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0 02:29:03

일회용 카메라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IMG_9031.jpg 파일:external/scontent-ams3-1.cdninstagram.com/13381355_1101711859913222_1404006437_n.jpg
미라클 카메라[1] 코닥 펀세이버

Disposable Camera / Single Use Camera[2]
レンズ付きフィルム[3]

1. 개요2. 역사3. 가격4. 구조5. 일회용으로 팔리지만 일회용은 아니다6. 여담

1. 개요

말 그대로 카메라가 없는 상황에서 급하게 사진을 촬영할 일이 생겼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단순하고 저렴한 카메라이다.

지금은 필름 사진 매니아층 외에는 구경하기 힘든 물건이지만, 디지털 카메라와 카메라폰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이전인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널리 쓰였었다. 교통사고 발생 시 증거사진을 촬영할 목적으로 차량에 구비해두는 운전자도 많았으며, 편의점이나 마트, 관광지 매점 등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었다.

과거에는 세계 3대 필름업체[4]와 전 세계의 수많은 군소 업체들에서 생산되었으나, 현재는 코닥 후지필름, 하만[5]에서만 생산된다.

2. 역사

일회용 카메라의 시작은 코닥 사의 카메라로, 무려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플라스틱을 적용하기는 매우 힘들었기 때문에 목재로 만들었으며, 카메라를 다 찍은 후 가게에 가서 현상을 뽑아 내는 방식이었다.[6]

이러한 시스템이 성공한 후, 진정한 의미의 '한 번 쓰는 카메라'는 1949년 포토팩의 '싱글 유즈 카메라'를 시작으로 급속하게 퍼지게 되었으며, 많은 회사들이 너나할 것 없이 플라스틱 일회용 카메라를 출시하게 되었다. 한편, 한국의 경우에는 그냥 다국적 필름회사들로부터 수입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퍼진 것이라고 보면 되겠다.

3. 가격

다른 나라의 경우에는 가격이 그다지 비싸지도 않은 편이나, 한국에서는 이상하게 필름 가격보다도 더 비쌌다. 물론 국내에 카메라 필름이 정식으로 대량 수입·생산되던 당시 대한민국의 필름 가격은 주요 국가들 중 제일 저렴한 축이었기에 체감상으로도 더 비싸게 느껴졌던 것. 그래서 해외 여행하며 사진을 많이 찍던 사람들은 일회용 카메라를 쓰는 대신 한국에서 필름을 대량으로 사들고 가기도 했다.

4. 구조

일회용 카메라의 구조를 보면 매우 단순하다. 알 수 없는 고정식 렌즈를 박은 필름상자(보통은 플라스틱제)에 종이로 되어 있는 껍질로 덮은 것이 전부이며, 좀 비싼 것들은 그나마 수동충전식 또는 내장 전력으로 충전하는 플래시가 달려 있다. 솔직히 손재주가 있다면 직접 만들어볼 수도 있을 법하다. 물론 쉽게 재생하지 못 하도록 플라스틱제 몸통에는 빛이 들어갈 구멍을 숭숭 뚫어놓고 그걸 종이로 막아놓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런 간단한 구조인 탓에 당연히 조리개나 플래시 광량을 조절하는 기능은 아주 비싼 녀석들이 아닌 한 있을 리가 없다. 그나마도 플래시 조절 정도나 가능하지, 초점과 조리개값은 무조건 고정이다. 또한 외피가 카메라 몸체 중에서 가장 허접한 재질인 종이이기 때문에 오래되면 오래될수록 종이가 삭아 필름에 빛이 닿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품질 나쁜 사진을 만나볼 수도 있으므로 유의하자. 때문에 유원지에서 사는 재생 일회용 카메라[7]나 필름은 조심하자. 자칫 오래된 필름이나 카메라를 사서 찍고 나서 뽑아보면 처참함을 넘어 쓰레기 수준이다. 물론 일회용 카메라의 품질은 애시당초 품질'보증'을 할 만한 수준도 아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출고 당시의 품질 자체는 신뢰할 만하다. 후지나 코닥과 같은 업계의 유명 메이커에서 생산한 일회용 카메라의 성능은 일반 필름 자동 카메라와 비교해도 나쁘지 않은 수준이다. 중요한 건 출고 이후의 보관이 어떻게 되었는가다. 예를 들어 일회용 카메라는 충격에 약한데, 판매하는 가게에서 보관 도중 카메라를 떨어뜨렸다든지 했을 경우에는 신뢰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즉 상당한 뽑기운이 있는 셈. 만약 신경 쓰인다면 보관 상태가 양호한 가게에서 출고된지 얼마 안된 유명 메이커 제품을 구입하는게 현명하다.

심지어는 필름이 아예 안 들어있는 가짜 제품을 파는 곳도 있었다. 이에 대한 피해 때문에 한국후지필름에서는 불법(?) 재생 일회용 카메라에 대해 상표권 침해 및 영업방해 등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했다. 그 덕택에 한동안 미라클은 자취를 감췄다가, 필름사진 시장이 한 번 완전히 죽었다가 레트로 붐을 타며 힙스터들의 문화로 겨우 살아난 뒤 다시 조금씩 팔리고 있다. 1차 판매처는 남서울통상.[8]

이런 위험성(?)이 있긴 하지만, 나름대로 사용법이 간단하고 여러모로 편리한 면이 있는 탓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류도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의외로 다양하다. 코닥이나 후지 홈페이지를 가보면 수중용, 망원용, 야간용등의 다양한 제품군들이 생산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일회용 카메라 답지 않게 줌 기능을 갖춘 제품까지 존재한다. 물론 이런 제품들의 경우는 판매량이나 생산량이 상당히 적은 수준이며, 실제로 판매처를 찾기도 쉽지 않다. 그리고 일회용으로 쓰는 것 치고 가격도 그리 싸지 않은 편이다.[9] 역시 마찬가지로 일회용으로만 사용하도록 강요된 제품이므로 아무리 고성능이라 하더라도 외피는 무조건 종이이며 뼈대는 필름에 빛이 들어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5. 일회용으로 팔리지만 일회용은 아니다

사실 일회용 카메라는 통념과는 달리 Disposable은 아니고, 재사용, 업사이클 ( 새활용)이 가능하다. 당장 위에 서술된 코닥의 초창기 렌탈형 카메라부터 필름을 재장전해서 돌려줬다고 설명했었고, 오늘날에도 후지필름은 (접수 루트가 한정적이긴 해도) 카메라를 수거해서 전체 또는 일부를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한다.

다 쓰고 현상까지 한 후에도 빛을 차단하는 작업만 거치면 재사용할 수 있는데, 기본적인 기능이 계속 남아 있기 때문. 플래시도 손발전으로 전력을 그때마다 1회분씩 생산하면 되니 기능 상 못 쓸 건 없다. 같은 이유로 필름상자가 제각각인 재생 카메라들이 나올 수 있는 것이다. 대신 초창기 일회용 카메라는 품질이 조악한 게 많아서, 그리고 조금 품질이 개선된 일회용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면서부터는 숙련된 업계 종사자가 아니면 재사용이 어렵도록 계획적 구식화를 적용하면서 재생 카메라들에 문제가 많이 있을 뿐.

이를 응용해서 간혹 어린 아이들에게 필름 카메라를 선물로 줄 수 있다. 현상은 바쁘다고 하면 땡. 아이가 그걸 알았을땐 이미 손에 스마트폰을 들고 있을 것이다.

발상의 전환으로 일회용 카메라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적용하되 필름 교환이 용이하도록 설계한 토이 카메라도 있다. 이 쯤 되면 대놓고 필름 교체해서 쓰라고 배려한 일회용 카메라라고 할 수 있겠지만, 토이 카메라의 족보를 생각해 보면 발상의 전환이라고 하기에는 부끄러울 수도 있다. 가격은 코닥제 기준으로 동사의 펀세이버의 약 2.5~4배 가격.

오늘날 한국에도 일회용 카메라를 제조사로 보내지 않고 재생을 해주는 사진관이 있다. #

6. 여담

일회용 디지털 카메라도 존재한다고 한다. 다만, 링크를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시제품의 성격이 강하며 상용화가 이뤄진 것 같지는 않다. #

안쓰는 일회용 카메라가 있다고 함부로 분해하지는 말자. 플래시에 사용할 전기를 모으는 콘덴서에 아직 전기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아, 화상이나 감전의 위험이 있다.[10] 대개 생명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지만, 엄청 아프다. 살짝 스치기라도 해서 감전당하면, 운좋을 경우 전기 쇼크를 받은 느낌에 그치지만, 거기다가 감전된 곳에 전기로 인한 2도 이상 화상 및 진물[11]까지 동반한다. 국부 화상일지언정 상당히 고통스러우니 함부로 분해하지는 말자. 덤으로 오징어 굽는 냄새와 비슷한 살 타는 냄새가 나서 불쾌할 수 있으니 서둘러 상처 소독을 하자.

지금은 디지털 카메라가 보급되고 더 나아가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핸드폰 카메라가 강력한 대체재로 작용하고 있어서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다. 다만 필름 카메라가 완전히 몰락함에 가끔씩 필름 카메라의 감성을 누리고 싶은 이들은 가끔 사서 쓰곤 한다.

2009년 이전 군대에 다녀온 아재들에게는 추억의 물건이다. 혹한기, 유격 등등 각종 훈련 때마다 공공연하게 구비해가서 훈련의 추억들을 남기곤 했다. PX에 현상을 맡길 수 있었기에 훈련 후 맡겨놓고 나중에 사진을 찾아가면 끝. 또한 전역할 때쯤이면 PX에서 하나쯤 사서 정 들었던 곳에서 전우들과 사진을 찍으며 전역을 준비하는 게 하나의 관례였기 때문. 가끔 오래된 군대 사진을 보면 색감이 칙칙하고 빛이 제멋대로 들어찬 사진을 볼 수 있는데 대체로 일회용 카메라로 찍은 사진들이다. 어느 순간부터 군사 보안을 이유로 PX에서 사라졌고,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제대 전 몰래 반입해서 찍거나, 아니면 간부가 찍어주기 때문에 보기 힘든 물건이 돼버렸다. 2019년 이후 군부대에서 스마트폰이 사용 가능해도 아직 폴라로이드를 사용해 행보관이 찍어주는 곳도 있다.


2016년 당시 영상에 나오는 아이들[12]에게 준 일회용 카메라 사용 영상을 보면 아이들 사이에서 고대유물 취급을 받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2003년생 한 학생은 응답하라 1988에서 본적이 있다고 말하거나 2002년생 학생은 필름을 잘모르는지 카메라 안에 필터가 있다고 말하거나 2009년생은 신기한 표정으로 카메라가 작다고 답하는 등 학생들 대부분 일회용 카메라를 잘 모르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1990년대에는 자동차에 꼭 한 개쯤은 있던 필수품이었다. 교통사고가 나면 급하게 사진을 찍어야 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차량에 블랙박스가 설치된 2020년대에 이런 용도로 일회용 카메라를 쓸 일은 없다.


[1] 다 쓴 타사의 일회용 카메라 몸체를 무단으로 긁어모아 재생해서 만드는 제품이기 때문에 카메라마다 생김새가 다르다. [2] 둘 다 직역하면 '일회용 카메라'이지만 전자는 '쓰고 버리는 것'이라는 의미가 내재된 반면 후자는 '한 번 사용'이라는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3] '렌즈 달린 필름' [4] 코닥, 후지필름, 아그파 [5] 일포드, 켄트미어, 피닉스 등의 사진용 필름과 각종 약품, 인화용지, 기자재 등을 생산하는 영국의 사진 전문 기업이다. [6] 이스트만 코닥은 135필름이라고 불리우는 35mm 롤필름을 최초로 개발, 보급하였다. 당시 필름의 보급을 늘리기 위해서 100장 정도가 장전된 카메라의 촬영이 끝나면 코닥 현상소에 보내고, 현상소에서는 처리된 사진과 함께 100장의 필름을 다시 장전하여 보내주는 형태로 필름시장을 확대해갔다. 당시 캐치프레이즈는 '버튼만 누르세요. 나머지는 우리가 해드립니다(PRESS THE BUTTON: We do the rest).' [7] 퀵스냅 재생품인 미라클. [8] 이 곳이 카메라 재생까지 하는 곳인지는 검증바람. [9] 요즘 나오는 일반 메이커 제품들의 가격대는 1만원 전후다. 이것도 그리 싼 가격으로 생각되지 않는데, 이런 특수 기능을 갖춘 제품의 가격은 어떨지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는다. [10] 전기파리채에서 느끼는 따끔거리는 수준과는 차원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플래시를 터트리기 위해 통통하고 커다란 330V~380V 120~180㎌ 고전압 캐퍼시터가 들어있고, 이쪽의 회로나 컨덴서와 손이 살짝이라도 닿는 순간 감전된다. 심지어 회로를 잘못 눌러 +-극이 맞닿는 순간 스파크도 튄다. [11] 국부적으로 2도 화상 이상을 입게 된다는 것이다. [12] 당시 초1(2009년생), 초3(2007년생), 중1(2003년생), 중2(2002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