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1-08-22 01:36:01

파일:서울 응암 출토 청동 투겁창.png

파일:공공누리 제1유형.svg 이 이미지는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배포됩니다.

본 이미지는 해당 라이선스로 배포되고 있으며, 이 조건을 준수하는 하에서만 재배포가 가능합니다.
이용자는 이 이미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권리를 갖습니다.

공유 - 온·오프라인을 통한 공유 및 이용.
변경 - 변형, 2차적 저작물로의 변경.
영리적 이용 - 영리적 목적을 위한 저작물 이용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출처 표시 - 공공저작물의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온라인에서 출처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그 링크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단, 출처의 표시 과정에서 이용자는 공공기관이 이용자를 후원하거나 공공기관과 이용자 사이에 특수한 관계가 있는 것처럼 제3자가 오인하게 할 수 있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1. 기본 정보2. 이미지 설명

1. 기본 정보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저작자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저작권 공공누리 제 1유형: 출처 표시
기타 -

2. 이미지 설명

銅矛, 동모
길이 18.6cm, 너비 3.6cm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에서 발견된 전형적인 한국식 투겁창이다. 창날이 비파모양을 이루고 있는 요령식 투겁창과는 달리 직선화되고 한국식 동검과 같이 창몸의 등대에 각을 세웠다. 이 투겁창은 등대를 기준으로 창몸 좌우에 피홈(血溝)이라고 불리는 긴 홈이 파여져 있으며 자루구멍 입구 바로 위쪽 옆면에 한 개의 못 구멍이 있어 자루를 끼운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국식 투겁창은 초기철기시대 잔무늬거울(精文鏡)과 거의 같은 시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피홈(血溝) 수가 늘어나고 무늬가 베풀어지며 창몸이 길어지는 등 여러 변화과정을 거쳤다. > 국립중앙박물관 해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