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유럽 · 아메리카 | ||||
대한민국 |
북한 |
중화권 |
러시아 |
이탈리아 |
|
세르비아 |
북마케도니아 |
코소보 |
그리스 |
튀르키예 |
|
미국 |
|||||
다자관계 | |||||
세르비아·알바니아·코소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중화권 |
몽골 |
인도 |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아프가니스탄 |
위구르 |
우즈베키스탄 |
||||
투르크메니스탄 |
타지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
유럽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몰도바 |
조지아 |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가가우지아 |
독일 |
오스트리아 |
||||
폴란드 |
헝가리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알바니아 |
||||
그리스 |
키프로스 |
북키프로스 |
코소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핀란드 |
이탈리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이라크 |
||||
쿠웨이트 |
바레인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예멘 |
||||
이스라엘 |
레바논 |
쿠르드 |
이집트 |
튀니지 |
||||
리비아 |
알제리 |
요르단 |
수단 공화국 |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
미국 |
베네수엘라 |
브라질 |
소말리아 |
탄자니아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다자관계 | ||||||||
키프로스 5+1 회담 |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
튀르키예·이란·아랍권 |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
유럽연합 |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1. 개요
알바니아와 튀르키예의 관계. 알바니아와 튀르키예는 역사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이전
알바니아는 서기 15세기 이래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받다가 결국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만 제국 치하의 알바니아의 영웅 제르지 카스트리오티가 25년 동안 싸운것도 있으며 동시에 정교도 였었던 알바니아인들을 이슬람으로 개종하라고 협박도 했다. 그래도 나름 대우도 받긴 했으며 특히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 중 쾨프륄뤼 가문처럼 42명이 알바니아 출신이었다. 알레비파가 알바니아에 전파되어 벡타쉬파도 알바니아가 원본이고 예니체리 중 일부가 알바니아 출신의 벡타쉬 교도들이었다.오늘날 알바니아의 수도 티라나는 오스만 제국 시대 건설된 행정, 무역 중심지(카르반사라이)에서 기원하였다.
2.2. 20세기
독립 이전 알바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주요 인력 공급원 역할을 맡았다. 소모품 취급을 받던 비정규군 깡패(바시보으죽)부터 정치인, 총독까지 알바니아 출신들은 오스만 제국 각지에서 활약하였다. 1908년 청년 튀르크당의 혁명 이후 개각된 의회는 147명의 튀르키예인, 60명의 아랍인, 27명의 알바니아인, 26명의 그리스인( 룸 밀레트 소속 전반 포함), 14명의 아르메니아인, 10명의 슬라브계 제민족,[1] 4명의 유대인으로 구성되었다. 이집트의 총독인 메흐메트 알리와 그의 직속 부하들 상당수가 알바니아인이었을 정도이다.알바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주요 인력 공급원이었으나, 정작 알바니아 본토는 낙후된 변방 지대에 속했고[2] 유럽 각지에 퍼진 민족주의는 알바니아에도 강한 영향을 주었다.. 20세기 초반 오스만 제국과의 독립 전쟁을 치렀다. 알바니아는 1912년부로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했다. 오스만 제국은 1921년부로 알바니아의 독립을 인정하였으며, 멸망 이후 터키 공화국이 오스만 제국을 국가승계하는 과정에서 오스만 제국과 알바니아 사이의 외교 관계도 승계되었다.
그리스-튀르키예 인구 교환 과정에서 알바니아 측 역시 알바니아인 정교회 신도들이 튀르키예에서 자국으로 이송되길 원하였으나, 튀르키예 측에서는 알바니아인 정교회 신도들을 모두 그리스인으로 취급하여 그리스로 보냈다.[3]
냉전 시대 당시에는 알바니아가 제2세계, 튀르키예가 나토에 가입하여 제1세계에 속하게 되면서 양국 사이의 교환이 상당부분 제한되었다.
2.3. 21세기
지금도 튀르키예에 백만명이 넘는 알바니아계 튀르키예인들이 생활하고 있으며 알바니아에도 소수의 튀르키예인들이 살고 있다. 알바니아어도 터키어 어휘에서 영향을 받은 것도 있다. 그리고 아타튀르크가 세속주의 길을 간 만큼 조구 1세도 역시 세속주의 길을 걸었다.양국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 이슬람 협력기구, 흑해경제협력기구의 회원국이다.
2022년 1월 17일에 에르도안 대통령이 알바니아를 방문해 에디 라마 총리와 회담을 가졌고 양국간 미디어, 문화 등 7개 분야 협약을 체결했다. #
3. 문화 교류
전술했다시피 알바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 당시에 오스만 제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알바니아어에는 수많은 튀르키예어 어휘가 많이 존재하며 현대 터키어에선 소멸한 어휘가 알바니아어에선 존재한다. 그리고 오스만 제국의 지배 당시, 수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했는데 대부분이 수피즘 벡타쉬파로 개종했다. 그리고 튀르키예가 세속국가가 되면서 알바니아도 튀르키예의 영향으로 세속국가가 되었다.4. 관련 문서
- 알바니아/외교
- 튀르키예/외교
- 이슬람 협력기구
- 흑해경제협력기구
- 알바니아/역사
- 튀르키예/역사
- 튀르키예/문화[4]
- 알바니아/경제
- 튀르키예/경제
- 알바니아인 / 튀르키예인
- 알바니아어 / 튀르키예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남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서아시아 국가
[1]
주로
보슈냐크인
[2]
아이러니하게도 서기 3세기부터 6세기까지 알바니아 일대가
로마 제국의 영토였을 당시에도 군인 상당수 그리고 군인 황제 상당수가 알바니아 출신이기도 했다. 물론 로마 제국 시대 당시에도 알바니아 일대는 낙후된 변방 지대에 속했다.
[3]
아르메니아 정교회와 그리스 정교회가 서로 구분되는 것과 반대로 알바니아와 그리스는 같은 정교회에 속한다.
[4]
오스만 제국 시절의 문화가 알바니아에 영향을 많이 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