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5 13:37:23

창원 구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230><tablebordercolor=#ece5b6> 昌原 具氏
창원 구씨
}}}
관향 경상남도 창원시
원시조 구성길(仇成吉)
일세조 구설(仇雪)
파조 부사공파 : 구복한(仇復漢)
진사공파 : 구동설(仇東薛)
승지공파 : 구동직(仇東直)
처사공파 : 구석훈(仇錫勳)
집성촌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우천리
경상남도 함안군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송라리
인구 13,339명 (2015년)
대종회 창원구씨대종회
1. 개요2. 역사3. 항렬4. 실존 인물

[clearfix]

1. 개요

창원 구씨(昌原 具氏)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 역사

창원 구씨는 한반도 토성이다.
창원 구씨는 선사시대 이후로 한반도에서 살아온 가야계 성씨로 추정되며 신라시대부터 문헌에 창원 구(仇)씨 조상이 등장하고 있다.

원래는 仇씨였는데, 정조 15년(1791) 임금의 명으로 具씨로 바뀌었다.

창원 구씨의 시조(始祖) 구성길(仇成吉)은 고려 혜종 때 찬성사(贊成事)를 지냈으며 서경(西京)에서 공(功)을 세우고 의창군(義昌君)에 봉해졌다. 그런데 구성길 이후 4대와 공민왕 때 구설(仇雪)까지의 400여 년간 세계가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임오보(壬午譜)에 따라 조선 세종 때 문과(文科)에 합격하여 집현전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낸 구종길(仇宗吉)의 아버지 구설(仇雪)을 1세조로 한다. 중국계 성씨처럼 보이지만 가야계일 확률이 높다. 창원(탁순국)의 이 명이 구사모라(久斯牟羅), 구사군(仇史郡)으로 탁순국에서 시작된 오래된 가야계 성씨일 확률이 높다. 다만 일부 소문중에서는 구도갈문왕의 후손이라 주장하기도 한다.
'''영조 38년(1762)의 창원구씨 초간세보(初刊世譜) 임오보(壬午譜)에 “仇氏(구씨)는 멀리 신라로부터 고려에 이르기까지 어진 재상이 이어졌다” 라고 되어 있는데, 신라 진흥왕 때의 구진(仇珍) 장군, 문무왕(文武王) 때의 사찬(沙湌) 구진천(仇珍川), 술간(述干) 구기(仇杞), 사찬(沙湌) 구근(仇近) 등이 신라가 삼국(三國)을 통일하는데 큰공을 세웠다고 삼국사기(三國史記)에 그 기록이 있다.
창원구씨는 세종실록 지리지(地理誌)에 토성(土姓)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중종 25년(1530)에 간행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仇氏(구씨)의 세거지(世居地)는 무려 21개소나 되며, 전국적(全國的)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이러한 여러 가지 행적을 종합하여 볼 때 仇氏(구씨)는 원래 삼한갑족(三韓甲族)의 하나였음이 분명하다.
원시조(原始祖) 구성길(仇成吉) 공(公)은 고려 제2대 혜종(惠宗) 2년(945)에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平壤)에서 공(功)을 세워 문하시랑(門下侍郞) 평장사(平章事)가 되고, 의창군(義昌君)에 봉(封)해 지셨다. 의창(義昌)을 식읍(食邑)으로 받으셨고, 창원(昌原)이 주요 세거지(世居地)이기 때문에 일찍부터 창원을 단일 관향(貫鄕)으로하고 있다. 원시조(原始祖) 이후 자(子) 희(喜)는 후일 역시 문하시랑(門下侍郞) 평장사(平章事)의 벼슬을 지냈고, 후손(後孫) 경(景)은 수안현감(遂安縣監)을 지냈고 후손(後孫) 염(廉)은 참봉(參奉)을 지내기도 했는데, 그 후 400년 간 세계(世系)를 상고(詳考)할 수 없어 계보(系譜)가 확실(確實)한 고려말(高麗末) 생원(生員) 구설(仇雪)을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조선 세종조(世宗朝)에 집현전(集賢殿) 직제학(直提學)을 지낸 이세(二世) 구종길(仇宗吉)을 중시조(中始祖)로 하여 그의 아들 복한(復漢)을 부사공파(府使公派), 동설(東薛) 공을 진사공파(進士公派), 동직(東直)을 승지공파(承旨公派)로, 그리고 중시조의 동생 원길(元吉)의 아들 석훈(錫勳)을 처사공파(處士公派)로 사파(四派)가 있으며, 제족(諸族)이 계대(繼代)하고 있다.
仇氏(구씨)를 具氏(구씨)로 바꾸어 쓰게된 것은 1791년 정조(正祖)가 장용영(壯勇營) 초관(哨官)을 임명하면서 훈련도감집사(訓練都監執事)인 구시창(仇始昌)이 후보명단에 들어있는 것을 보고 “仇姓(구성)이 비록 오래 되었으나 具字姓(구자성)이 더 좋으니 具氏로 고쳐라” 하고, 연교문(筵敎文)보냈는데, 더 확실한 문적(門籍)이 필요하다고 仇門(구문)에서 상서(上書)를 하니, 1798년에 일성록(日省錄) 및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사성(賜姓) 사실을 기록하고 확증지었다.
조선조(朝鮮朝)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세종조에 직제학(直提學)을 지낸 중시조(中始祖) 구종길(仇宗吉). 세종조에 강계도호부부사(江界都護部府使), 충청도사(忠淸都事), 전라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등을 지낸 구복한(仇復漢), 단종조(端宗祖)에 등과(登科)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구자평(仇自平), 중종조(中宗祖)에 밀양영남루(密陽嶺南樓)에 상량문(上樑文)을 지은 구유온(仇有溫), 선조조(宣祖祖)에 등과(登科) 홍문관교리(弘文館郊理)를 지낸 구정열(仇廷說), 문열공(文烈公)으로 시호(諡號)를 받은 선무원종일등공신(宣武原從一等功臣), 구지(仇之), 박정희대통령의 친필휘호(親筆揮毫)를 받은 일문사충(一門四忠) 구응진(仇應辰), 구응삼(仇應參) 형제와 구응성(仇應星), 구동(仇棟) 부자가 있다. 구영취(仇榮鷲) 및 구변(仇忭), 구흔(仇忻) 형제도 역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이며, 그 외도 많은 분이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록권(錄券)되어 있고 조 역대 명신록에도 그 기록이 있다. 구상덕(仇尙德)은 영조조(英祖祖)에 수십년간 승총명(勝總明)이라는 제목의 일기를 남겼다.
仇門(구문)은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거족적으로 창의(倡義)하여 희생이 많았고 선무원종공신록(宣武原從功臣錄)에 1등공신이 2명, 2등공신이 6명, 3등공신까지 합치면 모두 20명이나 되는 공신(功臣)을 많이 배출한 가문(家門)이었다.
하지만 仇氏(구씨)가 具氏(구씨)로 사성(賜姓)된 이후 여러 소문중 전부가 이탈하는 큰 혼란을 겪어 조선조 말기에는 가세(家勢)가 매우 한미(寒微)해졌다. 그러나 갑자보에서 잔여 일족을 정비하였고, 1980년경부터 일가 찾기 운동을 하면서 임오보(1762), 정사보(1797) 및 규장각(奎章閣)에 소장된 조선조 장적(帳籍:지금은 호적)등 확실한 증거를 가지고 仇姓(구성)으로 수록된 후손을 찾아 환본하도록 노력한 결과 환본된 소문중도 있고 일부 소문중은 계속 환본을 요구하고 있다.
보책(譜冊)으로는 임오보(壬午譜) 1762년(英祖 28년). 정사보(丁巳譜) 1797년(正祖 21년), 갑자보(甲子譜) 1924년에 착수하여 1930년에 刊行), 을미보(乙未譜) 1955년, 신유보(辛酉譜) 1981년 및 신사보(辛巳譜) 2001년 등 모두 육보(六譜)까지 간행되었다.

3. 항렬

17세 동(東)○
18세 ○환(煥), ○훈(焄)
19세 재(在)○, 재(載)○
20세 ○진(鎭), ○옥(鈺)
21세 영(永)○
22세 ○근(根)
23세 병(炳)○
24세 ○효(孝)
25세 종(鍾)○
26세 ○수(洙)
27세 상(相)○
28세 ○렬(烈)
29세 시(時)○
30세 ○현(鉉)
31세 연(演)○
32세 ○업(業)
33세 형(炯)○
34세 ○균(均)

일부 문중에서 능성 구씨 항렬을 쓰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16세는 연(然), 17세는 서(書), 18세는 회(會), 19세는 자(滋), 20세는 본(本), 21세는 모(謨), 22세는 교(敎) 항렬을 쓴다.

4. 실존 인물

이름 생몰년도 비고
근대 이전
구 진(仇 珍) 551 전후 세전, 신라 진흥왕시대 장군
구 근(仇 近) 661 전후 세전, 신라 문무왕시대 장군, 사찬(沙湌)
구 기(仇 杞) 668 전후 세전, 신라 문무왕시대 술간(述干)
구진천(仇珍川) 668 전후 세전, 신라 문무왕시대 무신
구족달(仇足達) 940 전후 세전, 나말려초 명필가(보현사탑비 외,보물192호), 사찬(沙湌)
구성길(仇成吉) 945 전후 원시조, 문하시랑(門下侍郞) 평장사 의창군(義昌君)
구 희(仇 喜) 950 전후 원시조2세, 문하시랑(門下侍郞) 평장사(平章事)
구 경(仇 景) 960 전후 원시조2세, 수안현감(遂安縣監)
구종길(仇宗吉) 1363 ~ 1436 2세, 영의정
구복한(仇復漢) 1385 ~ 1438 3세, 부사공파파조, 강계부사(江界府使), 전라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구동직(仇東直) 1390 ~ 1450 3세, 승지공파파조, 조선초 문과 급제, 승지(承旨)
구자평(仇自平) 1440 전후 단종(端宗) 2년 과거(科擧) 급제, 예조정랑,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20세(鎭/鈺)
구용서(具鎔書) 1899 ~ 1984 부사공파 상공부장관, 족보명 용옥(鎔鈺)
24세(孝)
구상찬(具相燦) 1957 ~ 부사공파 국회의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