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6 11:14:45

IS의 아프가니스탄 테러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0100><colcolor=#fff> 배경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전개 탈레반의 공세 ( 반응 · 탈레반의 재집권 · 탈레반/2022년 · 탈레반/2023년) · 대규모 철수 ( 미라클 작전) · 내전
내전 상황 2021년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2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 2024년
장소 카불 · 바그람 공군기지 · 카불 국제공항 · 판지시르 · 바자라크
단체 탈레반 · 탈레반 과도정부 · 미군 · 파키스탄군 · ISI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군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인물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 압둘 가니 바라다르 · 시라주딘 하카니 · 하미드 카르자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기.svg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마수드 · 하시브 판지시리 · 압둘 가니 알리푸르 · 이스마일 칸 · 압둘 라시드 도스툼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슈라프 가니 · 압둘라 압둘라
파일:미국 국기.svg 조 바이든 · 토니 블링컨 · 로이드 오스틴
사건·사고 IS의 아프가니스탄 테러 (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폭탄 테러) }}}}}}}}}


1. 개요2. 배경
2.1. 탈레반 IS의 노선차2.2. 탈레반과 미국의 관계 개선
3. 사건 목록
3.1. 사예드 알슈하다 고등학교3.2.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3.3. 사예드 아바드 모스크3.4. 이맘 바르가 모스크3.5. 다우드 칸 군사병원
4. 관련 문서

1. 개요

아프가니스탄의 테러조직이자 사실상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아프간 지부인 호라산 이슬람 국가의 행적과 그들이 자행한 테러 사건들을 다룬다.

2. 배경

2.1. 탈레반 IS의 노선차

탈레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는 모두 수니파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 단체지만 둘의 사이는 매우 적대적인 편이다. 이는 탈레반이 자신들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을 통일하고 이슬람 근본주의 정치를 펼치는 게 목적인 반면,[1] IS의 경우 이슬람 근본주의의 세계화, 즉 세계정복의 야욕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2015년 경부터 새롭게 부상하는 IS가 탈레반을 비롯해 여러 남아시아 지역 무장 단체의 조직원들을 빼 갔던 것은 탈레반이 IS를 일종의 방해물로 인식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2021년 들어 탈레반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기존 정부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카불에서 축출해 내었을 때, 탈레반은 교도소에 수감돼 있던 IS의 핵심 인물들을 사살하는 행보를 보여줬다. #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폭탄 테러 이후에는 탈레반 정부가 '테러단체와의 전쟁'을 내세우며 IS에 대한 진압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고, 이에 맞서 IS의 테러 활동도 점점 더 잦아지고 있다.

2.2. 탈레반과 미국의 관계 개선

2000년대 이래로 탈레반은 불량 테러조직의 대명사라는 안 좋은 이미지를 가지게 된 동시에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후 서방 주요국들과 적대적인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국제 사회는 탈레반을 축출하고 들어선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을 아프가니스탄의 합법 정부로 인정하였고, 탈레반은 그저 무장 반군 세력이자 테러조직에 불과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2016년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가 자국 우선주의 기조 아래 아프간에서의 미군 철수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기자 탈레반은 점차 세력 확장에 나섰고, 미군 대부분이 철수한 2021년에는 수도 카불을 점령하여 아프간의 거의 모든 지역을 실효 지배하는 통일 정부의 위치로 올라서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탈레반은 테러조직의 이미지를 벗고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는 것이 급선무였기 때문에 반테러, 정상국가를 표방하였다. 또한 서방 주요국 및 중국과 접촉을 갖는 한편, 2021년 10월 9일에는 미국과도 접촉하여 회담을 가졌다. #

이는 과거 정부 및 계승세력인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에게서 합법적인 정부 이미지를 빼앗아 오기 위한 전술이면서, 준동하는 IS 세력들을 제거하기 위해 국제 사회의 협력을 얻으려는 것이기도 하였다.

IS는 탈레반의 이러한 행보를 지하드를 등한시한 타협과 평화, 유약함 등으로 규정하며 강도높게 비난하였고, 자기들의 선전에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이슬람 근본주의자들 중 반미, 반서방 감정을 가진 이들이 탈레반에서 이탈하거나 IS에 가담하면서 테러 행위는 점점 더 잦아지고 있다.

3. 사건 목록

3.1. 사예드 알슈하다 고등학교

탈레반의 카불 점령 이전에 일어난 사건으로, 현지시각(AFT) 2021년 5월 8일 오후 4시 경 카불 서부 사예드 알슈하다 고등학교 인근의 차량 폭탄 테러로 최소 90명의 사망자와 15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사건이다.

해당 학교에선 남녀 학생들이 번갈아 가며 3교대로 수업하는데, 사건 시각에는 여학생들이 수업을 받고 있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서 뉴욕 타임스는 여성들을 표적으로 한 테러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사건이 일어난 카불 서부는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는 하자라인이 많이 거주하여 수니파 무장 테러조직의 소행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 특히 IS는 이 인근을 테러한 전력이 수 차례 있어 가장 유력한 배후로 지목받았다. #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규탄 입장을 표명하였으며, 로스 윌슨 카불 주재 미 대사 대리인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아프가니스탄 미래에 대한 이 공격을 용납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아프간에서의 미군 철수를 9월 11일까지 완료하겠다고 발표하며 5월 1일부로 철군 작업을 시작한 것과 연관지어 분석하기도 하였다. 실제로 아프간의 대표적인 무장 조직인 탈레반도 해당 발표에 자극받아 5월부터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를 시작하였고, 이는 8월 15일의 카불 함락으로 이어졌다.

3.2.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폭탄 테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탈레반에 의한 카불의 함락 이후 국제공항을 통한 철수 현장에서 일어난 테러이며, 3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IS-K의 테러 사건 중 가장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3.3. 사예드 아바드 모스크

현지시각 10월 8일 아프간 북부 쿤두즈주의 고자르에사예드 아바드(Gozar-e-Sayed Abad) 모스크에서 금요예배 도중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최소 46명의 사망자와 140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목격자 증언에 따르면 폭탄 테러범은 모스크의 남성 구역으로 들어가 폭발물을 터뜨렸다. 사예드 아바드 모스크는 시아파 모스크인데,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소수파인 시아파 무슬림은 이전부터 여러 수니파 무장조직에 의해 박해받거나 테러를 당하고 있었기에 이 사건도 그러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IS는 텔레그램 아마크 뉴스 채널을 통해 자신들 소속의 위구르인 무슬림이 테러를 벌였다고 주장하면서 이번 공격의 표적은 시아파 뿐만 아니라 중국에 호응하여 위구르인의 추방을 도모하는 탈레반 정권이기도 하다고 주장하였다. # #

3.4. 이맘 바르가 모스크

3.5. 다우드 칸 군사병원

4. 관련 문서



[1] 즉 아프가니스탄 안에서만 주도권을 잡고 싶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