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12 13:40:13

이강조

이강조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광주 상무 불사조 엠블럼.svg

초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2%, #f58026 2%, #f58026 24%, transparent 26%, transparent 74%, #f58026 76%, #f58026 98%, #000 98%),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6%, #f58026 6%), linear-gradient(135deg, #f58026 16%, #000 18%, #f58026 20%, #000 22%, #f58026 24%, #000 26%, #f58026 28%, #000 30%, #f58026 32%, #000 34%, #f58026 36%, #000 38%, #f58026 40%, #000 42%, #f58026 44%, #000 46%, #f58026 48%, #000 50%, #f58026 52%, #000 54%, #f58026 56%, #000 58%, #f58026 60%, #000 62%, #f58026 64%, #000 66%, #f58026 68%, #000 70%, #f58026 72%, #000 74%, #f58026 76%)"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8026> 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제주 유나이티드 FC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초대 2대 3대 4대 5대
이강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5)
김용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1988)
정종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89)
조윤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최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2)
6대 7대 8대 9대 10대
이광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1994)
허기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7)
조정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0)
조성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김기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윤정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정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김한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변재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6)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김기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이동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조용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김은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최원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오승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김호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오반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권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박진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이창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1)
주민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김오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정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최영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31대 32대 33대 34대 35대
임채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 ||

}}} ||
이강조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svg
1980 · 1981 · 1983
파일:K리그1 로고.svg
}}} ||
대한민국의 前 축구 감독
파일:external/imgnews.naver.com/SK004_20090510_180301.jpg
이름 이강조
李康助
출생 1954년 10월 27일 ([age(1954-10-27)]세)
강원도 강릉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강릉중학교 (졸업)
강릉상업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학사)
신체 168cm
직업 축구 선수 (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 선수 유공 코끼리 (1983~1985)
코치 유공 코끼리 (1985~1986)
감독 강릉상업고등학교 (1987~1989)
상무 축구단- 광주 상무 불사조 (1990~2010)
국가대표 35경기 5골 ( 대한민국 / 1978~1984)

1. 개요2. 선수 생활3. 지도자 생활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생활

강릉상고[1] - 고려대 졸업 후 유공 코끼리의 창단 멤버로 활동했으며 은퇴할 때까지 유공의 초대 주장으로 구단을 이끌었다.

1978년부터 1984년까지 국가대표로도 활약하다 1985년 은퇴를 선언하였다.

3. 지도자 생활

선수 은퇴 후 유공 코끼리의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1987년부터는 모교인 강릉상고의 감독으로 지냈고, 1990년부터 대한민국 군무원 신분으로 상무 축구단의 감독을 해 오다가 2003년부터 프로에 입성한 광주 상무 불사조(現 김천 상무 FC) 축구단의 감독직을 수행하였다. 광주 상무는 군경 구단 특성상 매 선수들이 매번 바뀌는데다 선수들도 훈련은 물론 나라를 지키는 일까지 병행해야 하는 탓에 전력이 들쑥날쑥하여 하위권의 단골손님이었을 정도로 항상 만년 약체였는데, 그나마 상무 감독 부임 시절 최고 성적은 이동국 조재진이라는 국대급의 위상 높은 선수들이 있었던 2004년의 8위였다.

2008년 강원 FC가 창단될 당시 박종환, 최순호 등과 함께 강원의 초대 감독의 물망에 오르기도 했으나, 포항 스틸러스 감독을 지냈던 최순호가 임명되면서 2008년 이후에도 계속 광주 상무의 감독으로 있게 되었다.

2009 시즌에는 최성국, 김용대(모두 성남), 김명중( 포항), 최원권( 서울) 등 수준급 선수들의 활약을 앞세워 리그가 중반을 넘어가는 14라운드까지 상무는 한때 리그 1위를 달리는 준수한 성적을 낸 적도 있었지만, 이 선수들이 대거 전역한 15라운드 이후로는 DTD의 진수를 제대로 보여주며 시즌이 끝날 때까지 1무 14패라는 처참한 성적을 기록하며 겨우 11위로 시즌을 마쳤다. 결국 2010년 10월, 정년 퇴임을 2년 남겨놓고 감독직에서 물러남과 동시에 축구계에서도 완전 은퇴를 선언하였다.

4. 여담

  • 감독직에서 은퇴한 이후 2012년에는 민주통합당 소속[2]이던 문재인 대선 후보의 체육특보로 임명됐는데 이를 보아 민주당 지지자인 것으로 보인다. #
  • 군무원 출신이다. 이후 한동안 군무원 출신 감독의 명맥이 끊겼다가 2017년 김태완 코치가 감독으로 승격되면서 다시 이어갔다.


[1] 현재는 강릉제일고등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2] 민주통합당은 18대 대선 후보일 당시 소속이었고 19대 대선 후보 때는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