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의학 |
|
진료과 | |
내과계
|
가정의학과 · 결핵과 · 내과 · 소아청소년과(소아과) · 신경과 · 정신건강의학과(정신과) · 재활의학과 · 피부과 |
외과계
|
비뇨의학과(비뇨기과) · 산부인과 · 성형외과 · 신경외과 · 안과 · 외과 · 이비인후과 · 정형외과 · 흉부외과 |
지원계
|
마취통증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병리과(해부병리과) • 영상의학과 · 응급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임상병리과) • 직업환경의학과(산업의학과) · 핵의학과 |
치의학
|
치과 · 구강내과 • 구강병리과 • 구강악안면외과 · 소아치과 • 영상치의학과 · 예방치과 • 치과교정과 · 치과보존과 • 치과보철과 · 치주과 · 통합치의학과 |
문서·문단이 있는 진료과 분과 | |
|
|
* 가나다순 배열. ** 괄호는 구 명칭을 나타냄. |
1. 개요
Podiatry, 足 部 醫 學 科무좀이나 티눈부터 시작해서 연조직염, 족저근막염, 족부 궤양[1] 등 발 질환, 발목 질환 전문과이다. 영국 미국 뉴질랜드 등 영어권 국가 중 몇 군데에만 있다. 생소한 이름과는 달리 미국에서는 족부의학과 전문의의 클리닉(개인병원)을 굉장히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족부 정형외과 전임의와는 별개로 족부의사란 직능이 존재한다. 미국의 경우 족부의대에서 족부의학 학위를 받은 뒤 APMLE라는 시험을 통과하면 족부의사 자격을 얻을 수 있으며 발에 한해서 진료, 치료, 처방이 가능하다. 미국의 경우 정골의학이나 치의학과 비슷하게 MD가 아닌 Doctor of Podiatric Medicine (DPM)라는 학위를 받고 Physician으로 정의되며, 영국의 경우 HCPC 인증된 Podiatric medicine/science에서 과학사(BSc)를 받는 게 표준이지만 견습(Apprenticeship), 과학석사(MSci), 족부의학석사(MPOD, 학석통합) 등의 과정도 가능하다.
오다리나 엑스다리의 경우 성장기부터 치료할 수 있는 학문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 학문이기도 하다.
국경없는 의사회에서도 이 분야를 따로 취급한다. 왜 이런 분야를 따로 분리했느냐 하면 아프리카의 가난한 국가의 사람들은 맨발로 다니는 경우가 매우 많아서 흙에 서식하고 있는 세균과 모래벼룩, 벌레, 기생충으로 인하여 발이 괴사하여 썩어 들어가거나 상처가 난 경우가 아주 많기 때문이다. 특히나 만악의 근원은 모래벼룩, 아프리카에 봉사 목적으로 간 프로그램들을 봤다면 알겠지만 발에 구멍이 뚫려있고, 피가 철철 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이는 모래벼룩이 파고들어가 알을 낳고 살을 갉아먹기 때문이다.[2] 따라서 수요가 매우 많으며 다른 진료과와는 별도로 분리해서 치료를 시행한다.
2. 한국
한국에는 없는 진료과, 한국에서는 각 질환에 따라 피부과, 성형외과와 정형외과(족부 분과전문의)에서 치료한다[3]. 다만, 이들 중에 족부 질환을 잘 본다고 소문난 의사들이 있기 때문에 족부 만성질환이 잘 낫지 않는 환자들은 이런 의사들을 알음알음 찾아간다. 그리고 몇몇 한의원에서도 치료한다. 특히 내성발톱은 정형외과, 무좀은 피부과에서 진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버거씨병이나 중증
1형 당뇨병로 인해 하지 부위가
괴사하는 경우도 여기서 진료한다.
[2]
매우 심각한 경우에는 썩은 부분에 약을 칠해 세척한 다음 메스로 한꺼번에 훑어서
알을 터뜨리거나 피부를 약간씩 도려낸다. 당연하지만 맨살이나 다름 없는 부분도 약간씩 뜯겨나가기에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3]
궤양을 덜어낸다던가 발 궤양 수술의 경우 성형외과에서 담당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