirectStorage API를 도입하였다. 다만 해당 API는 게임 및 소프트웨어가 지원해야만 작동한다.
    • DirectX 12, 셰이더 모델 6.0, 그리고 NVMe SSD를 요구한다.
  • NVMe SSD 상태 모니터링 기능이 추가되었다. NVMe SSD의 하드웨어 이상을 감지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출력한다.
  • 새로운 보안 기술 설계가 운영체제에 접목되었다.
  • WDDM 3.0을 지원한다.

5. 21H2에서 삭제된 내용

링크

6. 알려진 문제

  • 일부 시스템에서 카카오톡이 "알 수 없는 오류로 카카오톡을 종료합니다"라는 메시지를 띄우고 종료되는 현상이 있다. 원인은 불명이나 Windows 11로 승격되기 직전 버전인 21390 빌드에서도 그러는 걸 보면 Windows 10에서부터 궁합이 꼬이기 시작했었던 것 같다. PC버전 3.3.3.2917에서는 이 문제가 수정된 것으로 보였으나 다음날 다시 확인한 결과 증상이 여전히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식 출시 이후에는 정상 동작하기도 하나 특정 프로그램과의 충돌로 인해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 기본 앱 설정을 사용자가 스스로 수정하고 컴퓨터를 종료시킨 뒤, 다시 시작하면 설정이 초기화되는 현상이 벌어진다. 물론, 알림으로 친절하게 앱에서 .pdf[6] / read[7] 파일에 대해 기본 앱 설정을 사용하여 문제가 벌어졌으므로 ?으로 초기화하였습니다. 로 뜨지만, 계속 사용자가 스스로 수정해서 바꾼 뒤, 다시 시작을 하여도 반복적으로 초기화가 된다. 특히, Microsoft Edge가 해당하는 기본 브라우저 기준을 Chrome으로 교체하면 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사용자가 스스로 수정한 기본 앱 설정도 초기화가 된다. 알림이 앱 설정에서 웹 브라우저 교체에 따른 발생된 문제만 알릴 뿐, 나머지 초기화 된 부분을 알려주지 않기도 한다. 이는 해당 시스템 내부를 갈아엎어서 기존 방식의 구현과 호환되지 않기 때문이다. 윈도우 11 출시 당일 기준으로 이를 해결한 사례는 파이어폭스뿐인데, 공개하지 않은 내부 정보를 리버스 엔지니어링하는, 사실상 해킹에 가까운 방법까지 동원해서 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7. 해결된 문제점

  • 2021년 9월 3일 윈도우 11 사용자 대부분이 작업표시줄이 뜨지않는 오류가 발생했다.
    이 당시의 22000.176 버전 업데이트에 있는 치명적 오류로 작업표시줄이 뜨지 않는 것은 물론 윈도우 시작음도 나지 않으며 시작 메뉴와 탐색기도 먹통이 되었다. 특히, 어쩌다 탐색기가 운좋게 켜지더라도 UI가 윈도우 10 형식으로 변화하는가 하면 파일 복사 과정에서도 버그가 발생하였다. 임시적으로는 레지스트리 수정, 윈도우 업데이트 제거 등의 해결 방법이 있으나 통하지 않을 경우에는 초기화를 해야만 해결할 수 있었다. 이 문제는 마이크로소프트 블로그 사이트에 들어가서 사이트에 제시한 방법으로 해결하거나 # 제어판에 들어가서 시스템 날짜를 먼 미래로 변경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있었다. 빌드 출시 몇 시간 후 서버 측에서 즉시 해결되었다.
  • 작업 표시줄의 볼륨 아이콘이 현재 볼륨 레벨과 관계 없이 음소거 상태로 변하는 버그가 많은 시스템에서 보고되었다. 실제 볼륨에는 영향이 없다. # 이 문제는 22000.469(선택적 품질 업데이트 KB5008353)의 개선 사항에 포함되었다.
  • HDR을 지원하는 일부 환경에서 Windows 내장 사진 뷰어 앱과 일부 기타 앱이 잘못된 색온도로 이미지를 출력하는[9] 현상이 발생한다. # 이 경우 Windows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어댑터의 색 보정 기능을 한 번 완료해주면[10] 색온도가 정상적으로 적용되지만,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sRGB 프로필 기반의 색 프로필이 따로 생성되며, 제조사가 탑재한 기타 색 프로필로 되돌릴 경우 문제가 재발한다. 즉 sRGB 영역 이상의 색역을 지원하는 Enhanced 프로필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이 문제는 22000.469(선택적 품질 업데이트 KB5008353)의 개선 사항에 포함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 AMD 계열 CPU에서 L3 캐시의 레이턴시가 3~6배 증가, L3 캐시 대역폭이 12배나 하락해서 게임 성능이 15% 하락했다고 발표했다.[11] 또한 AMD 프로세서의 '선호 코어' 시스템을 깨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선호 코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OS가 프로세서의 가장 좋은 두 코어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라이트 스레드 작업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는 L3 캐시 문제와 선호 코어 시스템 문제를 2021년 10월 내로 2개의 문제를 해결한 업데이트를 배포할 예정이라고 한다. L3 캐시 레이턴시에 관한 문제는 22000.282에서 수정되었고, 선호 코어 문제점은 AMD에서 칩셋 드라이버 업데이트 버전을 내놓으면서 해결되었다. 다만, 아직 L3 캐시 대역폭 문제는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았다. 윈도우 11 22000.282 버전에 L3 캐시 레이턴시 및 대역폭 문제를 수정했다고는 하나, AIDA64 벤치를 돌려보면 레이턴시만 정상이고 대역폭은 측정할때마다 값이 달라져서 아직까지는 불완전한 패치이다. 일던 업데이트 이전 때와 비교하면 대역폭 문제도 어느정도 개선했으나 완전히 해결된건 아니다.[12]

8.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Home, Pro, Pro Education, Pro for Workstations [2] Education, Enterprise, IoT Enterprise [3] Windows는 유독 경로의존성에 발목을 잡힌 일이 꽤 있었는데, UAC를 도입한 Vista, 시작 메뉴를 바꾸려 하던 8/ 8.1이 그 예이다. 그나마 UAC가 잘 정착된 Vista가 이례적인 경우다. [4] 베타 한정으로 베타피시 바탕 화면이 기본이다. 굳이 이 물고기인 이유는 Windows 베타라서였다. [5] 인텔에서 개발한 Bridge 기술을 사용해 타사 앱스토어의 앱을 불러온다. [6] 파일:앱 설정 초기화 현상.jpg [7] 파일:앱 설정 초기화 현상 2.jpg [8] # ("기본 프로그램 설정 문제" 부분 참고) [9] 노란색 쪽으로 기우는 경우가 많다. [10] 기본 설정에서 하나도 바꾸지 않고, 그냥 계속 '다음' 버튼만 눌러서 진행하면 된다. [11]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