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2 15:29:32

전길남

파일:동백장 약장.png
국민훈장 동백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968
정건영
1970
김의형
1970
주영하
1972
강명순
1972
손치무
1972
조광운
1977
이휘소
1982
이승복
1984
이천환
1985
김호길
1987
김창순
1987
박인근[A]
1988
윤양중
1988
고광욱
1997
전길남
1998
김진애
2001
조성애
2005
김상희
2007
김옥라
2011
석해균
2016
김혜심
2018
박경조
2019
김하종
2020
울라프 픽스 트베이트
2022
박무근
[A] 2018년 형제복지원 재조사를 거치면서 서훈 취소
}}}}}} ||
<colbgcolor=#00001b><colcolor=#ffffff> 전길남
全吉男 | Kilnam Chon
파일:전길남.jpg
출생 1943년 1월 3일 (80세)
일본 제국 오사카부 오사카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직업 컴퓨터과학자
분야 컴퓨터과학
정보통신학
학력 오사카대학 ( 전기공학 / 학사)
UCLA ( 컴퓨터공학 / M.S.)
UCLA ( 컴퓨터공학 / Ph.D.)[1]
경력 미국 록웰 인터내셔널(Rockwell International)
NASA 제트추진연구소(Jet Propulsion Laboratory)
한국전자기술연구소
KAIST 전산학과 교수
일본 게이오기주쿠대학 특임교수
훈장 체육훈장 기린장
국민훈장 동백장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IEEE 심볼.svg 파일:계산기협회 심볼.svg
1. 개요2. 경력
2.1. 학술인으로서2.2. 산악인으로서
3.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컴퓨터 과학자. 세계 2번째이자 대한민국 인터넷을 최초로 개발한 인물로 위대한 업적을 정리할 수 있다.

1943년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나 오사카 대학을 졸업 한 후 미국 UCLA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에서 컴퓨터 시스템 설계자로 일하다가 1979년에 한국으로 와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일했다. 이후 1982년 ~ 2008년까지 KAIST에서 교수로 있었다.

2. 경력

2.1. 학술인으로서

1974년 UCLA의 컴퓨터공학과에서 시스템 엔지니어링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76년 NASA 제트추진연구소에 입사했다. 보이저 1호, 보이저 2호가 제작될 시기에 시스템 엔지니어로써 활동했다.

미국에서 아파넷의 책임자였던 레너드 클라인락 교수 밑에서 수학했으며 이후 미국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던 중 한국이 한참 경제개발에 열을 올리던 1979년에 입국하여 전자기술연구소 부장을 역임했다. 당시 정부는 해외에서 활동 중인 한국 과학자들을 파격적인 조건으로 스카우트 하고 있었는데[2] 전길남도 이때 입국했다.

원래 전길남은 단순히 컴퓨터 개발을 위해 전자기술연구소 컴퓨터 시스템개발부장으로 컴퓨터 국산화 프로젝트를 위해 초빙되었지만 네트워크 기술의 중요성을 일찌감치 알아채고선, 1979년, 전자기술연구소에 부임하면서부터 '시스템 개발 네트워크(System Development Network, SDN)'를 진행시켰다. 이후 1982년에 구미 전자기술연구소와 서울대학교를 연결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 통신 네트워킹을 만들었다. [3] 1200bps로 매우 적은 데이터 양이지만 세계에선 두 번째로 이루어진 일이다. 즉, 한국을 전 세계 두번째 인터넷 구축국가로 만든 것이다.

독특한 점은 이 SDN을 운영한 방식이다. 연결을 희망하면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이상 대부분의 희망하는 대학과 연구소에 운영 체제와 지원을 제공했다. 1983년 KAIST가 SDN에 연결되었다. 1984년에는 10곳, 1985년에는 20여곳으로 확장되었다.

미국에서 라우터 기술을 공개하지 않자 소프트웨어로 독자적으로 라우터를 구축해 미국과 전산망을 연결했다. 1986년 8월, 한국의 SDN은 TCP/IP기반인 NSFNET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IP 주소 블록 [4]을 할당받았다. 이시기에 한국의 국가 코드 도메인 네임 'kr'도 부여받았다. 그리고 이를 아시아 주변국에 전수함으로써 인터넷의 세계적 확산에 공헌했다. 1987년 아시아넷의 탄생에도 영향을 끼쳤다.

1984년 2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유네스코 워크숍에서 아시아넷을 구축하자는 제안을 시작으로, 이듬해 아시아넷 추진 모임이 만들어졌다. 기술 제공을 오스트레일리아가 필리핀을 맡고, 한국이 인도네시아를, 그리고 전길남이 인도네시아, 태국,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를 담당해 아시아넷에 연결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인터넷 소사이어티에서 전길남을 인터넷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다. 2012 명예의 전당 목록(Kilnam Chon) 전길남 박사 소개 페이지 그리고 이걸 뉴시스킬남 콘으로 개명해 적었다. # # pdf 버전 마지막 수정이 2016년이고 킬남 콘이라는 실수가 발견된 것이 최소한 2014년인데도 불구하고 # # 여전히 수정되지 않았다.

KAIST 교수 퇴임 이후 일본 게이오기주쿠대학 객원교수로 재임 중이며, 한국의 정보인권 단체인 오픈넷 아프리카 인터넷 전반의 문제에 조언하는 아프리카 프로젝트 국제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

[정보화 리더십 탐구]③ 전길남 KAIST 명예교수...한국 인터넷과 벤처의 스승
네이버 캐스트:전길남
대한민국 인터넷 아버지 전길남 박사

2.2. 산악인으로서

뛰어난 산악인이다.

3. 기타

  • 아들 전해원(전한해원[6])은 1998년경 고교 중퇴 후 검정고시를 거쳐 서울대 경제학부에 일찍 진학해 화제를 모았고, KMTV <R.U.Ready> 등지에서 'VJ 해원'으로 이름을 잠깐 날렸다.( 동아일보, 시사저널 기사) 최근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연구기관 퍼시픽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며 셰일층 천연가스가 장기적으로는 온실 가스 감축 효과가 없다고 주장하는 논문의 제1저자이다( 관련 기사).
  • 상기의 알파니스트로서의 업적으로서도 알 수 있듯, 나름 이름을 남긴 탐험가이기도 하다. 특히 1970년대 대한민국의 스쿠버 다이빙 초창기의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NAUI(National Association of Underwater Instructors)에서 한국인 최초로 강사자격을 취득하기도 했다.


[1] 박사 학위 논문 : Optimal regulation policies for single and series reservoir systems = 단일&연속 비축 시스템의 최적 규정 방책에 관하여(1974). [2] 전용운전기사에 자동차, 아파트까지 약속했다. [3] TCP/IP방식을 사용한 방식이다. 이때 서울대의 PDP11/44 중형 컴퓨터와 전자기술연구소의 PDP 11/70 중형 컴퓨터가 연결되었다. [4] 128.134.0.0 [5] 원정대 부대장 [6] 성씨 중 '한'은 그의 외조모의 성에서 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