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10:54:00

여기 타오르는 빛의 성전이

1. 개요2. 창작 배경3. 전문4. 시 읽기

1. 개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4학년 재학생이자 학생대표였던 정희성 시인이 짓고 관악캠퍼스 기공식에서 발표한 명시이다.

현재까지 서울대학교의 상징이자, 서울대인의 사회적 책무를 잘 나타내는 시로 알려져 있다.

2. 창작 배경

다원화 캠퍼스 통합을 추진하던 서울대학교가 관악 골프장 부지를 캠퍼스용으로 확보하고 관악산 기슭으로 캠퍼스를 이전을 확정한 후 1971년 4월 2일에 관악 종합캠퍼스 기공식을 개최하였으며, 이 시는 바로 이때 정희성 당시 학생대표가 지어 발표한 축시이다.

이후 정희성은 등단해 시인이 되었고, 국어교사 생활을 하였다.

3. 전문

여기 타오르는 빛의 성전이

그 누가 길을 묻거든
눈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
이마가 시원한 봉우리
기슭이마다 어린 예지의 서기가
오랜 주라기(朱羅紀)의 지층을 씻어내린다
헐몬의 이슬이 시온의 산들에 내리듯이
관악의 이마에 흐르는 보배로운 기름이여
영원한 생명의 터전이여

겨레의 염원으로 기약한 이 날
헤어졌던 이마를 비로소 마주대고
여기 새로 땅을 열어
한 얼의 슬기를 불 밝히니
「진리는 나의 빛」
이 불이 밝히는
오 한 세대의 확고한 길을 보아라
온갖 불의와 사악(邪惡)과
어둠의 검은 손이 눈을 가릴 때에도
그 어둠의 정수리를 가르며 빛나던 예지여
역사의 갈피마다 슬기롭던
아 우리 서울대학교

뼈 있는 자의 길을 보아라
뼈 있는 자가 남기는 이념의 단단한 뼈를 보아라
저마다 가슴 깊이 사려둔 이념은
오직 살아 있는 자의 골수에 깃드니
속으로 트이는 이 길을
오 위대한 세대의 확고한 길을 보아라
만년 웅비(雄飛)의 새 터전
이 영봉(靈峰)과 저 기슭에 어린 서기(瑞氣)를
가슴에 서리담은 민족의 대학
불처럼 일어서는 세계의 대학
이 충만한 빛기둥을 보아라
온갖 어두움을 가르며
빛이 빛을 따르고
뼈가 뼈를 따르고
산이 산을 불러 일어서니
또한 타오르는 이 길을
영원한 세대의 확고한 길을 보아라

겨레의 뜻으로 기약한 이 날
누가 조국으로 가는 길을 묻거든
눈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
민족의 위대한 상속자
아 길이 빛날 서울대학교
타오르는 빛의 성전 예 있으니
누가 길을 묻거든
눈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

4. 시 읽기

  • "누가 (조국으로 가는) 길을 묻거든 눈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라는 부분이 가장 유명하며 그 이유는 수미상관의 구조이다. 수미상관이 시의 주제 의식을 부각하고 시에 안정감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덕에 많은 사람들에게 더 잘 기억될 수 있다. 그런데 "누군가 조국의 미래를 묻거든 고개를 들어 관악을 보게 하라"는 변형된 문구로 회자되는 경우가 많다. 이미 조국 땅에 살고 있는데 '조국으로 가는 길'이란 문구의 의미가 잘 와닿지 않으니까 '조국의(이) 가는 길'로 바뀌고 조국이 앞으로 나아갈 길이란 뜻으로 '조국의 미래'로 변용된 듯하고, '눈 들어'보다 '고개를 들어'가 더 익숙한 탓으로 보인다. 이에 더하여 추상적인 개념 때문에도 그럴 수 있겠지만, 실제로 관악캠퍼스의 고도 탓도 있지 않겠냐는 농담도 있다.
  • 시의 제목은 몰라도 눈을 들어 관악을 보게하라는 구절만큼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 정도로 유명하다. 덕분에 여러가지 버전으로 패러디 되기도 한다. 특히 서울대/서울대생이 중심이 된 뭔가 부정적인 사건이 터졌을 때 조롱조로 인용되는 빈도가 잦다.
  • 고려대학교에서는 호상비문이 비슷한 포지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