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및 국무위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373A3C,#DDD" |
|
|||
한덕수 | ||||
|
이주호 | |||
이종호 |
|
|
한동훈 | |
이종섭 | 이상민 | 박보균 | 정황근 | |
이창양 | 조규홍 | 한화진 | 이정식 | |
김현숙 | 원희룡 | 조승환 | 이영 | |
|
||||
※ 둘러보기: 국가행정조직 | ||||
{{{#!wiki style="border: 1px solid #191919; display:inline-flex; background: #FFF; border-radius: 3px; padding: 0.8px 3px; margin: 1px; letter-spacing: -1.0px"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내무부장관 (1948~1998) | |||||||
초대 윤치영 |
제2대 신성모 |
제3대 김효석 |
제4대 백성욱 |
제5대 조병옥 |
||||
제6대 이순용 |
제7대 장석윤 |
제8대 이범석 |
제9대 김태선 |
제10대 진헌식 |
||||
제11대 백한성 |
제12대 김형근 |
제13대 이익흥 |
제14대 장경근 |
제15대 이근직 |
||||
제16대 민병기 |
제17대 김일환 |
제18대 최인규 |
제19대 홍진기 |
제20대 이호 |
||||
제21대 홍익표 |
제22대 이상철 |
제23대 현석호 |
제24대 신현돈 |
제25대 조재천 |
||||
제26대 한신 |
제27대 박경원 |
제28대 엄민영 |
제29대 양찬우 |
제30대 엄민영 |
||||
제31대 이호 |
제32대 박경원 |
제33대 오치성 |
제34대 김현옥 |
제35대 홍성철 |
||||
제36대 박경원 |
제37대 김치열 |
제38대 구자춘 |
제39대 김종환 |
제40대 서정화 |
||||
제41대 노태우 |
제42대 주영복 |
제43대 정석모 |
제44대 김종호 |
제45대 정호용 |
||||
제46대 고건 |
제47대 정관용 |
제48·49대 이상희 |
제50대 이춘구 |
|||||
제51대 이한동 |
제52대 김태호 |
제53대 안응모 |
제54대 이상연 |
제55대 이동호 |
||||
제56대 백광현 |
제57대 이해구 |
제58대 최형우 |
제59대 김용태 |
제60대 김우석 |
||||
총무처와 통합 | ||||||||
제61대 서정화 |
제62대 강운태 |
제63대 조해녕 |
||||||
행정자치부장관 (1998~2008) | ||||||||
초대 김정길 |
제2대 김기재 |
제3대 최인기 |
제4대 이근식 |
제5대 김두관 |
||||
제6대 허성관 |
제7대 오영교 |
제8대 이용섭 |
제9대 박명재 |
}}}{{{#!wiki style="margin: -6px -1px" | 행정안전부장관 (2008~2013) | |||
초대 원세훈 |
제2대 이달곤 |
제3대 맹형규 |
||||||
안전행정부장관 (2013~2014) | ||||||||
초대 유정복 |
제2대 강병규 |
제3대 정종섭 |
||||||
행정자치부장관 (2014~2017) | ||||||||
초대 정종섭 |
제2대 홍윤식 |
제3대 김부겸 |
}}}{{{#!wiki style="margin: -6px -1px" | 행정안전부장관 (2017~현재) | ||||
초대 김부겸 |
제2대 진영 |
제3대 전해철 |
제4대 이상민 |
|||||
임시정부 내무부장 | }}}}}}}}}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大韓民國行政安全部長官 The Minister of the Interior and Safet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
현직 | 이상민 / 제4대 |
취임일 | 2022년 5월 12일 |
정당 |
[[무소속| 무소속 ]]
|
[clearfix]
1. 개요
행정안전부의 장.기본적으로 행정안전부를 포함한 내무부 계열 부처가 치안 조직을 관할해 왔는데, 10만이 넘는 경찰 인력이 물어올 수 있는 정보력이 막강하고 준군사조직이라는 특성까지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 정말 믿을 만한 사람을 장관으로 임명하는 게 일반적일 정도로 중요한 자리다. 게다가 서울특별시[1]를 제외한 광역자치단체의 부단체장(행정부시장, 행정부지사) 인사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맘만 먹으면 여권, 야권에 관계없이 해당 광역자치단체장 성향 등을 비롯한 지역 사정의 세세한 부분까지 파악 가능하고, 지방자치단체는 물론이고 지자체 산하 지방 공기업 등 온갖 태클이 가능한 자리다. 특히, 안 그래도 지방 재정이 팍팍한데 교부금 등 돈줄을 손에 쥐고 휘두를 수도 있다.
그 외에 기관 이름에 안전이 붙으면서 태풍, 폭우, 폭염, 지진, 화재, 승강기 사고 등 온갖 안전사고 문제로 피곤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박근혜 정부 시절 유정복 장관이 지방선거 출마를 이유로 사퇴했는데 사퇴한지 한달도 안된 시점에 세월호 사건이 터지는 바람에 토론회에서 곤혹을 치른 바 있었고 문재인 정부 김부겸 장관의 경우 2017년 포항 지진, 영흥도 낚싯배 전복 사고, 충북 제천 화재 사고 등 규모가 큰 사건사고가 터졌을 때 헬기 타고 급히 가야 할 수도 있다.
||<bgcolor=#003764><tablebordercolor=#003764><tablealign=center>
1919년 ||<|2><-2><bgcolor=#fff> 내무부 ||<bgcolor=#fff> 연통제 ||
1948년~1998년 | 총무처 → 국무원사무국 → 내각사무처 → 총무처 | ||
↓ | ↓ | ||
1998년~2014년 | 행정자치부[2] → 행정안전부[3] → 안전행정부 | ||
↓ | ↓ | ↓ | |
2014년~2017년 | 행정자치부[4] | 국민안전처 | 인사혁신처 |
↓ | |||
2017년~ | 행정안전부 |
2. 총무처 / 내무부
2.1. 총무처
2.1.1. 총무처장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제1공화국 | 초대 | 허정(許政) | 1948년 7월 27일~1948년 8월 25일 |
2대 | 김병연(金炳淵) | 1948년 8월 26일~1948년 11월 29일 | |
3대 | 전규홍(全奎弘) | 1948년 11월 30일~1951년 4월 27일 | |
4대 | 한동석(韓東錫) | 1951년 5월 7일~1953년 11월 1일 | |
5대 | 정운갑(鄭雲甲) | 1953년 11월 2일~1955년 2월 16일 |
2.1.2. 국무원 사무국장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제1공화국 | 6대 | 문봉제(文鳳濟) | 1955년 2월 17일 ~ 1957년 6월 11일 |
임시 | 권성기(權聖基) | 1957년 6월 11일 ~ 1957년 6월 19일 | |
7대 | 신두영(申斗泳) | 1957년 6월 28일 ~ 1960년 6월 30일 |
2.1.3. 국무원 사무처장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제2공화국 | 8대 | 이호(李澔) | 1960년 7월 4일~1960년 8월 19일 |
9대 | 오위영(吳緯泳) | 1960년 8월 20일~1960년 9월 11일 | |
10대 | 정헌주(鄭憲柱) | 1960년 9월 12일~1961년 5월 18일 |
2.1.4. 내각사무처장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국가재건최고회의 | 11대 | 김병삼(金炳三) | 1961년 5월 20일~1963년 2월 1일 |
12대 | 이석제(李錫濟) | 1963년 2월 2일~1963년 12월 16일 |
2.1.5. 총무처 장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제3공화국 | 13대 | 이석제(李錫濟) | 1963년 12월 17일~1969년 10월 20일 |
14대 | 서일교(徐壹敎) | 1969년 10월 21일~1973년 12월 2일 | |
제4공화국 | |||
15대 | 심흥선(沈興善) | 1973년 12월 3일~1977년 12월 19일 | |
16대 | 심의환(沈宜渙) | 1977년 12월 20일~1979년 10월 22일 | |
17대 | 김용휴(金容烋) | 1979년 12월 14일~1982년 5월 20일 | |
제5공화국 | |||
18대 | 박찬긍(朴贊兢) | 1982년 5월 21일~1985년 2월 18일 | |
19대 | 박세직(朴世直) | 1985년 2월 19일~1986년 1월 7일 | |
20대 | 정관용(鄭寬溶) | 1986년 1월 8일~1987년 7월 13일 | |
21대 | 장기오(張基梧) | 1987년 7월 14일~1988년 2월 24일 | |
노태우 정부 | 22대 | 김용갑(金容甲) | 1988년 2월 25일~1989년 3월 8일 |
23대 | 김용래(金庸來) | 1989년 3월 17일~1990년 3월 18일 | |
24대 | 이연택(李衍澤) | 1990년 3월 19일~1991년 12월 19일 | |
25대 | 이상배(李相培) | 1991년 12월 20일~1992년 6월 25일 | |
26대 | 이문석(李文錫) | 1992년 6월 26일~1993년 2월 25일 | |
문민정부 | 27대 | 최창윤(崔昌潤) | 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1일 |
28대 | 황영하(黃榮夏) | 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 | |
29대 | 서석재(徐錫宰) | 1994년 12월 24일~1995년 8월 3일 | |
30대 | 김기재(金杞載) | 1995년 8월 7일~1996년 1월 30일 | |
31대 | 조해녕(曺海寧) | 1996년 1월 31일~1996년 12월 19일 | |
32대 | 김한규(金漢圭) | 1996년 12월 20일~1997년 8월 5일 | |
33대 | 심우영(沈宇永) | 1997년 8월 6일~1998년 3월 3일 |
2.2. 내무부 장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제1공화국 | 초대 | 윤치영(尹致暎) | 1948년 7월 27일~1948년 12월 24일 |
2대 | 신성모(申性模) | 1948년 12월 24일~1949년 3월 21일 | |
3대 | 김효석(金孝錫) | 1949년 3월 21일~1950년 2월 7일 | |
4대 | 백성욱(白性郁) | 1950년 2월 7일~1950년 7월 15일 | |
5대 | 조병옥(趙炳玉) | 1950년 7월 15일~1951년 4월 24일 | |
6대 | 이순용(李淳鎔) | 1951년 5월 14일~1952년 1월 12일 | |
7대 | 장석윤(張錫潤) | 1952년 1월 18일~1952년 5월 24일 | |
8대 | 이범석(李範奭) | 1952년 5월 24일~1952년 7월 22일 | |
9대 | 김태선(金泰善) | 1952년 7월 24일~1952년 8월 29일 | |
10대 | 진헌식(陳憲植) | 1952년 8월 29일~1953년 9월 19일 | |
11대 | 백한성(白漢成) | 1953년 9월 20일~1955년 4월 23일 | |
12대 | 김형근(金亨根) | 1955년 4월 23일~1956년 5월 21일 | |
13대 | 이익흥(李益興) | 1956년 5월 21일~1957년 2월 4일 | |
14대 | 장경근(張璟根) | 1957년 2월 4일~1957년 9월 26일 | |
15대 | 이근직(李根直) | 1957년 9월 26일~1958년 6월 17일 | |
16대 | 민병기(閔丙祺) | 1958년 6월 17일~1958년 8월 27일 | |
17대 | 김일환(金一煥) | 1958년 8월 27일~1959년 3월 20일 | |
18대 | 최인규(崔仁圭) | 1959년 3월 20일~1960년 3월 23일 | |
19대 | 홍진기(洪璡基) | 1960년 3월 23일~1960년 4월 24일 | |
허정 과도내각 | 20대 | 이호(李澔) | 1960년 4월 25일~1960년 8월 19일 |
장면 내각 | 21대 | 홍익표(洪翼杓) | 1960년 8월 23일~1960년 9월 12일 |
22대 | 이상철(李相喆) | 1960년 9월 12일~1960년 10월 13일 | |
23대 | 현석호(玄錫虎) | 1960년 10월 13일~1960년 11월 20일 | |
24대 | 신현돈(申鉉燉) | 1960년 11월 20일~1961년 5월 3일 | |
25대 | 조재천(曺在千) | 1961년 5월 3일~1961년 5월 18일 | |
국가재건최고회의 | 26대 | 한신(韓信) | 1961년 5월~1962년 10월 15일 |
27대 | 박경원(朴璟遠) | 1962년 10월 15일~1963년 11월 23일 | |
제3공화국 | 28대 | 엄민영(嚴敏永) | 1963년 12월 17일~1964년 5월 11일 |
29대 | 양찬우(楊燦宇) | 1964년 5월 11일~1966년 4월 15일 | |
30대 | 엄민영(嚴敏永) | 1966년 4월 15일~1967년 6월 28일 | |
31대 | 이호(李澔) | 1967년 6월 28일~1968년 5월 21일 | |
32대 | 박경원(朴璟遠) | 1968년 5월 21일~1971년 6월 3일 | |
33대 | 오치성(吳致成) | 1971년 6월 3일~1971년 10월 7일 | |
34대 | 김현옥(金玄玉) | 1971년 10월 7일~1973년 12월 3일 | |
제4공화국 | |||
35대 | 홍성철(洪性澈) | 1973년 12월 3일~1974년 8월 20일 | |
36대 | 박경원(朴璟遠) | 1974년 8월 20일~1975년 12월 19일 | |
37대 | 김치열(金致烈) | 1975년 12월 19일~1978년 12월 22일 | |
38대 | 구자춘(具滋春) | 1978년 12월 22일~1979년 12월 14일 | |
39대 | 김종환(金鍾煥) | 1979년 12월 14일~1980년 9월 2일 | |
40대 | 서정화(徐廷和) | 1980년 9월 2일~1982년 4월 28일 | |
제5공화국 | |||
41대 | 노태우(盧泰愚) | 1982년 4월 28일~1983년 7월 6일 | |
42대 | 주영복(周永福) | 1983년 7월 6일~1985년 2월 18일 | |
43대 | 정석모(鄭石謨) | 1985년 2월 18일~1986년 8월 26일 | |
44대 | 김종호(金宗鎬) | 1986년 8월 26일~1987년 1월 21일 | |
45대 | 정호용(鄭鎬溶) | 1987년 1월 21일~1987년 5월 26일 | |
46대 | 고건(高建) | 1987년 5월 26일~1987년 7월 14일 | |
47대 | 정관용(鄭寬溶) | 1987년 7월 14일~1987년 9월 14일 | |
48대 | 이상희(李相熙) | 1987년 9월 14일~1988년 2월 24일 | |
노태우 정부 | 49대 | 1988년 2월 25일~1988년 5월 7일 | |
50대 | 이춘구(李春九) | 1988년 5월 7일~1988년 12월 5일 | |
51대 | 이한동(李漢東) | 1988년 12월 5일~1989년 7월 19일 | |
52대 | 김태호(金泰鎬) | 1989년 7월 19일~1990년 3월 17일 | |
53대 | 안응모(安應模) | 1990년 3월 17일~1991년 4월 27일 | |
54대 | 이상연(李相淵) | 1991년 4월 29일~1992년 3월 30일 | |
55대 | 이동호(李同浩) | 1992년 3월 30일~1992년 10월 9일 | |
56대 | 백광현(白光鉉) | 1992년 10월 9일~1993년 2월 26일 | |
문민정부 | 57대 | 이해구(李海龜) | 1993년 2월 26일~1993년 12월 21일 |
58대 | 최형우(崔炯佑) | 1993년 12월 21일~1994년 12월 23일 | |
59대 | 김용태(金瑢泰) | 1994년 12월 23일~1995년 12월 20일 | |
60대 | 김우석(金佑錫) | 1995년 12월 20일~1997년 2월 13일 | |
61대 | 서정화(徐廷和) | 1997년 2월 13일~1997년 3월 5일 | |
62대 | 강운태(姜雲太) | 1997년 3월 5일~1997년 8월 5일 | |
63대 | 조해녕(曺海寧) | 1997년 8월 5일~1998년 3월 3일 |
3.
행정자치부 장관(1998~2008)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국민의 정부 | 초대 | 김정길(金正吉) | 1998년 3월 3일~1999년 2월 5일 |
2대 | 김기재(金杞載) | 1999년 2월 6일~2000년 1월 13일 | |
3대 | 최인기(崔仁基) | 2000년 1월 14일~2001년 3월 25일 | |
4대 | 이근식(李根植) | 2001년 3월 26일~2003년 2월 26일 | |
참여정부 | 5대 | 김두관(金斗官) | 2003년 2월 27일~2003년 9월 18일 |
6대 | 허성관(許成寬) | 2003년 9월 19일~2005년 1월 4일 | |
7대 | 오영교(吳盈敎) | 2005년 1월 5일~2006년 3월 21일 | |
8대 | 이용섭(李庸燮) | 2006년 3월 27일~2006년 12월 4일 | |
9대 | 박명재(朴明在) | 2006년 12월 13일~2008년 2월 28일 |
4.
행정안전부 장관(2008~2013)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이명박 정부 | 초대 | 원세훈(元世勳) | 2008년 2월 29일~2009년 2월 11일 |
2대 | 이달곤(李達坤) | 2009년 2월 20일~2010년 3월 4일 | |
3대 | 맹형규(孟亨奎) | 2010년 4월 15일~2013년 3월 11일 |
5.
안전행정부 장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박근혜 정부 | 초대 | 유정복(劉正福) | 2013년 3월 13일~2014년 3월 6일 |
2대 | 강병규(姜秉圭) | 2014년 4월 2일~2014년 7월 15일 | |
3대 | 정종섭(鄭宗燮) | 2014년 7월 16일~2014년 11월 18일 |
6. 행정자치부 / 국민안전처
6.1.
행정자치부 장관(2014~2017 )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박근혜 정부 | 초대 | 정종섭(鄭宗燮) | 2014년 11월 19일~2016년 1월 12일 |
2대 | 홍윤식(洪允植) | 2016년 1월 13일~2017년 6월 16일 | |
문재인 정부 | 3대 | 김부겸(金富謙) | 2017년 6월 16일~2017년 7월 25일 |
6.2. 국민안전처장관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박근혜 정부 | 초대 | 박인용(朴仁鎔) | 2014년 11월 19일~2017년 7월 25일 |
7.
행정안전부 장관(2017~)
<rowcolor=#fff>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문재인 정부 | 초대 | 김부겸(金富謙) | 2017년 7월 26일~2019년 4월 5일 |
2대 | 진영(陳永) | 2019년 4월 6일~2020년 12월 23일 | |
3대 | 전해철(全海澈) | 2020년 12월 24일~2022년 5월 11일 | |
윤석열 정부 | 4대 | 이상민(李祥敏) | 2022년 5월 12일~현재 |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5deg, #cd313a 30px, #0047a0 3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0047a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47a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
의장 |
|
대통령 | |
윤석열 | ||||
부의장 |
|
국무총리 | ||
한덕수 | ||||
|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 추경호 |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이주호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 이종호 | 외교부장관 | 박진 | |
통일부장관 | 권영세 | 법무부장관 | 한동훈 | |
국방부장관 | 이종섭 | 행정안전부장관 | 이상민 |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 박보균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 정황근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이창양 | 보건복지부장관 | 조규홍 | |
환경부장관 | 한화진 | 고용노동부장관 | 이정식 | |
여성가족부장관 | 김현숙 | 국토교통부장관 | 원희룡 | |
해양수산부장관 | 조승환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 이영 | |
|
||||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주영창 | 통상교섭본부장 | 안덕근 | |
|
||||
국가안보실장 | 김성한 | 대통령비서실장 | 김대기 | |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 이배용 |
|
한상혁 | |
|
||||
국무조정실장 | 방문규 | 국가보훈처장 | 박민식 | |
인사혁신처장 | 김승호 | 법제처장 | 이완규 | |
식품의약품안전처장 | 오유경 | 금융위원회 위원장 | 김주현 | |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 한기정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 고학수 | |
- | - |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 유국희 | |
|
||||
서울특별시장 | 오세훈 | |||
기타 기관* | ||||
법원행정처장 | 김상환 | 헌법재판소 사무처장 | 박종문 | |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 송두환 | 한국은행 총재 | 이창용 |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 김진욱 | |||
기타 의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배석시키는, 중요 직위에 있는 공무원 | ||||
* 국무회의 규정 외의 법률에 의거하여 국무회의에 출석, 발언권 등이 있음 |
[1]
차관급이며 대통령이 임명한다.
서울특별시장이
장관급이라 그렇다.
[2]
1998년~
2008년. 영문 명칭은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MOGAHA. 구 총무처와 구 내무부 영문명을 합쳤다.
[3]
2008년~
2013년. 영문 명칭은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OPAS.
[4]
영문 약칭은 MOI. 초기에는 구 행정자치부와 같은 영문 표기를 썼으나 길다는 이유로 간소화되었다.
#. 직역하면 내무부. 다만 구 내무부(Ministry of Home Affairs)와는 영문 표기가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