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혐일 | 반일 | 극일 | 지일 | 친일 | 일뽕 |
와패니즈 |
1. 개요
知 日일본인이 아니면서도 일본 관련 지식이 전문가 수준인 사람. 지일파는 친일, 반일, 중도 어느 쪽이라도 될 수 있다. 친일, 반일 등과는 엄연히 다른 개념으로, 어느 쪽에 가깝다고 할 수도 없다. 간단히 말하면 일본에 대한 감정과는 별개로 일본을 잘 아는 사람이다. 일본을 좋아해서 잘 알 수도 있고, 반대로 일본을 비판하려고 알아보다 보니 잘 알 수도 있다.
굳이 구분을 하자면, 학술적인 측면이든, 자국의 이익을 위해 일본과의 우호 및 협력을 위한 측면이든, 일본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강조하는 이들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 점에서 무턱대고 일본을 옹호하는 일빠나 증오하는 혐일과는 다르다. 여기서 일본에 대해 조금 더 비판적인, 즉 '일본을 이기려면 먼저 일본을 알아야 한다'는 자세를 극일로 분류한다.
이들은 일본이라는 나라에 대해서 비교적 굉장히 조용하고 이성적인 편에 속하는 사람들이다. 때문에 겉으로 자기들이 일본에 대한 관점이나 논하는 것을 될 수 있으면 꺼리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일본의 극우 성향의 인물들은 지일을 용일(요니치/用日)이라 부르고, 일본(日)을 써먹을(用) 생각으로 접근한다며 경계대상으로 보고있다. 일본 위키피디아의 용일 항목
2. 오해
지일은 일본에 대해 옹호도 비판도 하지 않다 보니 양쪽 세력에게 오해와 비판을 당하기도 한다.동해/일본해 논란에 일본의 의견 뿐만 아니라 한국의 의견 또한 비판하는 양비론을 주장하는 지일도 한국 측을 옹호하지 않았다고 하여 친일파로 몰리기도 한다. 동해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동해는 대부분이 공해라 양쪽의 주권 문제와 상관없다.
역사학자중에서도 지일파들은 친일파로 매도당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예시로 김현구 교수가 있다. 김현구 임나일본부학자설 참고.
3. 실존 인물
3.1. 역사상의 사례
- 신숙주 - 조선시대의 외교부 장관 격인 예조의 판서로 재직하면서 조선통신사의 일원 내지 쓰시마 섬 교섭 등을 위해 일본을 자주 방문했다. 또한 임종을 앞두고 "일본과의 화친을 이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1]
- 이익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일본의 정치 체제와 장래에 대한 통찰력 있는 저술을 남겼다.
3.2. 역사학자
- 김현구: 일본서기와 임나일본부설 연구 학자. 대표적인 교양서로 '백제는 일본의 기원인가',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 (한일분쟁의 영원한 불씨를 넘어서)'가 있다.
- 정재정: 한일관계사 전공. 대표적인 교양서로 '주제와 쟁점으로 읽는 20세기 한일관계사'가 있다.
- 하종문: 일본 근대사 전공 학자. 대표적인 교양서로 '일본사 여행 (역사기행으로 읽는 일본사)'이 있다.
3.3. 정치학자, 정치인, 관료
- 김종필 - 1965년 한일수교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 이 점에서 비판받기도 하지만, 현직 시절인 2001년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에 직접 일본을 방문하여 항의하기도 했다. 한일의원연맹 초대 회장이기도 하며 젊은 시절에 일제강점기를 보냈기 때문에 일본어에 매우 능통했다.
- 김대중 - 대통령 취임 첫해인 1998년 오부치 게이조 당시 일본 수상과 한일 양국의 파트너십 공동 선언을 채택했다. 또한 일본 대중문화 개방도 이루어졌다. 김종필과 마찬가지로 젊은 시절에 일제강점기를 보냈기 때문에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
- 이낙연 - 동아일보 기자 시절 수년간 도쿄 특파원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일본어를 네이티브급으로 구사할 수 있다. 국회의원 시절 한일의원연맹 수석부회장을 지냈다.
- 마이클 그린 - 미국의 정치학자이자 정치인.
- 빅터 차 - 미국의 정치학자.
- 리처드 아미티지 - 미국의 정치인.
- 브래드 글로서먼 - 미국 CSIS 퍼시픽 포럼 선임고문. <피크 재팬>(2019)의 저자.[2]
- 조세영 - 前 외교부 제1차관. 한국 외교계의 대표적 일본통으로 손꼽힌다.
- 박철희 - 서울대 교수. 국내 일본 외교, 대외정책에 관한 대표적 전문가들 가운데 한명.
- 김태효 - 성균관대 교수. 국내에서 일본과의 안보 협력을 지지하는 대표적 인물. 전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 現 국가안보실 제1차장 겸 NSC 사무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