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31 10:48:08

조너선 그리너트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50><tablebordercolor=#002664> 파일:Flag_of_the_United_States_Chief_of_Naval_Operations.svg.png 미합중국군
역대 해군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윌리엄 벤슨 로버트 쿤츠 에드워드 에벌 찰스 휴즈 윌리엄 프랫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윌리엄 스탠들리 윌리엄 리히 해럴드 스타크 어니스트 킹 체스터 니미츠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루이스 덴펠드 포레스트 셔먼 윌리엄 페치텔러 로버트 카니 알레이 버크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그레고리 앤더슨 데이비드 맥도널드 토머스 무어러 엘모 줌왈트 제임스 할로웨이 3세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토머스 헤이워드 제임스 왓킨스 칼라일 트로스트 프랭크 켈소 제러미 마이클 보더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이 존슨 버논 클라크 마이크 멀린 개리 러프헤드 조너선 그리너트
제31대 제32대 제33대
존 리처드슨 마이클 길데이 리사 프란체티 }}}}}}}}}

미합중국 제30대 해군참모총장
조너선 윌리엄 그리너트
Jonathan William Greenert
파일:Jonathan_W._Greenert.jpg
<colbgcolor=#002664><colcolor=#ffffff> 출생 1953년 5월 15일 ([age(1953-05-15)]세)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버틀러
재임기간 제30대 해군참모총장
2011년 9월 23일 ~ 2015년 9월 18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2664><colcolor=#ffffff> 복무 미합중국 해군
1975년 ~ 2015년
최종 계급 대장 (미합중국 해군)
주요 서훈 국방공로훈장 (6회)
국방우수공로훈장
육군공로훈장
공군공로훈장
해안경비대공로훈장
리전 오브 메리트 (4회)
}}}}}}}}}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군인이다.

2. 생애

1953년 5월 15일 펜실베이니아 피츠버그 근교 버틀러에서 태어났다.

원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미국육군사관학교의 합격통지를 받았으나 해사를 선택했으며 1975년에 졸업했다. 해양공학으로 학사를 받았고 잠수함 장교로 핵전력 관련 사항을 공부했다.[1]

커리어 내내 대서양보다 태평양 쪽에서 많이 활동하였다. 제11잠수함전대(Submarine Squadron 11)와 태평양잠수함사령관(Commander, Submarine Forces Pacific (COMSUBPAC)) 등을 거쳤다. 1997년 준장이 되면서 제7함대 참모장을 맡았다. 2004년에는 7함대 사령관으로 영전했고 대장 진급 후 함대전력사령부(United States Fleet Forces Command) 사령관, 해군참모차장을 거쳐 2011년 9월 23일에 개리 러프헤드 제독에 이어 30대 해군참모총장이 되었다.

가족관계는 크게 알려진 바는 없지만, 핵추진국 주관으로 열린 USS 노틸러스 60주년 기념행사에 그리너트 제독이 초청되자 아내 달린이 동석했다. 버지니아급 SSN-795 함명으로 발표된 USS 하이먼 G. 리코버의 명명에 스폰서로 참여했다.

파일:external/www.ecns.cn/U542P886T1D125752F12DT20140723142602.jpg
2014년 7월에 랴오닝급에 승선하기도 했다.[2] 중국 해군과의 군사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는 편이다.

군함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은 화약이 바글바글한 탄약고이므로 "군함에서 화약류를 빼내야 한다"는 주장을 하여 많은 이들을 경악케 했다. 당연히 군대 무용론 같은 건 아니고, 레일건, 레이저 등의 차세대 무기에 대한 예찬론이다. 공대 출신 잠수함 경력자로서 미 해군의 공밀레를 주도하면서 특히 오하이오급을 대체할 차세대 SSBN 개발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로스앤젤레스급을 대체하려던 시울프급의 조기 중단으로 잠수함 전력 세대교체가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버지니아급의 대량 양산 계획을 확정한 것 또한 눈여겨볼 성과.

예산 감축으로 고통받는 2010년대 초반의 미 해군에 닥친 위기를 잘 수습하였다는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는데, 미 해군이 오래 전부터 벌여온 크고 아름다운 사업들이 좀 많이 꼬이고 꼬인지라 현상유지 그 이상의 효과를 보지는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F/A-18E/F를 대체할 차세대 함재기 사업(이른바 6세대 전투기)에서도 꼭 스텔스 성능에 목을 매지 않아도 된다는 견해를 피력하여 F-35C가 뭣 때문에 10년 넘게 이 지랄을 하고 있는거냐며 논쟁이 격해지기도 했다. 다만 이 부분은 이전부터 미 해군이 차기 함재전투기의 스펙에 대해 UCAV에 대해 적극 검토하면서 덩달아 갑론을박이 벌어졌던 부분이며 사실 항모에서 무인기를 운용하는 것은 지상에서의 무인기 운용보다 훨씬 이익이 크다[3]는 점에서 놀라운 일은 아니다. 확실한 것은 미 해군은 당분간 돈을 잡아먹을 일거리가 너무 많아서 F-35도 불투명한 상황에 6세대 전투기를 논하기엔 시기상조다.

재임기에 해군핵추진프로그램 국장이 된 후배 존 리처드슨 제독을 매우 신임한다고 알려져 있다. 비슷한 커리어패스를 가진데다 같이 해군청에서 근무하고 업무상 자주 부대끼다보니 공개석상에 같이 나타나는 일이 잦다. 심지어는 후임 해군총장으로 리처드슨 제독을 크게 밀어주다보니 정말로 후임에 내정되었다.

2015년 7월, TEDx 강연에서 젊은 중위 시절의 에피소드를 공개했다. 정비 중이던 잠수함에서 당직사관을 하다가 부실공사(라기보다는 절차 자체의 부실성)로 인한 침수가 발생하여 높으신 분들이 노발대발하였고 옷 벗을 위기에 몰렸는데 대인배 함장님이 책임지고 자신을 실드쳐주며 사람 만들어줬다라는 내용이다. 영상 9월에는 전역을 앞두고 북미 지역의 해군기지 이곳저곳을 둘러보던 중 네이비 씰 간부들을 만난 자리에서 SEAL도 장차 여성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암시했다.[4] 아직 구체적인 발언이나 결정은 없지만 여군의 입지가 확대되는 추세에서 잠수함마저 여성을 받아들인 미 해군이 특수부대에서도 여성을 받아들인다면 금녀의 장벽은 정말로 없어지는 셈이다.

전역을 앞둔 시점에서는 대체로 예산 감축 속에서도 공밀레에 박차를 가한 점이 높게 평가받고 있다.


웨스트포인트 애너폴리스의 Army Navy 게임을 홍보하기 위해 19세기 스타일로 차려입고 광고롤 촬영했다. 가장 처음에 나오는 사람은 마이클 스티븐스 해군주임원사다. 전 미국 합동참모의장 마틴 뎀프시 육군 대장도 함께 출연했다.


[1] 하이먼 리코버 제독의 덕택으로 원자력 잠수함이 발달한 미 해군은 원자력잠수함과 해군용 원자로들을 관리하는 별도의 보직인 해군핵추진프로그램(Naval Nuclear Propulsion Program) 해군청 직속으로 두고 있는 등 잠수함 출신들의 힘이 센 편이다. 한국은 별도의 잠수함사령부가 2015년에 창설됐고 일본 잠수함대를 두고 있으나 원자력 잠수함도 없고 수상함이나 항공집단 출신들이 강세라 별 존재감은 없다. [2] 위의 사진은 랴오닝급과는 상관없는 별개의 사진이다. [3] 조종사와 그에 딸려있는 생존 장비들만 해도 돈도 돈이지만 함재기의 무게를 늘리는 엄청난 장애물이다. [4] 비슷한 시기 육군의 레인저 스쿨에서 여성 수료자가 배출되었다. 공군 역시 특수부대를 여성에게도 개방할 것을 검토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