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07 02:18:00

파리 북역

파일:파리 문장.svg 파리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arnet T+ / Passe NaviGo
궤도 삭도 <colbgcolor=#fff,#191919>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메트로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몽마르트 케이블카 <colbgcolor=#fff,#191919>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파일:SNCF 로고.svg 트램
파일:SNCF 로고.svg RER 파일:SNCF 로고.svg 트랑지리엥
파일:SNCF 로고.svg 주요역 동역 북역 리옹역 오스테를리츠 베르시 몽파르나스 생 라자르
도로 교통 파일:파리버스.png 버스 ・ 녹틸리앙 버스 터미널 베르시 버스 터미널
공항 샤를 드골 오를리 르부르제 보베
관련 기업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RATP 파일:SNCF 로고.svg SNCF ・ Optile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27px-Paris_gare_du_nord_4_bis.jpg
파리 북역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 white.png
런던(판크라스) 방면
릴 유럽역
← -.- km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 white.png 시종착
도르트문트,
에센, 쾰른,
암스테르담,
브뤼셀 방면
브뤼셀 남역
← -.- km
파일:유로스타 로고 2023 white.png 시종착
파일:SNCF 로고.svg
랑 뒤 플리에,
불로뉴, 칼레(빌),
됭케르크, 릴(유럽),
투르쿠앵,
발랑시엔 방면
아라스
← -.- km
파일:TGV inOui 로고 화이트.svg 시종착
릴(플랑드르) 방면
릴 플랑드르
← -.- km
파일:TGV inOui 로고 화이트.svg 시종착
퐁투아즈 방면
생 드니
← -.- km
파일:Transilien_train_SVG.svg 파일:트랑지리엥 H선 아이콘.svg 시종착
생 뢰 라 포레,
발몽두아,
페르상 방면
(에르몽 경유)
생 드니
← -.- km
파일:Transilien_train_SVG.svg 파일:트랑지리엥 H선 아이콘.svg 시종착
사르셀, 생 브리스,
몽수, 마플리에,
페르상 방면
(몽수 경유)
생 드니
← -.- km
파일:Transilien_train_SVG.svg 파일:트랑지리엥 H선 아이콘.svg 시종착
뤼자르슈 방면
생 드니
← -.- km
파일:Transilien_train_SVG.svg 파일:트랑지리엥 H선 아이콘.svg 시종착
크레피 앙 발루아
방면

올네 수 부아
← -.- km
파일:Transilien_train_SVG.svg 파일:트랑지리엥 K선 아이콘.svg 시종착
CDG-T2,
미트리-클래 방면
라 플렌-
스타드 드 프랑스

← -.- km
파일:RER 아이콘.svg 파일:RER B선 아이콘.svg 로뱅송,
생 레미
레 슈브뢰즈 방면

샤틀레-레 알
-.- km →
CDG-T2 방면
CDG-T1
← -.- km
파일:RER 아이콘.svg 파일:RER B선 아이콘.svg 로뱅송,
생 레미
레 슈브뢰즈 방면

샤틀레-레 알
-.- km →
크레이 방면
스타드 드 프랑스-
생 드니

← -.- km
파일:RER 아이콘.svg 파일:RER D선 아이콘.svg 말제르브, 믈룅,
코르베이 에손 방면
샤틀레-레 알
-.- km →
파일:TER 오드프랑스 로고.svg
칼레(빌), 아미앵 방면
크레이
← -.- km
파일:TER 로고.svg
KRONO
시종착
생 캉탱, 모뵈주 방면
퐁 생트 막상스
← -.- km
파일:TER 로고.svg
KRONO
시종착
콩피에뉴,
생 캉탱 방면
크레이
← -.- km
파일:TER 로고.svg
KRONO
시종착
랑 방면
담마르탱 쥐이
생 마르

← -.- km
파일:TER 로고.svg
KRONO
시종착
콩피에뉴,
생 쥐스트 앙 쇼세,
크레이, 아미앵 방면
오리 라 빌-쿠아
← -.- km
파일:TER 로고.svg
CITI
시종착
보배 방면
페르상-보몽
← -.- km
파일:TER 로고.svg
CITI
시종착
크레피 앙 발루아,
랑 방면
담마르탱 쥐이
생 마르

← -.- km
파일:TER 로고.svg
PROXI
시종착
다국어 표기
프랑스어 Gare de Paris-Nord
주소
112 rue de Maubeuge 75010 Paris, France
역 운영기관
파일:유로스타 로고.svg SNCF
파일:탈리스 로고.svg
파일:TGV inOui 로고 화이트.svg
파일:TGV_Ouigo_2013_logo.svg
파일:Transilien_train_SVG.svg 파일:트랑지리엥 H선 아이콘.svg 파일:트랑지리엥 K선 아이콘.svg
파일:RER 아이콘.svg 파일:RER B선 아이콘.svg 파일:RER D선 아이콘.svg
개업일
1846년 6월 20일
북역 (메트로)
파일:RATP그룹 아이콘.svg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 방면

바르베스-로슈슈아르
← -.- km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2108)
매리 드 몽루주
방면

동역
-.- km →
보비니-
파블로 피카소 방면

스탈린그라드
← -.- km
파일:파리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
(2108)
플라스 디탈리 방면
동역
-.- km →
다국어 표기
프랑스어 Station Gare du Nord
역 운영기관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파일:파리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 RATP
개업일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1908년 4월 21일
파일:파리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 1907년 11월 15일

1. 개요2. 역사3. 역 정보

[clearfix]

1. 개요

파리의 7개 대형 철도역 중 하나로 프랑스국철 RATP가 운영하고 있다.

2. 역사

1846년에 개업한 역으로 자그마치 17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한다. 이 역을 운영하던 북부 철도는 로스차일드 가문이 운영하던 회사로, 로스차일드 가문이 출자하여 사철회사를 만들었다.

파리 - 노선 개통을 시작으로 프랑스 북동부 지역의 칼레[1], 아미앵, 보배, 랭스 등 피카르디, 노르망디 지역에 철도를 개설했고, 에서 브뤼셀로 넘어가는 국제선도 운영했다. 이후 프랑스 5대 사철이 국유화가 되어 현재의 프랑스국철 소속역이 되었다.

3. 역 정보

파리의 7대 대형 철도역 중 파리 리옹역과 자웅을 다툴 정도로 프랑스 내에서 규모가 큰 역으로 유명하다. 이미 1880년대 들어 소화능력을 초과해서 건물을 확장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세 번의 개수를 거쳐서 현재의 규모가 됐다.

현재 총 44개의 승강장을 운용하고 있는데 피카르디 주, 노르망디 지방의 도시를 잇는 국내선 노선과 영국 런던을 잇는 유로스타, 벨기에 브뤼셀 혹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혹은 독일 아헨, 쾰른, 에센을 이어주는 탈리스 국제선 노선의 시종착역이다. 또한 RER B선과 D선이 환승되며 E선도 도보통로로 연결된다.

파리 북역은 유럽에서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은 역이며, 승차인원 수로 따졌을 때 세계 20위권 안에 들 정도이다. 하루 승차인원 수백만 명 단위 정도는 기본으로 기록하는 일본 도쿄, 오사카의 철도역을 제외하면 세계 최대이며 매년 2억 5000만 명이 이용한다. #

이는 철도 이용객만 계산한 수치고, RER, 메트로 이용자를 추가하면 여기에 9천만이 또 늘어난다. 그리고 이 수치는 한국에서 가장 큰 역인 서울역의 이용객 수가 연간 1억 2000명 정도임을 생각하더라도 상당히 많은 숫자이다. # #

과거 운영하던 사철회사 이름이 북부 철도 회사라서 파리 북역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마찬가지로 파리 동역은 '동부 철도'의 소속 역이었고, 파리 리옹역을 운영했던 회사가 파리-리옹·지중해 철도라 저런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파리 동역과는 길 하나[2]를 사이에 두고 단 5분 거리에 있다. 그래서 파리에 처음 온 여행자들은 '북역이랑 동역이랑 멀 줄 알았는데 근접해있네?' 하며 의아해한다. 근데 어차피 북역에서 타면 북쪽 지방으로 가고 동역에서 타면 동쪽 지방으로 가니 틀린 작명은 아니다.

그리고 북역이나 동역이 치안이 안 좋은 것은 10구에 위치하고 있어서가 아니라 역이라는 특성상 사람이 몰리기 때문이다. 실제로 파리 지역구의 범죄율 순위를 보면 10구는 중위권 수준이다.[3]

파리 리옹역이나 파리 생 라자르역, 파리 몽파르나스역 등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역 주변은 치안이 항상 안 좋다. 역 외에도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관광지나 쇼핑몰 역시 치안이 좋지 않다. 항상 조심하자.

파리 북역 주변에 투입되는 경찰과 사설 경비업체가 어마어마하다고 한다. 특히 파리 교외에서 치안이 안 좋기로 소문난 생드니(St.Denis) 지역[4]에서 이쪽으로 들어오는 넘어오는 범죄자들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국내 여행 책자에서는 이곳을 지날 때 범죄에 조심하라고까지 쓰여져있기도 하다. 특히 소매치기가 기승을 부리니 일행이 있다면 항상 서로의 가방을 봐주도록 하자. 없다면 가방을 앞으로 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북역 지하철역 발권기에서 티켓을 뽑고 있을때 도와준답시고 접근하는 사람이 있으면 소매치기일 확률이 큰 관계로 거절하고 도망쳐야 한다.

그렇다고 사람 지나갈 곳이 전혀 못 되는 것은 아니니 선입관은 갖지말자. 동역, 북역 주변에는 인도, 파키스탄, 중동 이민자촌이 형성되어 있어 파리 속 작은 지구촌 같은 느낌을 자아낸다.

2023년 1월 11일 파리 북역에서 일어난 흉기 난동으로 부상자가 발생했다. #

3.1. 유로스타

유로스타가 개통되고 나서 프랑스 파리 측 종착역으로 지정되었다. 애초에 칼레 쪽으로 가거나 탈리스를 취급하는 철도역이었기 때문에 결정 이유가 자연스러웠다. 그런데 영국 런던 측에서 사우스이스트 본선 시절에는 워털루 역, High Speed 1 개통 이후에는 세인트 판크라스역으로 변경되었다.

여기서 탈리스와 다른 국제철도, 국내선과 달리 유로스타 터미널은 격리되어 있다. 벨기에, 네덜란드, 독일 솅겐 협정국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영국[5]으로 가기 때문이다.

일단 보안 검색을 받고 나면 프랑스 국경 경찰 소속 경찰관들이 출국 심사를 한다. 출국 심사가 없는 영국과 달리 프랑스와 솅겐 협정국은 출국 심사가 있다. 그래서 미리 출국 거부를 할 수 있다. 그리고 EU거주자가 아닌 자들은 부가가치세 환급을 받을 수 있다.

그 후 영국 국경통제국 입국 심사를 받아야 한다. 영국의 경우 아일랜드, 채널 제도, 맨 섬과 공동 여행 구역[6] 협정으로 별도의 심사가 없기 때문에 영국을 거쳐 아일랜드, 채널 제도, 맨 섬에 갈 경우 영국 국경통제국의 심사를 받는다.

프랑스 국경 경찰의 입국 심사와 달리 영국 국경통제국는 까다롭고 입국 거부율이 높다. 그리고 세관 검사도 더 까다롭게 하기 때문에 질문에 대해 적절히 대답해야만 통과가 가능하다.

참고로 한국인 e-Passport Gate[7]를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출국 - 입국 과정에서 출입국 심사관을 대면하지 않고 빨리 마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인 PARAFE[8] 역시 이용할 수 있다. 프랑스 국경 경찰 측은 2019년 3월 30일에 이용자 확대를 시행했다. 그 전에는 프랑스 여권 소지자, EU EEA 소속 국가 시민권자만 이용 가능 대상이었다.


[1] 예나 지금이나 칼레 - 도버 간 도선 페리를 이용하여 영국 프랑스를 오고 간다. 채널 터널이 개통된 후에도 자가용을 가지고 양국을 오고가는 승객들은 비싼 통행료의 채널 터널 대신 이 페리를 절찬리에 이용하고 있다. [2] Boulevard de Strasbourg [3] 서울역, 부산역, 동대구역, 용산역, 부전역, 대구역, 대전역의 노숙자 문제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4] 파리 생드니 국립경기장, 생 드니 대성당이 있는 바로 그 동네. 그런데 생드니는 스타드 드 프랑스, 생 드니 대성당 주변만 안전할 뿐, 그 외 지역은 위험하다. [5] EU 시절에도 솅겐조약 가입국이 아니었다. [6] Common Travel Area [7] 영국 여권 소지자, EU EEA 소속 국가 시민권자, 스위스 여권, 캐나다 여권, 호주 여권, 뉴질랜드 여권, 한국 여권, 일본 여권, 싱가포르 여권, 미국 여권 소지자만 이용할 수 있다. [8] 프랑스 여권 소지자, EU EEA 소속 국가 시민권자, 모나코 여권, 산마리노 여권, 스위스 여권, 캐나다 여권, 호주 여권, 뉴질랜드 여권, 한국 여권, 일본 여권, 싱가포르 여권, 미국 여권 소지자만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