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9 04:26:18

청주 정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사로 6촌 신라 6부 성씨 시조
알천 양산촌 급량부 이씨 알평
돌산 고허촌 사량부 최씨 소벌도리
취산 진지촌 본피부 정씨 지백호
무산 대수촌 점량부 손씨 구례마
금산 가리촌 한기부 배씨 지타
명활산 고야촌 습비부 설씨 호진
삼국사기 기준. #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은 남재 배극렴
오몽을 이제 이지란 이화
장사길 정도전 정총 정탁
정희계 조박 조인옥 조준
김인찬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협찬개국공신 (2등)
정지 유창 윤호 이민도
황희석 정용수 조기 조반
조영규 조온 홍길민 조견
박포 장담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 김균 김로 손흥종
심효생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근 이백유 이부 이서
이직 장지화 함부림 황거정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조영무
한상경 한충 }}}}}}}}}
신라 6성
淸州 鄭氏
청주 정씨
관향 <colbgcolor=#fff,#000> 충청북도 청주시
비조 지백호(智伯虎)
시조 정극경(鄭克卿)
중시조 정오(鄭䫨), 정포(鄭鋪)
집성촌 대구광역시 수성구
경기도 파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전라남도 광양시
경상북도 문경시· 성주군· 안동시· 영주시· 예천군
황해도 옹진군
인구 46,419명(2015년)

1. 개요2. 계보와 시조 및 역사3. 규모와 집성촌4. 설헌파5. 설곡파6. 항렬도7. 인물
7.1. 근대 이전
7.1.1. 고려7.1.2. 조선
7.2. 근·현대
8. 여담

1. 개요

청주 정씨[1]는 조선시대에 상신(相臣) 2명[2], 공신 4명[3], 종묘 배향공신 1명[4], 청백리 1명[5], 문과급제자 19명을 배출했다. 예천 청주정씨 재실(醴泉淸州鄭氏齋室)은 유형문화재 제315호로 지정되어 있다.

2. 계보와 시조 및 역사

청주 정씨(淸州 鄭氏)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로서 시조는 같으나 서로 다른 두 중시조를 이어오고 있다.

청주 정씨(淸州 鄭氏) 본관(本貫)인 서원(西原)은 청주(淸州)의 신라 때 옛 이름이고, 청주 정씨는 신라 때부터 서원경(西原景)에 살고 있던 명망 있던 씨족(氏族)이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그러나 이를 고증할 문서는 없으며, 고려 중엽 이후로부터 세상에 처음 나타나는데 고려 의종 때 보승별장을 지낸 정극경(鄭克卿)을 시조로 하였다. 사후 중랑장(中郞將)으로 증직되었다.

시조 정극경(鄭克卿)은 고려시대의 인종 의종 때에 2군 6위 중 흥위위 혹은 좌우위에 소속되어[6] 정7품 보승별장[7]을 지냈는데 사후에, 후손이 높은 벼슬을 하여 정5품 중랑장(中郞將)[8]으로 증직되었다.

정극경의 장남 계열 후손인 손자 고려 고종 때 3세손 대리(臺吏) 서경분사(西京分司) 겸 섭중랑장(攝中郞將) 대장군 정의(鄭顗)이 있고, 그의 아들 4세손 정현(鄭儇)은 감찰어사(監察御史)가 되고,

5세손 판선공(判繕工) 정해(鄭瑎)가 고려 원종 때 문과에 합격하여 광정대부(匡靖大夫)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응양군(鷹揚軍) 상호군(上護軍)에 올랐다. 정해(鄭瑎)의 장남인 정책(鄭幘)이 통헌대부(通憲大夫) 판선공사(判繕工事)지내고 청하군(淸河君)에 봉해졌다. 정해(鄭瑎)는 부령 김씨(扶寧金氏) 김구(金坵)의 맏딸 및 남양 홍씨(南陽 洪氏) 당홍계 (唐洪系) 홍규(洪奎)의 둘째 딸과 결혼했는데, 부령 김씨(또는 부안 김씨) 딸과는 자식이 없고, 남양홍씨 둘째 딸에서 정척(鄭㥽 또는 鄭幘)과 정이(鄭怡) 두 아들을 두었다.

6세손 응양군 상호군(鷹楊軍上護軍) 정책(鄭㥽 또는 鄭幘)의 장남 정오(鄭䫨)가 공민왕 때 1등공신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오르며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고, 차남 정포(鄭誧)가 있다.

3. 규모와 집성촌

2019년 기준 청주정씨는 전국 약 1만 2천여 가구, 4만여 명 정도의 규모로 추산된다. 전체 성씨 가운데에서는 150위권 정도에 속하는 규모로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한다.

대표적인 집성촌은 아래와 같다.
  •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하포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매주리
  •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고사리
  • 대구광역시 수성구 노변동[9]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성저리
  •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막곡리·우로리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 유촌[10]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성리 갓말[11]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12]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단호리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소천리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고평리
  •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읍
  • 충청북도 청주시 우암동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 황해도 옹진군 봉치면 장수리
  • 황해도 옹진군 용연면 수계리

4. 설헌파

그 후 후손들은 2의 파계로 나누어지게 되었는다. 여말선초에는 고려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설헌파 문극공 정오(鄭䫨)가 있고, 정오의 후손인 인노, 훈노, 원로 3형제 중 원로의 후손으로 선조 때 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정간공 약포 정탁(鄭琢, 1526~1605)[13]이 있다.

5. 설곡파

새로운 왕조에 충성을 한 설곡파 정포(鄭誧)의 후손으로 호성공신 1등에 책록된 정곤수(鄭崑壽)를 비롯하여 한강 정구(鄭逑) 정사성(鄭士誠), 정사공(鄭士恭), 정사신(鄭士信) 등이 있다.

6. 항렬도

#사라짐
25세 ◯규(逵) ◯락(洛) ◯영(永)
26세 ◯흠(欽) 주(柱)◯ ◯화(和)
27세 승(承)◯ ◯섭(燮) ◯용(容)
28세 ◯원(元) 재(載)◯ 재(在)◯
29세 ◯의(義) 사(思)◯ ◯호(鎬) ◯환(煥) ◯진(鎭)
30세 ◯윤(潤) ◯원(源) ◯수(洙) ◯순(淳)
31세 인(寅)◯ 진(震)◯ ◯식(植) 수(樹)◯ 동(棟)◯
32세 日 부수 心 부수 헌(憲)◯ ◯창(暢) ◯항(恒)
33세 건(建)◯ 교(敎)◯ 박(珀)◯ 용(墉)◯
34세 ◯발(發) ◯회(會) ◯록(錄)
35세 도(道)◯ 우(遇)◯ 홍(洪)◯

7. 인물

7.1. 근대 이전

7.1.1. 고려

7.1.2. 조선

7.2. 근·현대

8. 여담

  • 청주정씨의 시조인 정극경의 자는 경주 정씨 및 외 정씨에 克 자 돌림자가 존재하여 경주정씨의 분파가 아닌가 하고 추측되기도 함.


[1] 오늘날 현존하는 정씨의 본관은 30여 본 정도이다. 우리나라 정씨의 원조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하는 신라의 6촌중 하나인 진지촌(珍支村) 촌장인 지백호(智伯虎)이다. 정씨의 각 본관별 시조들은 모두 지백호의 원손(遠孫)들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지만 그 혈연적 계보는 상고할 수 없다. 어쨌든 정씨는 일반적으로 같은 혈손으로 그중 경주 정씨(慶州鄭氏)가 종통(宗統)이라는 데에는 별로 이론이 없는 것 같다. 정씨는 신라 9성중의 하나로 역사적으로 명벌의 지위를 누려 왔으며, 특히 조선조에 이르러서는 청주 정씨(淸州鄭氏)를 비롯해 동래 정씨(東萊鄭氏)· 연일 정씨(延日鄭氏)·온양 정씨(溫陽鄭氏)· 진주 정씨(晋州鄭氏)·봉화 정씨(奉化鄭氏)· 하동 정씨(河東鄭氏) 등이 상당한 세력을 떨쳤다. [2] 좌의정: 정탁(鄭琢), 우의정: 정탁(鄭擢). 참고로 정곤수(鄭崑壽)는 선조 때 좌찬성(종1품), 판의금부사(종1품) 등을 지냈고 품계는 보국숭록대부(정1품 하계)에 이르렀으며, 사후 영의정(정1품)에 추증되었다. [3] 정총(鄭摠; 개국공신 1등), 정탁(鄭擢; 개국공신 1등, 정사공신 2등), 정곤수(鄭崑壽; 호성공신 1등), 정탁(鄭琢; 호성공신 3등). 한편 실록에서 정곤수는 鄭崑壽 또는 鄭崐壽로 기록되어 있다. 崑과 崐는 이체자(異體字)로서 자형만 다를 뿐 같은 글자이다. [4] 정탁(鄭擢)(태종 묘실). [5] 전고대방 기준, 정곤수(鄭崑壽) 1명이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기록이 없다. [6] 그렇게 추정된다. [7] 오늘날의 중위 [8] 오늘날의 소령 [9] 아프리카 TV BJ 퀸가현이 추석 때 제사를 지냈던 재실이 이곳에 있다. [10] 조선 중기의 문신 한강 정구가 이 마을 출신이다. [11] 독립유공자 정순영· 정재기· 정종호가 이 마을 출신이다. [12] 정양호 전 조달청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 [13] 호는 약포(藥圃). 각조 판서를 거쳐 우의정, 좌의정, 정1품 영예직인 서원부원군에 오른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이순신 장군이 누명으로 옥에 갇혔을 때 그를 구하기 위한 신구차(伸救箚: 목숨을 구하기 위해 아뢰는 상소문)를 올려 이순신 장군을 살려 냈고, 의병장 김덕령을 변호하고, 명나라 장수 두사충을 구명하기도 하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