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14:48:43

용각산

용각산쿨에서 넘어옴
파일:용각산.jpg

龍角散

1. 개요2. 특징3. 제품
3.1. 용각산 캔디3.2. 용각산 쿨
4. 여담

1. 개요

일본 류카쿠산에서 개발해 대한민국 보령컨슈머헬스케어에서 판매하는 진해거담제. 목이 아플 때도 효과가 있다.

2. 특징

파일:류카쿠산.jpg
(착.착.착!) 이 소리가 아닙니다, (달각.달각.달각!) 이 소리도 아닙니다. (무음) 용각산은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1]
보령제약 CF - #
ゴホン!といえば龍角散
콜록! 하면 용각산 - 일본판 CF

일본 제약사 류카쿠산(용각산)에서 개발되었는데, 원조는 동북 지방 아키타(秋田) 번[2]의 어전의(御展醫)[3]였던 후지이(藤井) 가문[4]에서 만들던 약으로 에도 시대까지 소급되는, 2백수십여 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한다. 이후 후지이家의 후지이 겐신(藤井玄信)이 기존의 한약 류가쿠산에 양학의 생약을 도입, 개량하였고 1894년( 메이지 27년) 후지이 겐신의 손자 후지이 도쿠사부로(藤井得三郞)가 가루약 형태로 개발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진다. 현 사장은 창업주의 5대손 후지이 류타(藤井隆太)이다.

상한론에도 나오는 오래된 한약인 감길탕(甘桔湯)[5]이 기본 베이스다. 감길탕은 급성인후염이나 편도선염, 목이 쉬었을 때 등에 사용해온 오래된 한약이다. 이 감길탕에 기침,천식에 사용한 한약재인 행인(살구씨)을 첨가하고, 캐나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인후염, 후두염에 사용한 약재인 세네가(Polygala senega Linné) 뿌리를 첨가한 것이 오늘날의 용각산이다.

한국에는 일제강점기에 처음 전해졌다. 보령제약이 용각산을 처음 판매한 것은 류카쿠산과 정식으로 제휴를 맺은 1967년 이후의 일이다.

용각산이라는 이름은 일본에서 처음 만들 때 용골, 용뇌, 녹각상(鹿角霜)이 들어간 분말약(산제)이란 뜻으로 지었는데, 이 성분들은 후에 처방이 바뀌면서 제외되었다.

행인, 길경, 감초, 세네가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기관지의 점액 분비를 높이고 섬모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가래를 제거하며 기침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1회 1스푼(스푼의 윗부분을 평평하게 깎아서), 1일 3회 ~ 6회 물 없이 복용한다.



"용각산은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6] 라는 CF로 유명했으며, 가수 이선희와 남궁옥분-장두석, 박상규, 신효범 등이 이 광고를 거쳤다.

옛날에는 상비약 수준이었다. 용각산 병 내엔 용제를 떠먹기 위한 작은 스푼이 들어서 흔들면 우선 스푼이 내벽에 부딪히는 소리가 난다.

명성이 제법 되는지 현대에도 단종되지 않았고, 약국에 가서 달라고 하면 준다. 약국마다 차이는 조금 있지만, 작은 것은 5천 원, 큰 것은 1만 원 정도 한다.

침과 함께 삼키는 과정에서 가루가 목 점막에 직접 닿아서 효능이 발휘되기 때문에 용각산을 복용한 직후 물을 마시면 효과가 없다.

일본판 용각산의 스푼은 미세한 구멍이 세 개 뚫려 있지만 한국판 용각산은 구멍이 없고 스푼의 크기가 일본판보다 작다.

묘사하기 힘든 기묘한 맛인데, 맛이 연한 은단을 갈아놓은 맛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미세한 가루를 혀 점막에 놓고 침과 함께 삼킨다. 미세한 가루가 코 또는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먹고 나면 약재의 쓴맛과 감초의 씁쓸한 단맛, 박하의 시원함이 입 안에 감돈다.

3. 제품

3.1. 용각산 캔디

용각산에서 나온 목캔디도 있다. 기존 목캔디처럼 목 안이 화해지는 느낌이 적은 편인데도 먹고 있으면 목이 나아지는 느낌이 난다. 국내에서도 보령제약에서 수입해서 판매하고 있다.

3.2. 용각산 쿨

파일:yonggaksnacool.jpg

과거 리뉴얼이 되기 전의 용각산 쿨.

파일:yonggaksancool_Renewal.jpg

현재 리뉴얼된 용각산 쿨.

2003년에 발매된 제품. 커피 믹스처럼 생긴 스틱형 봉지에 담긴 가루 제품이다. 이로써 앞으로는 용각산을 휴대하여 외국에서 약쟁이로 오해받을 일은 없어졌다.

초기 TV광고는 그룹 더더를 기용하여 진행했는데, 메인 카피가 "용각산쿨은 소리가 납니다" 였다. #

일반 용각산보다 한약느낌이 덜하고 단맛이 나는데 과립이 녹으며 시원한 느낌을 준다. 성분은 용각산에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성분 외에 인삼, 아선약, 노스카핀, 향료가 들어간다.

민트향과 복숭아향 두 종류가 있으며, 민트향보다 복숭아향이 더 시원한 느낌이 들고 단맛이 강하다. 초기에는 블루베리향, 커피향도 나왔으나 단종되었지만, 2023년 11월부터 재출시되었다.

파일:ryukakusan_Direct.jpg

일본에서는 용각산 다이렉트라는 이름으로 나오고 있다.


2021년에는 리브 샌드박스 롤팀[7] 선수들이 찍은 병맛 광고가 화제가 되기도 했다.[8]

4. 여담

  • 마약으로 오해하기 쉬운 비주얼이라 외국에서는 웃지 못할 오해가 빚어진다고 한다. 하얀 가루도 그렇지만, 스푼까지 있으니 겉보기에는 영락 없는 코카인이다. 코카인 중독자들이 코카인 전용으로 작은 스푼을 가지고 다니기 때문이다. 해명을 하고 싶어도 알루미늄제 통에는 로마자 알파벳 하나 없이 전부 한자라서 곤란한 상황에 처하기 딱이다. 구글에 영어로 'Ryukakusan'이라고 치면 나온다.
  • 실제로 유명인 중에 이런 오해를 받은 사람도 있었다. 표인봉은 용각산을 소지하고 있다가 마약을 소지한 것으로 오해받아 해외 공항에서 48시간 억류된 적이 있었으며, 김흥국은 미국교포 위문 공연 차 미국의 공항에 도착했다가 소지했던 용각산 때문에 공항 검사대에서 마약 밀수범으로 몰려 현철과 함께 5시간 동안 억류되었다고 한다.
  • 실제 공항 검역에서도 마약종으로 오인되어서 걸리는 경우가 많은 사례가 많다. 일본 현지에서 제조한 용각산이 한국으로 통관 수입을 하게 될 때 용각산의 미세한 백색가루 성분 때문에 마약으로 잘못 판정되기도 하였으며 일본여행을 갔다온 이들 중에도 귀국할 때 공항 검색대에서 일본에서 사온 용각산이 마약종으로 잘못 판정되어서 걸리는 경우가 많았다.
  • SNL 코리아 6기에서는 이렇게 마약으로 오해받기 쉬운 상황을 응용해, 영화 베테랑 패러디했다. 조태오가 복용하던 흰 가루가 마약이 아니라 실은 용각산이었다는 것.
  • 혼다 테쓰야의 소설 <짐승의 성>에서도 형사끼리 용각산을 마약에 빗대는 농담이 나온다.[10]
  • 일본의 닛폰 테레비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 쇼텐>의 스폰서이기도 하며 전신이었던 금요야석 시절부터 스폰서를 맡고 있다.
  • 걸그룹 프로미스나인의 멤버 이서연은 아기 때 별명이 용각산이었다고 한다. 용각산 광고에 나온 CF 문구처럼 흔들어도 소리내지 않고 조용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1] 나레이션을 맡은 성우는 당시 형사 콜롬보 역할로 유명한 성우 최응찬이다. 1984년 작고. [2] 율령국으로는 데와국(出羽国)의 일부였고 오늘날 아키타현 일대. [3] 영주의 주치의. [4] 용각산 포장 상자에 그려진 등나무 문양이 바로 후지이 가문의 가몬. 등나무 문양은 후지와라(藤原) 가문과 공유한다. [5] 감초(甘草)의 감과 길경(桔梗) ( 도라지 뿌리의 한약재명)의 길을 따서 두 약재가 들어간 약 [6] 용각산은 미립자 수준으로 분말을 작게 만들어서, 효과를 높인 제품이다. 분말이 미세하다는 것을 상징하는 표어인 것. 이 말을 기획한 사람은 보령제약 창업주 김승호 회장이라 한다. [7] Liiv SANDBOX의 스폰서 중 하나가 용각산쿨이다. [8] 이 중 한 명 이전 소속팀에서 찍은 광고가 레전드로 남더니 여기서도 맹활약하게 되었다. [9] 한석규가 히로뽕 아니냐며 맛을 보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문제는 안에 들은 것이 필로폰도 용각산도 아닌 쥐약이었다. 이후 계속 복통을 호소하다가 결국 죽는다. [10] 기운이 나는 하얀 가루를 주겠다고 하자 용각산이라며 거절하는 장면이 있다. 마약과 비슷하게 생겼다는 설명도 따로 서술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