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6:47:10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일반화의 오류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범주화
,
,
,
,
,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예시 삭제 및 관련 문서로 대체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예시 삭제 및 관련 문서로 대체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개요2. 용례3. 사례4. 비판5. 오용6. 관련 문서

1. 개요

The Fallacy of Hasty Generalization

특수하고 부족한 양의 사례를 근거로 섣불리 일반화하고 판단하는 오류. 속담인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를 잘못 쓰면 이런 오류에 빠진다. 다만 전수조사를 해야만 오류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건 일반화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극소수의 반례가 존재해도 일반화는 성립하기 때문.

이 말이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미국 철학자, 국어학자 어빙 코피(Irving Copi, 1917~2002)의 1961년 책 논리학 입문(Introduction to Logic)에서이다.

2. 용례

예를 들어, '어떤 이들이 ~하므로 그들이 속한 집단 또한 ~할 것' 식으로 섣부르게 결론을 내리는 것을 말한다.[1]

보통 '장님 코끼리 만지기' 이야기에 비유하는데, 장님들이 코끼리의 모습 전부를 볼 수 없어서 손 끝의 감각으로만 정보를 수집해선[2] 자기가 만진 게 전부인 것처럼 결론을 내리고는 서로 자기 말이 옳다며 싸운다는 내용이다. 이는 조사의 대상인 표본집단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없기 때문에, 간단히 말해서 부족한 근거로 억지 결론을 내려서 생기는 오류. 그래서 사례에서 원칙을 이끌어 내는 귀납법과 유비추리(유추)와도 연관이 엄청 많다.

일부 사례만으로 속단하는 행위이므로 반대 증거를 가져오기도 쉽고, 그만큼 논파하기도 쉽다. 일종의 확증 편향 사례 하나. 확대해석과도 비슷하다. 설령 일반적인 게 사실이어도 오류다.

3. 사례

가장 잘 알려져 있으나 사라지지 않는 오륜데, 이곳에는 개인적 경험, 언론 등을 통해 대서특필된 몇몇 유명한 사건, 특정 유명인들에게서 받은 강렬한 인상, 후광반사효과[3], 반지성주의, 가용성 편향 등의 원인이 있다. 우월의식과도 유관하며, 곧 수평 관계는 외면하고 수직 관계를 선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요소들이 편견을 심어 객관적인 평가를 방해한다. 한편으로 일반화는 해야 되지만 빨리빨리 해야 된다는 조바심 때문이거나 현실적 한계 탓에 정보를 제대로 못 수집해서일 수도 있다. 빙산의 일각처럼 일반적 부분은 숨겨져 있고 소부분만 드러나 있으면 소부분을 일반적으로 여길 수도 있는 것이다( 생존자 편향이 이 예시일 수 있다). 또한 일부의 사례를 근거로 삼으면 당장에 주장을 그럴듯하게 뒷받침하는 근거가 생기는 듯이 보이는 점으로, 논리적 사고능력이 부족한 이들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어 자주 사용된다. 반대로, 특히 인터넷이 발달한 나라에서는 단기성 상품/정보가 우후죽순으로 쏟아지곤 해서 다 감당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성급한 일반화가 인간의 본성 또는 인간이 자주 하는 실수 중 하나로 평가되기도 한다.

한국 국민의 건강행태와 정신적 습관의 현황과 정책대응. 해당 설문 조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한국인 만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로, 설문 내용 가운데 이 문서와 관련된 질문은 '하나를 보면 전체를 알 수 있다고 생각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이었는데, 여기에 그렇다고 답한 사람이 무려 58.9%로 나왔다.[4] 즉, 한국인 과반수가 해당 습관을 가지고 있단 것이다. 이 질문에는 단순히 성급한 일반화뿐만은 아니라 하나를 보고 다른 것들을 판단하는 행위(예를 들면, 외모만 보고 성격을 판단하든지, 작은 실수를 두고 모질이로 몰아가든지)도 있을 수 있다. 이는 '그는/그들은 그때 ~했으니 나중에도 그 상황에 ~할 것' 식으로 섣부르게 결론을 내리는 것과 같이 인신공격의 오류(연좌·정황 오류)이다. 다만 성급한 일반화 자체가 전세계적인 현상인 만큼 참고만 해두자. 우리만 흡연하는 건 아니니 안심하자

전제에 '거의'나 '대부분'이 붙으면 은밀하게 감춰진 한정어의 오류가 될 수도 있다.

비슷한 것으로는 '근시안적 귀납의 오류'도 있다.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는 사례 또는 표본의 수가 너무 적어서 생기는 문제이고, 근시안적 귀납의 오류는 표본의 '대표성'이 부족해서 생기는 문제다. 가령 어떤 대통령 선거 출마 후보자가 자신에게 대한 여론의 지지를 묻고자 자기 학교 졸업동기들에게만 집중적으로 물어보는 경우, 당연히 졸업동기들은 그 사람을 지지할 것이므로 '여론 전체'를 대표한다고는 볼 수 없다. 통계학에서 대표성 편향과도 맞닿아 있는 논리적 오류이다.

4. 비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비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오용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와 일반화는 다른 것으로, 세상에 예외가 전혀 없는 사례는 별로 없기 때문에[5] 일반화를 반드시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로 몰아가는 행위는 원천봉쇄의 오류에 해당하므로 지양할 필요가 있다. 즉,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는 있을지언정, 일반화 그 자체는 오류가 아니다.

일반적인 경우를 주제로 이야기를 하는데 전혀 비일반적인 극소수의 예외 사례를 가져오면서 반박을 하는 일을 반복하면 사회성이 떨어지고 말귀를 전혀 못 알아먹고 말이 전혀 통하지 않는 사람으로 비춰질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누가 '남자는 여자보다 힘이 세다'는 전제로 이야기를 한다면 일반적으로 남성의 근력이 여성의 근력보다 높다는 널리 알려진 일반 상식에 기반하는 것이기에 인정하고 듣는 게 맞은데, 거기서 장미란을 예시로 들면서 '장미란 선수는 웬만한 남자들보다 힘이 세지 않냐'고 반박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사회적으로 공분을 사는 사건이 일어났을 때 사건의 주동자가 집단 내 소수에 해당하였다고 " 그냥 소수일 뿐이니 넘어가죠?" 라고 주장하는 것 방관자 효과, 도미노 현상 같은 사례를 고려할 때 일반화를 넘어 동의를 얻기 어려운 주장이 된다.

한편, 연역논증 형식논리를 중심으로 한 수학, 수리논리학적 논의에서는 '특수성'과 '일반성'이라는 관념이 대부분의 언중이 생활에서 써먹는 ' 귀납논증'과는 전혀 다른 의미로 쓰인다. 이 쪽에서는 '일반화'라는 말을 전체 구성원이 모두 갖는 보편적이자 전역적인 성질을 주장하고 검증하는 행위를 가리키기 위해 써먹기 때문에 일반화는 엄밀하고 타당한 증명을 통하면야 당연히 이뤄지는 분석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형식논리에서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는 지적을 듣는다고 하면 이는 단순히 주장이 타당하지 않다는 뜻에 지나지 않는다.

6. 관련 문서



[1] 언어의 예는 "'--'이 없으면 현재형이고 '~ 된다'처럼 쓰니 소망을 나타낼 때는 '~면 한다'처럼 쓴다."( 불규칙 활용 문서 참고). [2] 꼬리를 만진 사람은 뱀, 다리를 만진 사람은 통나무 등. [3] 단, 비주류인 것을 즐기는데 그것이 주류인 양 착각해야 이 오류가 될 수 있고, 그런 착각과 자부심을 가지면 메이저부심이 되고, 그런 착각 없이 자부심을 가지면 마이너부심이 된다. [4] 설문지에 습관 강도를 0부터 10까지 주고 0을 선택했을 때 그런 습관이 없고 이외의 수치를 선택했을 때 그런 습관이 있단 방식으로 조사했다. [5] 극단적으로 예를 들면 '1+1=2'도 같은 액체를 가져와서 틀렸다고 주장할 수 있다. [6] 그런데 국가에는 범죄 능력이 없으므로 ' 전범국'이라는 표현은 학술용어가 아니고 그 자체로 매우 모순이기에 전범국이라고 규정하는 기준은 개인마다 생각이 다른 사람의 가치 판단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