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04:26:41

SM-6

AIM-174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동차에 대한 내용은 르노코리아 SM6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함대공미사일 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함대공 미사일

RIM-2
테리어

 
함대공 미사일

RIM-8
탈로스

 
함대공 미사일

RIM-24
타터

 
함대공 미사일

RIM-66/67
SM-1 MR/ER

 

 
함대공 미사일

RIM-66/67/156
SM-2 MR/ER

 

 
탄도탄 요격
함대공 미사일

RIM-161
SM-3

 
함대공 미사일

RIM-162
ESSM

 
탄도탄
종말단계 요격

RIM-174
SM-6 ERAM
파일:미국 국기.svg 미 해군 해상 병기의 계보 틀: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전략 원잠 | 함대공 미사일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68px-USS_John_Paul_Jones_%28DDG-53%29_launches_RIM-174_in_June_2014.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42px-SM-6_Eram_June_2014.jpg
<colcolor=#fff> RIM-174 Standard ERAM[1]
Standard Missile-6

1. 개요2. 상세3. SM-2와 비교시 장/단점
3.1. 장점3.2. 단점
4. 시험 기록
4.1. 대함 능력 추가4.2. 지상배치형4.3. 공대공형 (AIM-174)
5. 실전 기록6. 해외 도입
6.1. 한국6.2. 일본6.3. 호주
7. 제원8. 관련 링크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RIM-174 SM-6는 미 해군의 스탠다드 미사일 계열 중에서 능동형 유도 시스템을 처음 채용한 함대공 미사일로 레이시온이 개발하였다.

2. 상세

기본적으로 SM-2ER Block IV (RIM-156A)의 탄두와 신관, 추진체 등의 물리적 구조는 완전히 동일하다. 그러나 유도섹션에 있어서 AIM-120C-7 암람의 액티브 시커[2]를 장착해 스스로 목표물의 획득이 가능하고, 능동형 유도이기 때문에 일루미네이터 범위 바깥의 탐지/파괴 역시 가능해져서, 치열한 교전 시 나타날 수 있는 일루미네이터의 과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

또한 CEC[3]를 통해 종전에는 불가능했던 초수평선 타격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NIFC-CA (해상통합 화력통제/방공) 시스템이 필요하며, 최신 조기경보기인 E-2D와 함께 이지스 전투체계 베이스라인 9에 상당하는 업그레이드가 요구된다.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8aa1dfd7.png

결국은 업글을 꼭 하셔야 된다는 얘기 물론 고고도 요격에 있어서는 일루미네이터의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3. SM-2와 비교시 장/단점

3.1. 장점

  • 사정거리
    사거리 자체는 SM-2ER 계열 최신인 RIM-156A/B와 큰 차이가 없다.(양쪽 모두 240km) 그러나 SM-6는 하술할 액티브 시커에 더불어 합동교전능력을 바탕으로, SM-2 계열과 달리 긴 사거리를 완전히 활용할 수 있다. 대함 미사일을 장착한 전투기가 발사를 시도하기 전에 요격이 먼저 시도된다는 뜻이다.[4] 같은 이유로 적 항공기의 접근 거부도 SM-2에 비해 용이해진다.
  • 능동유도 방식
    SM-2 ESSM과 같은 기존의 함대공 미사일들은 반능동 유도방식이라 최종단계에서 일루미네이터가 목표물을 비춰줘야 하는데, 이는 유도가능한 미사일 갯수가 일루미네이터의 갯수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교전횟수에 제한이 걸릴 수밖에 없다. 또한 전파가 직선으로 나가는 특성 때문에 초수평선 유도는 불가능해서 시스키밍 미사일에 굉장히 취약하지만, SM-6는 자체의 능동형 유도방식이기에 유도할 수 있는 갯수가 일루미네이터의 갯수와 무관하게 되어, 교전횟수가 순전히 함정의 전투체계 능력에 따라서만 좌우될 뿐더러, 시스키밍 미사일에도 상대적으로 더 강해진다.[5]
  • 예상 주문량이 많다.
    이지스 계열 전투체계에서 반드시 사용할 수밖에 없기에, 차기 경쟁상대인 아스터 미사일 등과 비교할 필요조차 없다.

3.2. 단점

  • 신뢰성/성능
    SM-2 계열은 오랫동안 미 해군이 주력 함대공 미사일로 사용해 왔으며, 따라서 그 신뢰성은 아직 도입단계인 SM-6와는 비교할 수 없다. 성능 역시 아직은 입증된 바가 없다. 그런데 사실 실전경험이 적거나 아예 없는건 SM-6만의 단점이 아니라 거의 모든 함대공 미사일의 단점들이다. 그 미국조차도 아직 함대공 미사일을 전면전에 대량으로 사용해본 일이 없다.[6]
  • 가격
    가격이 정확히 얼마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초기인 만큼 개발비 포함이나 새로운 유도방식의 채택 등으로 인해 기존 SM-2보다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스탠다드 미사일 프로그램 매니저 대행인인 Sidney Hodgson 소령은 인터뷰에서 SM-6는 SM-2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며 함께 운용될 것이라고 밝혔다.[7][8] 마치 러시아의 방공 시스템인 S-300 혹은 S-400이 임무 및 사정거리에 따라 여러 미사일을 운용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심지어 SM-6의 시커를 갈아 넣어 대함 공격 능력까지 보유하게 만든 Block IIIC 버전의 SM-2가 나오기도 했다.

4. 시험 기록

2013년 5월 IOC(초기작전능력)를 획득하였으며, 같은 해 11월에 대량생산이 시작되었다.

2014년 6월 처음 CEC를 통한 Engage on Remote(자신의 센서를 쓰지 않고 타 플랫폼의 센서 정보를 받아 미사일을 발사·유도하는 개념) 모드로 초수평선 초음속 표적에 대한 요격 시험에 성공하였으며 #, 8월의 시험에서는 내륙을 낮게 비행하는 순항미사일 모의표적을 격추했다고 한다.

파일:external/breakingdefense.com/SM-6-kills-cruise-missile-at-White-Sands-0-2014-08-18.png

2015년 7월 28일에서 8월 1일 사이에 실시된 4차례의 시험 요격에서, 하강 단계의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에 대한 해상요격을 성공리에 수행했다는 미 해군의 발표가 있었다. 그동안 이론상으로 제시되었던 SM-6의 탄도미사일 종말 요격 능력이 처음 실제 입증된 것.

2016년 1월의 시험에서는 2014년 6월에 설정된 거리보다 훨씬 먼 거리의 초수평선에 위치한 표적을 CEC를 통해 요격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미해군 요격 미사일 역사상 최장거리 교전 기록이다.(수평거리 상)

2016년 7월에는 지상의 이지스 시험 시설에서 발사된 SM-6가 MADL(다기능 첨단 데이터 링크)를 탑재한 F-35B의 지령유도로 표적을 파괴하는데 성공했다. 이에따라 E-2D 뿐만 아니라 F-35 역시 NIFC-CA 네트워크에 포함돼 해군 수상함과의 협동 교전 능력을 갖게 되었다. #

파일:external/i1.wp.com/F35_Aegis_LockheedMartin_2016_HiRes-1.jpg

2016년 12월에는 사거리 3,000~4,000km급의 대륙간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에 대한 듀얼-I 모델의 해상 요격 시험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고 발표되었다. 이는 중국이 개발하는 DF-21 기반의 대함 탄도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어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후 2017년 8월에도 MRBM 표적에 대한 요격 시험을 실시, 3번에 걸친 탄도탄 대응 시험을 모두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2021년 4월, 미해군은 각종 패시브 센서로 수집한 탐지 정보를 융합해 SM-6를 발사, 250마일(400km 이상) 떨어져 있는 수상 표적을 명중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2023년 3월 30일에도 Dual II 모델에 의한 MRBM 요격 시험에 성공했다. #

이후에는 부스터를 SM-3 Block 2A의 21인치 부스터로 갈아치우고 로켓 모터의 직경도 21인치로 늘려 사정거리와 미사일 속도를 크게 증강시킨 SM-6 Block 1B의 대함 및 극초음속 글라이더 요격 시험이 수행될 예정이다. # #

4.1. 대함 능력 추가

미 국방부가 SM-6에 대함 능력을 부여하는 방안을 승인했다고 한다. 무게가 1.5톤에 마하 3.5 속력을 내기 때문에 운동에너지만 따져도 거의 하푼의 탄두와 비슷한 위력을 가지고 있는데다가, SM-2과 달리 목표를 일루미네이터로 조사할 필요가 없어 제한적인 대함/대지 공격만 가능했던 SM-2에 비해 훨씬 본격적으로 중장거리 대함미사일의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6년 3월에 퇴역한 페리급 호위함을 모의 표적으로, SM-6를 발사하여 격침시키는 시험을 성공시키기도 했다. SM-6가 당장 현 시점에서도 초음속 대함미사일로 사용될 수 있는 기술적인 역량이 있음을 과시한 것이다. SM-6는 대함, 대탄도탄, 대공 능력을 동시에 제공하여 범용 미사일로 기능하고 있다.

파일:1656776394.jpg

이를 이용해 미 해군은 13.5인치 부스터 및 2단 로켓을 SM-3 Block 2A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21인치로 증대된 신형 DTRM으로 교체한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인 SM-6 Block 1B의 개발을 결정했다. # SM-6 Blk 1B는 ASuW 전용이며, 이는 MK.41 VLS에서 운용할 수 있는 유일한 극초음속 대함 무기로 미 해군의 긴급 소요 제기에 의해 사업이 시작되었다.

4.2. 지상배치형

한편 미 육군도 SM-6를 지상 발사형으로 사용할 가능성을 연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현재 미 육군이 아태 지역에서 중국의 해군력을 견제하기 위해 추진하는 다영역 작전(MDO: Multi-Domain Operation)의 일환으로, SM-6를 극초음속 지대함 내지 지대지 미사일로 사용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9]

고체 로켓이지만 극초음속 비행 능력 덕분에 요격당할 위험이 낮고, SM-6의 데이터링크 능력을 이용해 신속하게 지상 부대의 요청에 응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을 활용해 효과적으로 대지/대함 화력지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는 설명.

미 육군은 '티폰(Typhon)'이라고 명명된 트럭 견인식 Mk.41 VLS과 더불어 SM-6를, 지상 배치형 토마호크와 함께 2023년에 실전배치했다. #

4.3. 공대공형 (AIM-174)

파일:SM6공중발사형.jpg

2024년 RIMPAC 훈련 도중 미 해군 항공대에서 VFA-192 골든 드래곤스 소속 F/A-18E에 XAIM-174라는 이름이 적힌 SM-6 기반 공대공 미사일을 장착한 것이 확인되었다. 기존의 AIM-120으로 무장한 전술기가 순항미사일에 대한 요격 능력만을 가졌던 것에 비해, 제한적이지만 탄도미사일에 대한 요격 능력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 #

그 이후로도 VFA-2 바운티 헌터스, VFA-113 스팅어스 등 CVW-2 소속 전투비행단의 슈퍼호넷에 SM-6 미사일을 장착한 사진이 공개되고 있다. # # VFA-113의 슈퍼호넷에 장착된 SM-6는 VFA-192의 슈퍼호넷에 장착된 SM-6와 다르게 DATM-174B[10]라는 이름이 적혔다는 부분도 눈여겨볼만 하다. #

다만 현재까지 공개된 사진 속 미사일은 모두 훈련용 탄두를 의미하는 파란색 띠를 두르고 있으며, 실제 탄두를 의미하는 노란색 띠를 두른 사진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전에도 NCADE ALHTK 프로젝트를 통해 전술기에 탄도미사일 요격 능력을 부여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모두 사업 도중에 중단되었다.

AIM-174로서 무사히 양산화된다면 AIM-54 피닉스와 그 운용 플랫폼 F-14의 퇴역 이후로 그간 공백기를 맞이하고 있었던 미국산 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차세대 모델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5. 실전 기록

2023년 말, 홍해에서 민간 선박들을 상대로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가하는 예멘 후티 반군에 맞서는 데 미국 해군도 동참하면서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특히 같은 해 12월 말에는, 후티 반군이 발사한 대함 탄도 미사일(ASBM)을 요격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이는 SM-6의 해상 배치 탄도미사일 요격 능력이 실전에서 입증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6. 해외 도입

6.1. 한국

대한민국 해군의 경우 이 물건의 개발이 끝나기 몇 년 전부터 북한 탄도탄 하층방어 및 차기 함대공 미사일 문제로 도입이 꾸준히 거론되었다. 현재 한국의 미사일 방어체계는 패트리어트 지대공 미사일을 이용하는 하층/최종요격 단계만을 갖추고 있는데,[11] 북한 미사일에 대한 단 한차례만의 기회만을 위한 것이라서 요격 성공률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문제다. 세종대왕급 이지스 구축함에서 탑재되는 SM-6 수준의 중간방어 요격능력이 추가된다면, 최소 두 차례의 요격 기회를 갖게 되므로 패트리어트에만 의존할 때보다 부담이 줄어들고, 그만큼 성공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이 장점.

다만 해군이 요즘 돈 쓸 일이 많다 보니 언제쯤 배치될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고 BMD 시스템과 통합까지 되어서 해군으로서는 BMD 개수까지 고려해야 하는 입장이 되었다. 하지만 워낙 꾸준히 소요제기가 되었고 국회에서의 찬성여론도 형성되었기 때문에,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한국해군의 해상 탄도탄 요격체계로써의 도입 가능성이 굉장히 유력한 물건이라고 할 수 있다. 배치 대상은 우선은 2020년대 중으로 도입될 총 3척의 세종대왕급 배치II 이지스구축함으로 보인다.

2022년 4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가 SM-6 도입을 공식 결정했다. 예정대로 BMD 기능이 탑재된 정조대왕급 구축함 3척부터 탑재될 예정이다. 미국 현지시간으로 2023년 11월 14일, 한국에 판매를 미 국무부에서 잠정승인했다. #

이에 대한 비판론도 존재한다. 유사시 수도권으로 날아올 북한의 미사일을 SM-6로 막으려면 정조대왕함을 충청남도나 경기도 해안에 바싹 붙어 고정 포대처럼 운용해야 하는데, 이럴바에 지대공 자산을 더 충당하거나 무위로 돌아간 SM-3를 대신 도입하자는 주장이다. #[12]

6.2. 일본

SM-6의 해외 최초 도입국이다.

일본은 2018년 회계년도 예산안에 개량된 아타고급에서 시험 발사를 위해 SM-6 시험탄의 구입 비용을 포함했고, 2019년부터 132억엔을 들여 초도분을 도입했다. # 항공자위대의 E-2D와 해상자위대 마야급이 실전배치 된 후 본격적으로 운용을 시작했다.

2027년부터 배치 예정인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에서는 기본 함대공 미사일로 운용할 예정이다.

6.3. 호주

두 번째 도입국가. 2024년 8월, 하와이 인근에서 실시된 다국적 연합해군 훈련 Pacific Dragon에서 호바트급 이지스함 3번함 HMAS 시드니가 SM-6를 최초로 발사했다. #

7. 제원

길이 6.55m(21.5피트)
무게 1,500kg(3,300 파운드)
직경 0.34m[IA], 0.53m[IB]
사정거리 240km ~ 400km+(~ 250마일+/~ 217해리+) [15]
최대상승고도 34,000m(110,000피트)
속도 마하 3.5
추진 분리식 고체 로켓 부스터 + 고체 로켓
실전배치 2013년
유도방식 능동/반능동 레이더 유도

8. 관련 링크

(영문 위키백과) RIM-174 Standard ERAM

9. 관련 문서


[1] Extended Range Active Missile [2] 시커의 시스템은 동일하지만, 미사일 자체가 암람보다 훨씬 크다보니 시커의 레이더는 암람이 사용하던 7인치에서 13.5인치로 확대된 것을 사용한다. [3] (협동교전능력 : Cooperative Engagement Capability) 미 해군에서 기존의 Link-16과 같은 소박한 전술 데이터링크 수준에서 벗어나 항공기, 함정, 지상군의 화력통제에 관한 정보까지 포괄하는 고도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서, 교전/방어능력을 극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개발한 일종의 네트워크 전투 개념이다. 예를 들어 AEW&C 이지스함이 탐지할 수 없는 수평선 너머의 정보를 전달하면 이지스함은 함대공 미사일을 발사하고 그걸 서로 통제하여 적을 때려잡는다는 얘기인데, 이미 느낌이 오겠지만 무식하게 많은 예산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참고로 영국 해군 데어링급 구축함에 CEC 능력의 부여를 쿨하게 포기했다. 당연히 쪼들리는 주머니 때문에 그렇다.반면 일본 해상자위대의 신형 이지스함인 마야급에는 이미 기본적으로 CEC능력을 부여했음은 물론 다른 아타고급등 기존의 이지스함들에도 CEC 개수를 할예정이고 항공자위대는 여기에 활용할 E-2D도 도입하고 있을 정도로 현제 미국과 더불어 가장 적극적으로 CEC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4] 사거리가 240km보다 긴 대함미사일도 있지만, 대함미사일이 최대사거리에서 발사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좋다. [5] 물론 함정의 레이더는 시스키밍 중인 미사일을 탐지하지는 못하지만, 해수면을 스치듯이 비행하면 사정거리가 크게 짧아지는 특성 때문에 (SS-N-26 야혼트는 하이다이빙시 300km에 달하는 사거리가 시스키밍으로 비행하면 120km 가량으로 감소한다.) 순항부터 시스키밍을 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공격의 탐지 및 방향 확인은 가능한 수준이고, 시스키밍에 들어가더라도 능동유도 미사일은 유도가 가능하다. 특히 공대함 공격의 경우 대함미사일을 탑재한 전술기가 저공비행을 전구간에서 할 수는 없기 때문에 탐지율이 더더욱 높아진다. [6] 다만, 미 해군은 연간 10여회 이상 사격시험을 해보고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량을 진행하는 형편이다. [7] It doesn’t replace the SM-2, which will stay in service alongside the SM-6. [8] 현재 운용중인 SM-2MR Block IIIA와 IIIB 모두 CEC (협동교전능력)를 지니고 있기에 세대교체를 서두를 이유가 전혀 없다. 아직 베타테스트 시작도 안했는데 더군다나 SM-6는 추후 상황에 따라 탄도탄 저층방어에 아예 몰빵하려 할 여지도 있기에 임무가 완전히 엇갈려버릴 가능성도 있다. 한편, 지금의 이런 모습은 2001년 당시 기술수준으로 달성이 불가능했던 SM-2ER Block IVA (RIM-156B)의 능력을 SM-6에서 제대로 불어넣고자 하는 행동으로 보여진다. [9] 본래 미 육군은 다영역 작전 수행을 위해 아음속으로 비행하는 노르웨이제 NSM 스텔스 대함미사일의 도입을 진행해 왔다. [10] 장착 훈련용 더미 [11] 독일군의 중고 PAC-2를 들여왔으며 이후 일부 항공기 요격용도로 사용할 것을 제외하면 PAC-3/Conf.3로 개량했으며 이와 별개로 PAC-3 mse를 도입하고 있다. [12] 해당 주장에 대한 반론으로는 1) 한국 영토를 직접 위협하는 북한의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들(통칭 KN-23/24/25 계열)은 비행 고도가 낮아서 고고도 요격 전용인 SM-3로 대응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며, 2) 당장 도입을 추진한다고 해도 수년 가량이 소요되어 현재 추진하고 있는 L-SAM 기반의 동급 국산 함대공 미사일 개발보다 실익이 낮다는 점이 지적받는다. [IA] 블록 IA형 기준 13.5인치 [IB] 블록 IB형 기준 21인치 [15] 블록 IA형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