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17:01:48

AFC U-23 아시안컵

AFC U-23 챔피언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년 4월 15일부터 5월 3일까지 카타르에서 개최 예정인 대회에 대한 내용은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륙별 축구 연령별 국가대표 선수권 대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축구 연맹
UEFA U-17 챔피언십
UEFA U-19 챔피언십
UEFA U-21 챔피언십
아시아 축구 연맹
AFC U-17 아시안컵
AFC U-20 아시안컵
AFC U-23 아시안컵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U-17 챔피언십
CONCACAF U-20 챔피언십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축구 연맹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U-20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 U-17 챔피언십
OFC U-19 챔피언십
OFC U-23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남미 축구 연맹
남미 U-17 챔피언십
남미 U-20 챔피언십
남미 올림픽 남자축구 예선대회
}}}}}}}}} ||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대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남성 대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AFC_AsianQualifiers_Brandmark_Horizontal_1_GradientFullColourOnLightBg_WEB.png 파일:AFC 아시안컵 로고_좌우.png 파일:AFC 챔피언스 리그 로고(가로형).svg 파일:AFC컵 로고.svg
파일:futsal.jpg 파일:AFC-Tournament-Logos_AFC-U23-Asian-Cup--.png 파일:AFC U20 아시안컵 로고.jpg 파일:AFC U17 아시안컵 로고.png
AFC 풋살 아시안컵 AFC U-20 풋살 아시안컵 AFC 비치 사커 아시안컵 -
}}}}}}}}}}}} ||
여성 대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AFC-Tournament-Logos_AFC-Women's-Asian-Cup-.png 파일:AFC-Women's-Club-Championship-Pilot-Tournament---Generic.png
파일:AFC U20 여자 아시안컵 로고.png 파일:AFC U17 여자 아시안컵 로고.png AFC 여자 풋살 아시안컵
}}}}}}}}}}}} ||
폐지 대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95px-AFC_Challenge_Cup.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FC_Solidarity_Cup_%282016%29.png
파일:아시안컵위너스컵.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FCPresCupLogo.png
AFC U-14 챔피언십 AFC U-14 여자 지역 챔피언십
}}}}}}}}}}}} ||}}} ||
AFC U-23 아시안컵
파일:afc-u23-asian-cup_299x325.png
파일:AFC_U-23_Trophy.png
정식 명칭 AFC U-23 아시안컵 (AFC U-23 Asian Cup)
창설 연도 2013년 (AFC U-22 축구 선수권 대회)
2014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2021년 (AFC U-23 아시안컵)
본선 진출 자격 AFC 등록 협회 U-23 대표팀 중 개최국 팀
예선을 통과한 15개 팀
최근 우승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022)
최다 우승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회)
웹사이트 파일:icon-afc-u23-asian-cup.png

1. 개요2. 대회 방식3. 역대 개최국/우승국4. 우승 횟수5. AFC U-23 아시안컵 통산 랭킹6. 대한민국 관련 기록
6.1. 최다 출전 선수6.2. 최다 득점 선수6.3. AFC U-23 아시안컵 득점 선수
7. 참고 항목

[clearfix]

1. 개요

AFC U-23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축구 대회다.

처음에는 'AFC U-22 축구 선수권 대회'라는 명칭으로 시작되었다가, 2014년 11월 29일,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AFC U-23 Championship)로 연령 기준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1년부터는 AFC U-23 아시안컵이라는 이름으로 리브랜딩되었다.

구체적인 성격은 다르지만 이 대회가 신설되기 전까지, 23세 이하(본선 기준) 연령 제한이 있는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과 아시안 게임 축구가 2년 주기로 그 역할을 대신해오다, 2013년부터 각급 연령별 (U-17, U-20) 대회의 연장선상에 올림픽 축구 지역예선을 겸한 대회를 창설하게 되었다. 짝수 회차 대회(올림픽 개최 바로 직전 해에 개최되는 대회)에서 1~3위팀에게는 올림픽 본선 출전권이 주어진다. 연령 구분은 개인 생일과 상관없이, 1월 1일 기준이다.

첫 대회 본선은 2013년 6~7월 경에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동아시아축구선수권과의 일정 중복 문제와 오만의 기후 특성 때문에 개최시기가 2014년 1월 11일부터 26일까지로 늦춰졌다. 이러다 보니 대회 타이틀은 U-22 대회인데 실제로는 1회 대회에 한해 23세 선수까지 출전이 가능하다.

올림픽이 4년에 한 번씩 열려서 올림픽 지역 예선과 상관없이 개최되는 대회는 해 리그 일정상, 유럽쪽 구단에 소속되어 있는 선수들은 거의 참가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참가 선수들의 수준이 당연히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아프리카 유럽(은 U-21살 대회[1]) U-23 대회처럼 4년에 1번씩 개최하자는 주장도 있다. 한국이나 일본 같은 아시아 축구 강국들에게는, 올림픽 본선 출전권이 걸려있지 않은 대회는 아무래도 관심도가 떨어질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경우에는 올림픽 본선 진출권이 걸려있지 않은 대회에서 같은 년도에 있을 아시안 게임에 대비한 실전 경험과 옥석 고르기 차원에서 선수를 선발한다.[2]

현재 비슷한 성격이라 볼 수 있는 대회가 아시안 게임 축구(남자)로, 올림픽과 같은 23세 이하 선수+ 와일드 카드(연령 무제한) 3명으로 치러지고 있는데, 출전국 상당수가 아시안 게임 본선 성적에는 안중에도 없고, 오로지 올림픽 지역 예선을 대비해서 21세 이하로 선수를 꾸려 나오고 있다. 따라서 대회의 권위나 관심도가, 각국 최정예 A대표팀이 출전하던 90년대 이전에 비해 훨씬 못한 상황이다. 그와 같이 AFC U-23 챔피언십 대회도 올림픽 최종예선과 겸해서 치러지지 않는 대회는 관심도가 많이 낮아진다.

1회 대회는 오만에서 열린만큼 아랍팀 강세가 돋보였다. 언론에서 한국은 겨우 4강이라고 징징거리지만 위에 나오듯이 올림픽 예선도 아니라 비중이 떨어졌기에 언론에서도 대회 전부터 별로 기대하지 않았던 분위기였다. 사실 4강팀에 한국이 그나마 유일한 비아랍팀이라는 걸 생각하면 아주 잘한 것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욕먹을 것도 아니다.

여담으로 개최국의 강세가 없는 대회이다. 물론 현재까지 5번 치러져 표본은 적지만 지금까지 개최국이 거둔 최고 성적은 2022년 5회 대회 개최국 우즈베키스탄이 거둔 준우승이다.

2. 대회 방식

자동 본선 진출권을 가진 개최국을 포함한 16개의 팀이 본선 시드에 진출하며, 2010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의 결과에 따라서 시드를 배정한다. 본선을 개최하기 위해서는 최대 2개의 도시에 3~4개의 경기장이 필요하며 개최국은 지역별 순환 개최를 원칙으로 한다. 단, 고연령대 대회 출전자는 나이제한 규정과 무관하게 당해 연도의 저연령 대회에 참가하는 것을 금지한다. 특징으로 올림픽이 개최되는 해의 지역 예선을 겸한 대회에서는 상위 3위까지 올림픽 출전 자격을 부여하기 때문에, 결승전보다 3위 결정전이 더 치열한 편이다.

3. 역대 개최국/우승국

파일:AFC-Tournament-Logos_AFC-U23-Asian-Cup--.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오만 국기.svg
2014
오만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6
카타르
파일:중국 국기.svg
2018
중국
파일:태국 국기.svg
2020
태국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2
우즈베키스탄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4
카타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6
사우디아라비아
파일:국기.svg
2028
미정
파일:국기.svg
2030
미정
파일:국기.svg
2032
미정
}}}}}}}}} ||
회차 연도 개최국 우승 준우승 3위 4위 개최국 성적
1 2014 오만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대한민국 11위(조별리그)
2 2016 카타르 일본 대한민국 이라크 카타르 4위
3 2018 중국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카타르 대한민국 10위(조별리그)
4 2020 태국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우즈베키스탄 7위(8강)
5 2022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우즈베키스탄 일본 호주 준우승
6 2024 카타르
7 2026 사우디아라비아
회차와 연도의 굵은 글자는 올림픽 진출권이 걸린 대회다.

4. 우승 횟수

국가 우승 준우승 우승 연도 준우승 연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 2 2022 2014,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 1 2020 2016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1 1 2018 2022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 0 2016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 0 2014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0 1 2018

5. AFC U-23 아시안컵 통산 랭킹

- 랭킹을 보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최고 성적 순위에 관계없이 총 승점을 기준으로 한다.
  • 승리는 승점 3점, 무승부는 승점 1점, 패배는 승점 0점으로 기록한다.[3]
  • 승점이 같을 경우 평균 점수[4] > 골득실 > 다득점 순으로 우선순위에 둔다.
  • 굵은 글씨는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진출팀
랭킹 등락[5] 소속협회[6] 승점 진출 경기 득점 실점 골득실 평균점수 최고순위[7]
1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AFF 66 5 28 21 3 4 63 26 +37 2.11 우승[KOR]
2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WAFF 48 5 23 13 9 1 40 22 +18 2.09 우승[IRQ]
3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EAFF 46 5 23 14 4 5 42 21 +21 2.00 우승[JPN]
4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 WAFF 45 5 24 13 6 5 34 18 +16 1.88 우승[KSA]
5 △1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CAFA 39 5 24 12 3 9 42 24 +18 1.63 우승[UZB]
6 △1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AFF 34 5 22 10 4 8 21 23 -2 1.55 3위[AUS]
7 ▼3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WAFF 33 4 18 9 6 3 29 27 +2 1.83 3위[QAT]
8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WAFF 27 5 20 6 9 5 22 17 +5 1.35 3위[JOR]
9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UAE WAFF 21 4 15 5 6 4 14 17 -3 1.40 QF[UAE]
10 △1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CAFA 16 4 13 4 4 5 18 19 -1 1.23 QF[IRN]
11 ▼1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WAFF 16 4 14 4 4 6 14 18 -4 1.14 QF[SYR]
12 △1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AFF 13 4 16 2 7 7 17 24 -7 0.81 준우승[VIE]
13 ▼1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EAFF 13 4 13 3 4 6 13 18 -5 1.00 QF[PRK]
14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AFF 10 4 13 2 4 7 16 21 -5 0.77 QF[THA]
15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WAFF 4 1 4 1 1 2 8 6 +2 1.00 QF[PLE]
16 △진입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멘 CAFA 4 1 4 1 1 2 4 5 -1 1.00 QF[TKM]
17 ▼1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AFF 4 2 7 1 1 5 5 16 -11 0.57 QF[MAS]
18 ▼1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WAFF 3 2 6 1 0 5 4 8 -4 0.50 GS[OMA]
19 ▼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EAFF 3 4 12 1 0 11 10 21 -11 0.25 GS[CHN]
20 ▼1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WAFF 2 1 3 0 2 1 3 8 -5 0.67 GS[BHR]
21 ▼1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WAFF 1 1 3 0 1 2 1 4 -3 0.33 GS[KUW]
22 △진입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CAFA 0 1 3 0 0 3 0 10 -10 0.00 GS[TJK]
23 ▼2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AFF 0 1 3 0 0 3 1 13 -12 0.00 GS[MYA]
24 ▼2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WAFF 0 2 6 0 0 6 2 15 -13 0.00 GS[YEM]
각 대회 최고 성적이 아무리 높아도 나머지 대회에서 승점이 적으면 순위가 낮아지며(ex: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최고 성적은 낮지만 꾸준히 성적을 내준 팀은 순위가 높다.(ex: 카타르, 호주, 요르단)
공교롭게도 남아시아 축구 연맹(SAFF) 소속 국가들은 지금까지 예선을 통과하고 본선에 진출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다.

6. 대한민국 관련 기록

6.1. 최다 출전 선수

순위 이름 출전 대회 경기수 득점 (실점)
공동
1위
조영욱 2018, 2022 10 4
오세훈 2020, 2022 10 2
김현 2014, 2016 10 1
이상민 2018, 2020 10 0
공동
5위
문창진 2014, 2016 9 4
송주훈 2014, 2016 9 0
공동
7위
권창훈 2016 6 5
이근호 2018 6 3
백성동 2014 6 2
윤일록 2014 6 2
한승규 2018 6 2
임창우 2014 6 1
황의조 2014 6 1
황현수 2018 6 1
황도연 2014 6 0
최성근 2014 6 0
이창민 2014 6 0
박재우 2018 6 0
황기욱 2016, 2018 6 0
송범근 2018, 2020 6 -3
강현무 2018 6 -9
  • 연령 제한이 걸려있는 대회의 특성으로 두 대회를 연속으로 출전한 경우가 드물다. 김현, 문창진, 송주훈, 연제민[32]이 2014년과 2016년 대회를, 그리고 황기욱이 2016년과 2018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송범근 이상민이 2018, 2020년 대회를 연속으로 출전하였다.
  • 연속 두 대회는 아니지만 2022년 대회 출전을 앞두고 있는 조영욱은 한 대회를 건너 뛰고 2018년과 2022년 대회 엔트리에 포함되었는데, 2018년에 만 19세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당시 엄청난 유망주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게다가 2018년에 대한민국이 치른 6경기를 모두 뛰었다. 만약 조영욱이 2020년 대회에 뽑혔었더라면 역대 최초이자 전무후무할 연속 세 대회 연속 출전자가 되었을 것이다.
  • 2020년 대회에 출전했던 주장 이상민은 2018년 대회에서 5경기에 나선바 있으며, 2020년 대회에서 일정을 끝까지 마무리하면서 모든 경기(6경기)에 출전했더라면 역대 최다 출전자에 이름을 올릴 수 있었다. 대회 결과, 이상민은 조별리그 3차전만 로테이션으로 결장함에 따라 2020년 대회에서 5경기를 출장 기록을 추가하며 통산 10경기로 아쉽게 공동 1위에 오르게 되었다.
  • 2022년 대회에 출전한 조영욱 오세훈은 각각 2018년 대회와 2020년 대회에서 이미 6경기에 나섰다. 2022년 대회에서 통산 출전 기록을 4경기 늘리며 역대 최다 출전 선수 공동 1위로 등극했다.
  • 2020년까지 그동안 모든 대회에서 4강에 진출했기 때문에 한 대회당 최대 6경기(조별리그 3경기+8강+4강+결승 or 3위 결정전)를 치렀다. 최다 출장자인 김현과 이상민은 두 대회에서 주전으로 뛰었다는 뜻이고, 산술적으로 한 대회당 5경기를 출전한 셈이다. 보통 첫 번째로 출전하는 대회가 월반해서 선발된 것이고 두 번째로 출전하는 대회가 본인 연령에 맞게 선발된 것을 감안했을 때, 그 재능이 뛰어났고 추측해볼 수 있다.

6.2. 최다 득점 선수

순위 이름 출전 대회 경기수 득점 (실점)
단독
1위
권창훈 2016 6 5
공동
2위
문창진 2014, 2016 9 4
조영욱 2018, 2022 10 4
단독
4위
이근호 2018 6 3
공동
5위
조규성 2020 2 2
류승우 2016 5 2
이동경 2020 5 2
이동준 2020 5 2
한승규 2018 6 2
백성동 2014 6 2
윤일록 2014 6 2
오세훈 2020, 2022 10 2
  • 역대 최다 득점자인 권창훈은 2016년 대회 조별리그 2차전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였고, 준결승전과 결승전에서 1골씩 추가하며 5골로 대회 득점 순위 2위를 했다. 현재 최다 득점 선수 랭킹에 포함된 선수 중에서 차기 2024년 대회에도 출전이 가능한 연령대인 선수가 없기 때문에 한 대회 출전으로 5골 이상 득점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면 당분간 권창훈의 최다 득점 기록은 경신하기 어려운 기록으로 남을 것이다.[33]
  • 역대 최다 득점 공동 2위인 조영욱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는 처음으로 AFC U-23 아시안컵 득점왕에 올랐다.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에서 4경기 3득점을 기록했으며, 역시 3득점을 올린 다른 4명의 선수를 제치고 3득점을 기록하기까지 가장 짧은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득점왕에 선정되었다.

6.3. AFC U-23 아시안컵 득점 선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 2호 3호 4호 5호

임창우
43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A조 1차전

백성동
32분
파일:미얀마 국기.svg
A조 2차전

윤일록
61분
파일:미얀마 국기.svg
A조 2차전

문창진
78분
파일:미얀마 국기.svg
A조 2차전

김경중
62분
파일:오만 국기.svg
A조 3차전
6호 7호 8호 9호 10호

윤일록
80분
파일:오만 국기.svg
A조 3차전

백성동
3분
파일:시리아 국기.svg
8강전

황의조
11분
파일:시리아 국기.svg
8강전

문창진
20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1차전

문창진
48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1차전
11호 12호 13호 14호 15호

권창훈
14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권창훈
31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권창훈
41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류승우
72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김승준
76분
파일:예멘 국기.svg
C조 2차전
16호 17호 18호 19호 20호

김현
22분
파일:이라크 국기.svg
C조 3차전

문창진
23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8강전

류승우
48분
파일:카타르 국기.svg
4강전

권창훈
89분
파일:카타르 국기.svg
4강전

문창진
90+5분
파일:카타르 국기.svg
4강전
21호 22호 23호 24호 25호

권창훈
20분
파일:일본 국기.svg
결승전

진성욱
47분
파일:일본 국기.svg
결승전

조영욱
29분
파일:베트남 국기.svg
D조 1차전

이근호
73분
파일:베트남 국기.svg
D조 1차전

이근호
18분
파일:호주 국기.svg
D조 3차전
26호 27호 28호 29호 30호

한승규
44분
파일:호주 국기.svg
D조 3차전

이근호
65분
파일:호주 국기.svg
D조 3차전

조재완
1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8강전

한승규
85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8강전

황현수
58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4강전
31호 32호 33호 34호 35호

이동준
90+3분
파일:중국 국기.svg
C조 1차전

이동준
23분
파일:이란 국기.svg
C조 2차전

조규성
34분
파일:이란 국기.svg
C조 2차전

오세훈
5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3차전

오세훈
71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C조 3차전
36호 37호 38호 39호 40호

조규성
16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8강전

이동경
90+4분
파일:요르단 국기.svg
8강전

김대원
55분
파일:호주 국기.svg
4강전

이동경
75분
파일:호주 국기.svg
4강전

정태욱
113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결승전
41호 42호 43호 44호 45호

이상민
31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김태환
48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조영욱
89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조영욱
90+2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C조 1차전

조영욱
64분
파일:베트남 국기.svg
C조 2차전
46호 47호 48호 49호 50호

고재현
35분
파일:태국 국기.svg
C조 3차전

이영준
90+4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B조 1차전

???
??분
파일:국기.svg
?조 ?차전

???
??분
파일:국기.svg
?조 ?차전

???
??분
파일:국기.svg
?조 ?차전
}}}}}}}}} ||

7. 참고 항목



[1] 유럽은 본선이 아니라, 예선 참가일 기준으로 연령 제한을 한다. [2] 대략, 여기서 선발된 인원의 5~7명 정도가 아시안 게임에 출전할 선수 명단에 포함된다. 아시안 게임의 엔트리가 20명이고 3명의 와일드카드를 제외하면 산술적으로 17명이 선발되는 셈이니 선수 입장에서 차기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기 위해서는 이 대회가 마냥 중요하지 않다고 볼 수 없다. [3] 승부차기는 무승부에 포함된다. [4] 승점/경기횟수를 나눈 점수 [5] 2020년 대비 2022년 [6] 현 소속기준 [7] QF=8강, GS=조별리그 [KOR] 2020 [IRQ] 2014 [JPN] 2016 [KSA] 2022 [UZB] 2018 [AUS] 2020, 2022 [QAT] 2018 [JOR] 2014 [UAE] 2014, 2016, 2020 [IRN] 2016 [SYR] 2014, 2018 [VIE] 2018 [PRK] 2016 [THA] 2020 [PLE] 2018 [TKM] 2022 [MAS] 2018 [OMA] 2014 [CHN] 2018 [BHR] 2020 [KUW] 2014 [TJK] 2022 [MYA] 2014 [YEM] 2014 [32] 다만, 연제민은 2014년 대회에서는 백업으로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였으며 2016년 대회에서 주전으로 5경기를 뛰었다. [33] 여담으로 권창훈도 단 한 대회 출전으로 역대 최다 득점 선수 1위 기록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