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8:13

호커 타이푼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242b3d>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 항공기
전투기 복엽기 <colbgcolor=#fefefe,#191919>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단엽기 볼튼 폴 디파이언트,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LF/HF, 호커 허리케인, 호커 타이푼, 호커 템페스트, 슈퍼마린 스파잇풀
함재기 글로스터 시글래디에이터, 페어리 풀머, 페어리 파이어플라이, 호커 시허리케인, 슈퍼마린 시파이어 F, 슈퍼마린 시팽, 호커 시퓨리 FBA, 드 해빌랜드 시호넷 F/NFA
쌍발기 브리스톨 보파이터, 웨스트랜드 훨윈드,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FB/NF, 드 해빌랜드 호넷A
제트기 글로스터 미티어,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A, 슈퍼마린 어태커A
뇌격기 페어리 소드피시, 페어리 알바코어, 페어리 바라쿠다, 블랙번 파이어브랜드, 브리스톨 뷰포트
폭격기 경폭격기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B, 페어리 배틀, 브리스톨 블렌헤임
中폭격기 빅커스 웰링턴, 암스트롱-위트워스 휘틀리, 핸들리 페이지 햄든,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A
重폭격기 숄트 스털링,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아브로 랭커스터, 아브로 링컨
급강하폭격기, 공격기 블랙번 스쿠아, 페어리 바라쿠다, 브리스톨 브리건드A, 웨스트랜드 와이번A
수송기 빅커스 발레타
정찰기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R/PR, 슈퍼마린 시파이어 FR,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PR, 드 해빌랜드 호넷 FR/PRA
렌드리스 항공기 전투기 벨 에어라코브라, 커티스 키티호크, 리퍼블릭 썬더볼트, 노스 아메리칸 머스탱, 브루스터 버팔로(B-339E), 그루먼 마틀렛, 그루먼 가넷(헬캣), 보우트 콜세어, 록히드 라이트닝
뇌격기, 공격기 제너럴 모터스 어벤저, 브루스터 버뮤다, V-156 체사피크, 더글라스 하복, 벌티 벤전스
폭격기 록히드 허드슨, 록히드 벤추라, 마틴 볼티모어, 컨설리데이티드 리버레이터 B, 보잉 포트리스, 노스 아메리칸 미첼, 마틴 머로더, 보잉 워싱턴A, 마틴 메릴랜드
회전익기 시코르스키 호버플라이
수상기 슈퍼마린 왈루스, 컨솔리데이티드 카탈리나, 컨솔리데이티드 코로나도, 숄트 선더랜드
시제기 빅커스 베놈, 글로스터 E.28/39, 에어스피드 플리트 쉐도워, 호커 토네이도, 블랙번 파이어크레스트
노획 기체 메서슈미트 Bf 109, 포케불프 Fw 200, 포케불프 Fw 190, 포케불프 Ta 152, 하인켈 He 219, 하인켈 He 70, BV 184, BV 185, BV 187, 하인켈 177, 슈토르히 Fi 156, 융커스 188 A-2, A-3, 아라도 232 B-0, MXY-7 오카A, C-012A, 도르니에 335A, 융커스 352A, 메서슈미트 Me 410 A-3A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영국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A: 전후 도입/노획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항공기
전투기 복엽 전투기 <colbgcolor=#fefefe,#191919> I-15, I-15bis, I-153
전투기 I-16 이삭, Yak-1, Yak-7, Yak-9, Yak-3, MiG-1, MiG-3, LaGG-3, La-5, La-7, La-9A, La-11A, Pe-3
폭격기 경폭격기, 공격기 Po-2, Il-2, Il-10, Su-2, Su-6, Ar-2, Pe-2, SB, Yak-2, Yak-4
中폭격기 DB-3, Tu-2, Yer-2
重폭격기 TB-3, Pe-8, Tu-4A, Fw 200A, Do 215m
랜드리스 항공기 미국 지원 항공기 P-40C, P-40E-1, P-39 '코브라', P-63 킹코브라, P-47, P-51m, A-20, B-25, B-24, C-47, T-6, GST 카탈리나
영국 지원 항공기 허리케인, 스핏파이어, 호커 타이푼m, 햄든, 스털링, 모스키토
공중항공모함 즈베노 프로젝트
수상기 Ar 196
노획 기체 나카지마 I-97, Fw 58, Fw 190D, Bf 109G, Me 262, Fi 156, B-17, B-29, Ba 349, Ar 196, Si 204, Me 410 B-2/U4, Ju 352A
기타 항공기 및 시제기 I-15GK, I-153GK, I-15bis TK, I-153TKm, I-15bis DM, I-153DM, I-153UD, I-153P, UTI-26, TB-6, I-180, I-185, Il-20, LaGG-1, Yak-15A, MiG-9A,La-15, La-152, Su-9(1946), TIS MA, BI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소련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m:소수 도입, 윗첨자A: 전후 도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파일:external/www.ctie.monash.edu.au/camm_typhoon_500.jpg
Hawker Typhoon

1. 개요2. 제원3. 개발4. 운용
4.1. 초기 운용4.2. 후기 운용
5. 미디어에서의 등장6. 모형화7. 기타

1. 개요

처음에는 전투기로 개발되어, 중, 저고도에서는 나치 독일 Fw190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지만, 고고도로 올라가면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중고도 요격기 및 전폭기로 사용되었다. 빈약한 고고도 성능을 보완한 후속기가 바로 호커 템페스트.[1]

2. 제원

  • 타이푼 Mk.Ib 기준
전폭 12.67 m
전장 9.73 m
전고 4.66 m
자체중량 4,010 kg(8,840 lb)
전비중량 5,170 kg(11,400 lb)
최고속도 19,000피트(5,485 m) 상공에서 663 km/s(412 mps)
상승력 해수면에서 최고출력으로 19.3m/s
항속거리 7767 pm
엔진 네이피어-세이버IIB / 2,180마력
무장
양측 주익에 20mm 히스파노 Mk.II 기관포 2문씩, 문당 탄약 200발
500파운드 2발 또는 1,000파운드 1발의 폭장 가능
3미터 RP-3로켓 8발

3. 개발

처음에는 호커 허리케인을 대체하는 중고도 요격기로 개발되었다. 타이푼의 설계 자체는 1937년에 이미 되어있었는데 크게 토네이도와 타이푼의 형태였으며, 이는 허리케인보다 더 거대하였다. 이 설계는 1937년 7월에 항공성에 제출되었으나 당시에는 채택되지 않았다. 그러나 1938년에 호커사는 항공성으로부터 F.18/37 사양의 주문을 받게 된다. F.18/37에서 항공성이 요구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2단 슈퍼차저와 영국 엔진을 이용하여 4,600m에서 최소한 644 km/h의 속력을 낼 수 있어야 한다.
2. 12정의 7.7mm 브라우닝 기관총을 장착할 수 있어야 한다.
타이푼의 초기 설계는 호커사 항공기들의 전통적인 구조와 더 현대적인 구조가 결합된 형태였다. 날개의 강도는 매우 튼튼하였으며 내부에는 연료탱크를 설치하고 중무장하는것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시제기의 첫 비행이 1940년 2월 24일에 있었는데 본래라면 이전에 시험비행이 있을 예정이었으나 네이피어-세이버 엔진의 개발에 문제가 있어서 지연되다가 마침내 시험비행을 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1940년 5월에 항공기 생산성(Minister of Aircraft Production)은 주력기종 5종에(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호커 허리케인, 암스트롱-휘트워스 휘틀리, 빅커스 웰링턴, 브리스톨 블렌헤임) 자원을 집중하라는 지시를 내리게 되고 타이푼의 개발은 느려지고 생산 또한 연기되었으며 시험비행의 횟수도 감소하게 되었다. 이러한 지연의 결과 20mm 히스파노 Mk.II 기관포 4문을 장착한 2호 시제기는 1941년 5월에 가서야 시험비행을 할 수 있었는데, 이 기체가 타이푼 IB시리즈의 시제기이다. 첫 시제기와 2번째 시제기의 비행 사이에 항공성은 호커사에 새로운 1,000대의 전투기를 제작할 것을 지시하였고, 같이 개발되던 토네이도는 타이푼 개발로 프로젝트가 합쳐지면서 폐기되었다.

그러나 타이푼의 두꺼운 날개는 항력을 지나치게 많이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타이푼은 20,000ft에서 664km/h를 넘길 수 있으리라고 예상되었으나 테스트 결과 항력으로 인하여 해당 고도에서 659km/h를 넘길 수 없었다. 게다가 상승비율과 성능도 고도가 올라가면 매우 떨어졌으며 급강하시 803km/h를 넘기면 항력으로 기체가 심하게 흔들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나중에 템페스트가 되는 타이푼 II의 설계에서 보다 얇은 층류익을 도입해서 해결하게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awker_Typhoon_ExCC.jpg

그 이외에도 초창기 MK.1 형식은 시야가 제한된 콕핏때문에 조종사들의 불만이 많았고 후기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스파노-수이자 HS.404 20mm 기관포 4문이 아닌 7.7mm 기관총 12정을 장착했다. 후기형인 MK.1 B형에서는 버블형 캐노피의 도입과 20mm 기관포를 장비하고 본격적인 재배를 위해 5인치 60lb 로켓 12발을 장비하였다. 게다가 막강한 1000파운드 폭탄을 장비하고 지상공격에서 많은 활약을 하였다.

4. 운용

4.1. 초기 운용

1941년 8월에 독일 공군은 신형 전투기인 Fw 190을 투입하게 되는데 이 기체는 영국 공군의 주력기였던 스핏파이어 V형을 압도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었고 덕분에 영국 공군은 막대한 손실을 입고 있었다. 결국 41년 말에 손실이 너무 크다고 판단한 영국 공군은 타이푼을 그 대항으로 급하게 투입하게 되지만 마찬가지로 털려버렸으며 몇몇 기체는 알수 없는 이유로 손실된다. 덕분에 항공성은 타이푼의 생산을 중지시키는것을 고려하기까지 하였다. 호커사는 타이푼의 설계를 다시 손을 봐서 승강타등을 고쳤으나 여전히 세이버 엔진에는 문제가 있었고 1942년말에 뛰어난 성능이 드러나기 이전까지 타이푼은 전투기로 사용하기에는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1942년말에서 1943년 초에 타이푼은 영국 남동부 해안의 비행장에 주로 배치되어 있었으며 독일 공군의 저고도 침투에 대응해서 Fw 190을 요격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또한 남동부의 초계비행에도 자주 투입되었으며 이 임무에서도 많은 적기를 요격하여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였다.

4.2. 후기 운용

노르망디 상륙 작전 전후로 독일 점령하의 프랑스, 네덜란드, 벨기에 등지에서 공군기지, 교량, 철도, 보급품 야적장 등을 파괴하는 임무에 투입되었으며, 팔레즈 포켓 전투에서는 엄청난 공중 지원으로 노르망디의 독일 기갑 전력에게 치명타를 날리는데 기여를 했다. 2차 대전을 다루는 각종 매체에서 독일군이 두려워하는 "야보(Jabo)"는 대부분 이놈이다.[2] 에르빈 롬멜이 탑승한 차량을 폭격해 부상을 입힌 것도 이 전투기라는 설이 있다. 다만 독일 측은 이 공격이 스핏파이어에 의한 것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전 후기에 타이푼의 임무는 지상공격에 치중되어 있었지만 독일 전투기들과 마주쳤을 때는 알짤없이 공중전에 돌입해야 했고, 독일 전투기 15기를 격추시킨 존 로버트 볼드윈[3] 같은 에이스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본래 요격기로 사용하기 위해서 개발된 기체인 만큼 공중전에서 못쓸 물건도 아니었고 중저고도에서는 Fw 190과 호각으로 싸울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었으니[4] 터무니 없는 일은 아니다.

5. 미디어에서의 등장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typhoon_mk1a.png }}} ||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typhoon_mk1b.png
||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typhoon_mk1b_late.png
||
타이푼 Mk Ia 타이푼 Mk Ib 타이푼 Mk Ib 후기형
영국 공군 소속 2랭크와 3랭크에 배치되어 있으며 등장하는 기종은 MK.1a, MK.1b, MK.1b/후기형이다.
타이푼 MK.1a는 7.7mm 브라우닝 기관총 12정을 탑재하여 2랭크 전투기 사이에서 그다지 공격력이 나쁜 편은 아니지만 기관포에 비해 한발 한발의 위력은 떨어는 것은 사실이다. 허리케인에 비해 선회력이 떨어지지만 고속 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250파운드 항공 폭탄 2개 혹은 500파운드 항공 폭탄 2개를 장착 할 수 있다.
타이푼 MK.1b는 3랭크 프리미엄 전투기로 기관총을 전부 제거하고 20mm 히스파노 Mk. II 기관포 4문을 탑재하여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는데 이 화력은 냉전기 제트 시대에서도 위력적이다. 비행 성능은 동일하며 프리미엄 혜택이 적용되기에 손쉽게 연구 경험치와 실버 라이언 포인트를 벌 수 있다. 리얼리스틱 모드에서는 선회력이 둔한 감이 있으나 아케이드 모드에서는 별 문제 없다. 최대 1000파운드 항공 폭탄 2개를 장착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타이푼 MK.1b후기형은 모든 타이푼 시리즈 중에서 가장 안정된 비행 성능을 지니고 있다. 역시 다소 선회력이 둔하긴하나 고속을 이용한 치고 빠지기 전술을 사용하기 좋은 전투기이다. 위에 Mk.1b랑 동일한 20mm 히스파노 Mk. II 기관포 4문을 탑재하였으며 최대 1000파운드 항공 폭탄 2개나 혹은 RP-3 로켓 8기를 탑재 할 수 있다.
  •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 에서 영국 전투기 트리 20레벨 기체로 등장하며, 또한 미션에서 전폭기로 지겹도록 주구장창 볼 수 있는 녀석이다. 비행성능은 평범하다.
  • 데이 오브 인퍼미에서 영국군 장교가 공중 지원을 요청하면 날아와서 로켓탄과 기관포를 퍼붓는다.
  • 스틸 디비전 시리즈에서 영국군 전투기/전폭기로 등장한다. 전투기로도 좋고 전폭기로도 폭탄을 떨구고 아주 빠르게 도망치기 때문에 성능이 좋다.

6. 모형화

호커 사의 전작인 허리케인보다는 좀 못하지만 후속작인 템페스트보다는 많은 양의 모형이 출시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2차대전 전투기 중 중상위권으로, 출시된 모형 수는 많지만 스케일을 신경쓴다면 어떤 제품이 좋을지 고민을 좀 해 보아야 하는 정도이다.
  • 1/14
    • Cleveland Model & Supply
      1940년대 제품이다.
  • 1/16
    • Joe Ott
      1944년 제품이다.
  • 1/18
    • Astral Aero Model Co.
      1940년대 제품이다.
    • Keil Kraft
      마찬가지로 1940년대 제품이다.
  • 1/24
    • Consolidated Model Engineering
      1950년대 제품이다.
    • 에어픽스
      2014년 출시된 제품으로 Mk.IB 형식을 재현하고 있다. 이후 출시된 같은 라인업의 헬캣처럼 풀 내부재현 제품이며 기체 표면의 우그러짐이 표현되어 있다. 조립성은 좋은 편이지만 내부 골조를 입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는데다 부품 수도 많아 조립의 난이도는 상당하다. 프로포션은 좋지만 스케일이 크다 보니 리벳이 과도하게 두드러진다는 의견도 있다. 국내가 10만원 대 후반의 고가의 킷임에도 에칭이나 레진/고무 부품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은 다소 아쉽다. 빅 스케일 타이푼 중에서는 유일하게 요즘 킷이다 보니 빅 스케일 타이푼을 원하면서도 오래된 킷이 손에 맞지 않는다면 이 킷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여러모로 이후 출시된 같은 시리즈의 헬캣과 비슷한 느낌이지만 이 킷이 5년 먼저 나온 만큼 품질 면에서는 약간 떨어진다. 좋은 킷이지만 역시나 사출 품질이나 다소 무른 재질 등 에어픽스라는 제조사 자체의 호불호 요소는 다른 제품들과 동일하다. 옵션은 다수 출시되어 있다.
  • 1/27
    • Scientific
      1964년 제품이다.
  • 1/28
    • Enterprise
      1950년대 제품이다.
    • Guillow's
      1960년대 제품이다.
  • 1/31
    • Skyleada
      1956년 제품이다.
  • 1/32
    • Ray Models
      1945년 출시된 제품이다.
    • 레벨
      1973년 출시된 제품이다. 바리에이션은 나름대로 다양하고 여러 번 재출시되기도 하였지만 오래된 레벨 킷이 그렇듯 요즘에는 구하기 힘들다.
    • Model Design Construction
      2006년 출시된 개라지 킷이다.
  • 1/33
    • Fly Model
      종이 모형이다.
    • WAK
      2021년 제품이다.
  • 1/42
    • Supreme - Stece Patti Company
      1950년대 제품이다.
  • 1/48
    • Aeromodels
      1942년 제품이다.
    • Douglas
      1943년 제품이다.
    • Hawk
      1943년 제품이다.
    • Chingford Model Aerodrome
      아래 3개의 제품과 마찬가지로 1944년 출시된 제품이다.
    • Maircraft
    • Joe Ott
    • Halfax
    • Eagle Model Aircraft Company
      1945년 제품이다.
    • Burkard
      1940년대 제품이다.
    • Consildated Model Engineering
      1940년대 제품이다.
    • 모노그람
      1968년 출시된 제품이다. 이 스케일에서 바리에이션은 가장 다양하다. 여러 브랜드에서 재포장 발매되었기 때문에 현재도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 하세가와
      모노그람 제품을 재포장 판매하다가 1999년 신금형으로 제품을 출시했다. 이 스케일에서 최신 금형이고 입수 난이도도 무난해 가장 나은 선택이라는 평이다. 바리에이션도 상당히 다양하다.
    • 이탈레리
      하세가와 재품 재포장판이다.
    • 에듀어드
      하세가와 제품에 에칭과 레진 부품 등을 추가해 재포장 발매했다.
  • 1/50
    • Empire Model Airplane Co.
      1945년 출시된 제품이다.
    • Continental Model Airplane Co.
      1947년 출시된 제품이다.
    • WAK
      2016년 발매된 합본 킷이다.
  • 1/72
    • Skyleada
      아래 3개의 제품과 마찬가지로 1942년 발매된 제품이다.
    • Airyda
    • Grace Airplanes
    • FROG Penguin
    • Truscale
      1943년 제품이다.
    • Hobby Model Kits
      1944년 제품이다.
    • Cadet Aeronautics
      1944년 제품이다.
    • 에어픽스
      1959년 출시된 구금형과 2013년 출시된 신금형이 있다. 구금형은 2009년까지 제품이 발매되었지만 신금형이 나온 현재 시점에서는 별 가치가 없다. 신금형은 다른 에어픽스 신금형 에어로 킷들처럼 평가가 좋아 이 스케일에서 가장 좋은 제품으로 간주된다. 전용 옵션도 많고 AFV와의 합본 킷 등 바리에이션도 다양하다.
    • FROG
      1959년 금형과 1975년 금형이 있다. 양쪽 모두 여러 모형 제조사에서 재포장 발매했다.
    • 엘레르
      에어픽스 구금형 제품의 재포장판이다.
    • 아카데미과학
      1998년 제품으로, 국내에서의 접근성과 가성비는 가장 좋다. Mk.IB 형식만 있다. 다른 아카데미 1/72 스케일 항공기 제품들에 비하면 좀 구하기 힘들지만 여전히 여러 곳에 재고가 있다.
    • CMR
      1998년 제품이다.
    • High Planes Models
      1990년대 제품이다.
    • Pavia Models
      2003년 제품이다.
    • 하비보스
      2007년 출시된 제품이다. Easy Assembly Authentic Kit라는 라인업으로 출시된 제품으로, 가격이 싸고 부품수가 적어 조립이 간편하지만 디테일은 다소 부족하다.
    • Brengun
      2013년 출시된 제품이다.
  • 1/90
    • Sanwa
      1963년 제품이다.
  • 1/96
    • Eaglewall
      1958년 제품이다.
  • 1/100
    • Victrix
      2018년 제품이다.
  • 1/144
    • 레벨
      1973년 최초 출시된 제품이다.
    • F-Toys
      2006년 제품이다.
  • 1/150
    • Sankyo
      1962년 제품이다.
  • 1/285
    • C-in-C
      1990년대 제품이다.
  • 1/700
    • 피트로드
      2013년 다른 RAF 기체들과 합본으로 발매하였다.
  • 논 스케일
    • Model Craft Hobbies
      1943년 제품이다.
    • Authentic Models
      1944년 제품이다.
    • Pioneer
      1945년 제품이다.

7. 기타

  • 멀리서 언뜻 보면 외형이 Fw190과 유사하여 종종 팀킬을 당하기도 하였는데 대공포만이 아니라 아군 전투기에게도 당하는 경우가 있었고 이런 사고를 막기 위해서 날개의 아래쪽에 검고 흰 줄무늬로 도장을 하였다. 물론 아군 오사 자체는 육안 식별이 거의 전부이던 당시의 시대적 한계 때문에 실루엣이 독일기와 비교적 구분이 잘 되는 스핏파이어나 P-47 같은 기종, 심지어 P-38이나 4발 중폭격기 같이 피아식별 실수하기가 더 어려운 기종이라 해도 완전히 피해갈 수는 없는 문제였고 피아식별을 위한 인베이전 스트라이프 또한 서부 유럽 전선에서 활동하던 연합군 기체에 기종을 불문하고 일괄적으로 적용된 부분이긴 하다.
  • 전차 에이스 미하엘 비트만을 1944년 8월 8일에 전사시켰다는 설이 있었으나 이는 파괴된 전차와 영국군 작전보고서가 드러남에 따라 낭설로 밝혀졌다. 타이푼에 의한 전사설 자체가 독일의 선전기관의 주장[5]이었으며 비트만의 죽음에 대한 정설은 셔먼 파이어플라이와의 교전 중 전사했다는 것이다. 이 선전 말고도 아니라 비트만의 포수로 활약했던 발타자르 볼 하사 역시 비트만이 파이어플라이에 죽었을 리 없다고 호커 타이푼에 의해 전사했다는 것을 지지한 것도 있었다.
  • 호커사에서 개발한 항공기지만 대부분의 생산은 글로스터사에서 이루어졌다.
  • 단 1대의 타이푼만이 온전한 상태로 보존되어서 영국 공군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해당 기체의 등록번호는 MN235이며 이 기체는 미국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가 영국 공군 창설 50주년 기념으로 반환한 기체이다. 이외에 보존된 기체들 중 등록번호가 확인된 것은 총 4대(EJ922, JP843, JR505, RB396/G-TIFY)지만 완전한 상태는 아니며 2대(JP843, RB396/G-TIFY)가 비행이 가능하도록 복원중이다.
  • 타이푼 조종사들은 이 기체에 Tiffy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
  • 현재 유로파이터 타이푼이 이름을 물려받아 신나게 먹칠을 하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이 기체에게 가장 골탕을 먹고 있는 것도 독일이다. 반면 영국은 이런저런 프로젝트를 통해서 꾸준히 절감시켜서 그나마 상황이 양호한 편으로 영국측은 유지비를 F-16 수준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1] 제일 확실한 식별법은 주날개가 타원익이면 템페스트, 날개 끝에 원형 윙팁이 달린 테이퍼익이면 타이푼이다. 날개에 장착된 기관포가 날개 밖으로 포신이 튀어나오는 장포신인지, 날개 안에 온전히 수납되는 단포신인지로 구분하는 방법도 있기는 하지만, 생산 시기나 야전 개수 등의 이유로 타이푼이라도 단포신일 수 있고, 템페스트라도 장포신인 경우가 있어 100% 정확하진 않다. 프로펠러의 날 수로 구별할 수도 있는데, 프로펠러의 날 수는 3엽이면 대부분 타이푼이지만 4엽도 가끔 있어서 역시 100% 정확한 방법은 아니다. 물론 차이가 눈에 더 잘들어오는 장점은 있지만. [2] 그러나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항공전력에 의한 장갑 차량에 대한 공격은 그렇게 효과적이지는 않았다. RAF가 자체적으로 조사한 바로는 로켓의 명중률(직격 확률)은 대략 2.5%로 타이푼 1대가 8발의 로켓을 달고 다니니 5대의 타이푼이 로켓을 모조리 날려야 1발을 맞출 수 있는 수준이다.물론 유럽전선에 타이푼은 5대만 있지 않았다. [3] 타이푼 조종사 중 격추수 1위를 기록하였다. 이후 한국 전쟁에서 미 공군 소속 F-86 조종사로 참전하였으나 1952년 3월에 미그 앨리에서 실종되었다. [4] 재밌게도 라이벌인 Fw 190 역시 타이푼이 주로 상대한 A형의 경우 BMW 801 공랭식 엔진의 과급기 문제 때문에 고공 성능이 좋은 편은 아니었다. [5] 당시 유명했전 전차 사냥꾼이 적 전차에 피격당해 전사했다고 할 경우, 믿기지가 않을 뿐더러 아군의 사기가 떨어질 것을 염려한 것이기도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