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0:23:05

9-nine-/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9-nine-
9-nine- (미정)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이능력 배틀, 순애
원작 파렛트
총감독 ○○
감독 ○○
부감독 ○○
조감독 ○○
시리즈 디렉터 ○○
시리즈 구성 ○○
캐릭터 디자인 ○○
미술 감독 ○○
색채 설계 ○○
촬영 감독 ○○
편집 ○○
음향 감독 ○○
음악 ○○
프로듀서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애니메이션 제작 (애니메이션 제작사 이름)
제작 (제작위원회 이름)
방영 기간 20○○. ○○. ○○. ~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방송국 이름 / (요일) 시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방송국 이름 / (요일) 시간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
편당 러닝타임 ○○분
화수 ○○화
시청 등급 미정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설정6. 주제가
6.1. OP6.2. ED
7. 회차 목록8. 평가
8.1. 방영 전8.2. 방영 후
9. 원작과의 차이점10.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에로게 9-nine-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미정, 방영 시기는 미정.

2. 공개 정보

2024년 5월 29일 19시, 파렛트 공식 유튜브 스트리밍으로 애니화가 공식 발표되었고, 19시 30분 파렛트 공식 유튜브 계정에 애니화 결정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 또한 9월 8일에 애니화 발표를 기념하여 이벤트를 개최할 예정이라 한다.

2.1. PV

애니메이션화 및 이벤트 개최 결정

2.2. 키 비주얼

파일:빈 세로 이미지.svg
키 비주얼

3. 줄거리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9-nine- 문서
번 문단을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373a3c,#dddddd> 등장인물 성우
니이미 카케루 아베 아츠시
쿠죠 미야코 후쿠엔 미사토
니이미 소라 타네자키 아츠미
코사카 하루카 야마오카 유리
유키 노아 후지타 아카네
후카자와 요이치 야마모토 카즈토미
타카미네 렌야 스기타 토모카즈
소피티아 아라이 사토미
나루세 사츠키 타케다 하나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9-nine-/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주제가

6.1. OP

OP
(원제목)
(번역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 ||

6.2. ED

ED
(원제목)
(번역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작사 -
작곡 -
편곡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 ||

7.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2]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日: 미정

8. 평가

8.1. 방영 전

누키타시 THE ANIMATION과 더불어 오래간만에 발표된 에로게 원작 애니메이션이지만, 원작 시리즈가 한창 발매될 때부터 애니화 떡밥이 있었고, 원작 스토리 구조 자체가 애니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는데다 파렛트 라디오에서도 꾸준히 애니화가 떡밥으로 나왔고, 결정적으로 카케루와 미야코 성우인 아베 아츠시 후쿠엔 미사토가 18금 명의가 아니라 전연령 명의로 5월 29일날 중대발표를 한다고 25일에 공지를 했던지라 #[3] 누키타시 때와 달리 반응이 그렇게 뜨겁지는 않다.

오히려 제작진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 2020년대 들어 한국에서도 애니메이션은 예산이나 제작비 같은 금전적 요소보다 애니메이션 감독 애니메이터처럼 투입된 인적 자원의 질이 더 좌우한다는 인식 개선이 이루어지면서 성우 못지 않게[4] 관심이 집중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에로게는 아니지만 좋은 제작진으로 방영 전 우려를 불식시킨 ATRI -My Dear Moments- 애니처럼 본작도 좋은 제작진이 붙기를 희망하는 팬이 많다.

8.2. 방영 후

9. 원작과의 차이점

10. 기타

  • 원작 성우진이 유지되었다.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 [2]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3] 원작 시리즈 신장편이 전연령판으로 이미 발매되었다. 따라서 굳이 에로게 출연 성우진을 전연령 명의로 불러서 발표를 시킨다는 건 정황상 애니화가 가장 유력하다. [4] 검증된 원작 성우진을 그대로 쓴만큼 성우 연기력은 문제될 게 없다. 메인 4인방인 후쿠엔 미사토(시리즈 중간 나빠지긴 했으나 이후 연기력이 회복됨), 타네자키 아츠미, 야마오카 유리, 후지타 아카네 모두 본작을 비롯해 다양한 에로게에 출연하여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며 서브 캐릭터들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