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9 19:26:28

신태민

신태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TCL_logo_simple.png Türkiye
Championship League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구분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파일:Logo_0_0.png 2013 윈터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rkpassageyeni.png LongB · ReostA · Theokoles · Naru · Holyphoenix · Holythoth
스프링
서머 Fabulous · ReostA · Theokoles · Naru · Holyphoenix · Holythoth
챔피언십
2014 윈터 Fabulous · Crystal Meth · Naru · Holyphoenix · TrieLBaenRe
스프링
서머
챔피언십
파일:400px-TCL_2015_logo.png 2015 윈터 파일:Beşiktaş_Esportslogo_square.png LongB · ReostA · Theokoles · Naru · Holyphoenix · Holythoth
서머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rkpassageyeni.png Elwind · Crystal · Naru · Zeitnot · Rydle · Auspexa
2016 윈터 파일:600px-SuperMassive.png Thaldrin · fabFabulous · Stomaged · Naru · Achuu · Dumbledoge
서머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rkpassageyeni.png Elwind · Xerxe · Caps · Zeitnot · rogu
2017 윈터 파일:600px-SuperMassive.png fabFabulous · Stomaged · Naru · Zeitnot · Dumbledoge
서머 파일:600px-Fenerbahçe_Esports_2021_allmode.png Thaldrin · Move · Frozen · padden · JAPONE
2018 윈터 파일:external/am-a.akamaihd.net/supermassive-esports-57rm1o9y.png fabFabulous · Stomaged · GBM · Zeitnot · SnowFlower
서머
파일:TCL_Small_Logo.png 2019 윈터 파일:1907 Fenerbahçe Esports.png Ruin · Kirei · Bolulu · Hades · Japone
서머 파일:Royal_Youth logo_square.png Armut · Closer · Cyeol · Pilot · Tolerant
2020 윈터 파일:1907 Fenerbahçe Esports.png HiRit · Mojito · Blue · HolyPhoenix · Farfetch
서머 파일:Papara_SuperMassive.png Armut · KaKAO · Bolulu · Zeitnot · SnowFlower
2021 윈터 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 StarScreen · Ferret · Serin · HolyPhoenix · Farfetch
서머 파일:Galatasaray_Esportslogo_square.png Crazy · Mojito · Bolulu · Alive · Zergsting
2022 윈터 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 StarScreen · Ferret · Serin · HolyPhoenix · Farfetch
서머
파일:80px-TCL_2023_lightmode.png 2023 윈터 Destroy · Elramir · yzn · BAO · Parus
서머 Destroy · Elramir · Ferret · yzn · BAO · Parus
2024 윈터 파일:380px-Papara_SuperMassive_2022_lightmode.png ARMUT · SKEANZ · BLUE · LUGER · JACTROLL · Carve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TCL_logo_simple.png Türkiye
Championship League

All-Pro Team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6px"
<rowcolor=#fff> 시즌 대회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2019 윈터 파일:1907_Fenerbahçe_Esports_allmode.png Ruin 파일:1907_Fenerbahçe_Esports_allmode.png Kirei 파일:488px-SuperMassive_2018_Logo.png Frozen 파일:488px-SuperMassive_2018_Logo.png Zeitnot 파일:488px-SuperMassive_2018_Logo.png Wolf
서머 파일:GS_Logo_2021_Worlds.png Ragner 파일:Royal_Youth logo_square.png Closer 파일:Royal_Youth logo_square.png Cyeol 파일:Royal_Youth logo_square.png Pilot 파일:Royal_Youth logo_square.png Tolerant
2020 윈터 파일:1907_Fenerbahçe_Esports_allmode.png HiRit 파일:1907_Fenerbahçe_Esports_allmode.png Mojito 파일:1907_Fenerbahçe_Esports_allmode.png Blue 파일:1907_Fenerbahçe_Esports_allmode.png HolyPhoenix 파일:Papara_SuperMassive.png Japone
서머 파일:Team_Galakticoslogo_square_logo.png Luana 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 Ferret 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 Serin 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 Kaori 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 Pbd
2021 윈터 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 StarScreen 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 Ferret 파일:GS_Logo_2021_Worlds.png Bolulu 파일:Papara_SuperMassive.png Kaori 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 Farfetch
서머 파일:GS_Logo_2021_Worlds.png Crazy 파일:GS_Logo_2021_Worlds.png Mojito 파일:Team_Galakticoslogo_square_logo.png EMENES 파일:NASR_eSportslogo_square.png Black 파일:GS_Logo_2021_Worlds.png Zergsting
2022 윈터 파일:GS_Logo_2021_Worlds.png Crazy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Ferret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Serin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HolyPhoenix 파일:235px-Team_Aurora_2022_allmode.png Pop
서머 파일:NASR_eSportslogo_square.png Bong 파일:NASR_eSportslogo_square.png Chieftain 파일:NASR_eSportslogo_square.png Bolulu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HolyPhoenix 파일:NASR_eSportslogo_square.png Fleshy
2023 윈터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Destroy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Elramir 파일:Futbolist.png Tempt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BAO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Parus
서머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Destroy 파일:Istanbul_Wildcatslogo.png Ferret 파일:NASR_eSportslogo_square.png Whistle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BAO 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 Parus
2024 윈터 파일:Beşiktaş_Esportslogo_square.png Hoon 파일:380px-Papara_SuperMassive_2022_lightmode.png SKEANZ 파일:BoostGate_Esporlogo.png Nakyung 파일:BoostGate_Esporlogo.png Ruep 파일:BoostGate_Esporlogo.png Carry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1A24><tablebgcolor=#131A24> 파일:LFL_logo_white.png La Ligue Française
de League of Legends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시즌 대회 우승팀 선수
2019 스프링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Team-LDLClogo_square.png HiRit · Djoko · Eika · Comp · SteeelBackR
서머
파이널 Sleeping · Djoko · Eika · Comp · SteeelBackR
2020 스프링 파일:GamersOrigin.png Shemek · bluerzor · toucouillee · SMILEY · HuslinbeasT
서머
파이널 파일:Misfits_Premier_logo.png Agresivoo · Kirei · Ronaldo · SAKEN · Jezu · Targamas
2021 스프링 파일:Karmine Corp 로고.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white.svg Adam · Cinkrof · SAKEN · xMatty · Targamas
서머 파일:Misfits_Premier_logo.png Agresivoo · Shlatan · Sertuss · Woolite · Jactroll
파이널
2022 스프링 파일:1200px-LDLC_OL_allmode_full.png Ragner · Yike · Eika · Exakick · Doss
서머
2023 스프링 Kryze · White · Backlund · Jeskla · Zoelys
서머 파일:Karmine Corp 로고.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white.svg Cabochard · Cinkrof · SAKEN · Caliste · Targamas
2024 스프링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Maynter · Lyncas · Vladi · Caliste · Fleshy
}}}}}}}}} ||


파일:LOS_HiRit_2023_Split_1.png
<colbgcolor=#808080><colcolor=#fff> HiRit
신태민 (Shin Tae-min)
출생 1998년 7월 24일 ([age(1998-07-24)]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ID App bug #
포지션
소속 APK Prince
(2017.12 ~ 2018.11.20)
Team LDLC
(2019.03.26 ~ 2019.10.25)
1907 Fenerbahçe Espor
(2019.12.11 ~ 2020.05.22)
Misfits Gaming
(2020.12.10 ~ 2022.05.31)
Los Grandes
(2022.12.15 ~ 2023.05.04)
Dark Passage
(2023.05.20 ~ 2023.09.21)
에이전시 서지 매니지먼트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수상 경력4. 선수 경력5.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포지션은 탑 라이너.

2. 플레이 스타일

신인이던 챌코 시절 약하다고 지적받았던 라인전을 훌륭하게 극복해낸 육각형 탑솔러.

LFL-TCL을 씹어먹던 시절부터 메이저 무대인 LEC에서 자신을 증명한 2021년까지, 넓은 챔프폭과 뛰어난 캐리력으로 상당히 고평가받는 선수이다. 2021 서머 시즌 8개의 챔피언을 기용해 최소 50% 승률을 기록했고 하부리그나 변방리그에서 시즌마다 10개씩 챔피언을 뽑아들었다는 점이 인상적인 부분. 소위 뇌지컬에 몰빵된 선수가 외줄타기 챔프든 메카닉 요구도가 높은 챔프든 특정 챔프를 기피하는 것과 달리, 히릿은 캐리력만 보장된다면 망설이지 않고 꺼내 쓰는 편이다. 그렇다고 2021 서머에 기용한 문도 박사나 세트 같은 탱커류 챔피언들 역시 숙련도 및 운용에 딱히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니다. 왜 LDLC나 페네르바체같이 뭔가 탑 빼면 중위권이 어울리는 로스터로 원맨 캐리롤을 수행하며 우승컵을 수집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라인전 능력은 LFL-TCL 기준으로는 개입 없이 우위를 점할 능력은 넉넉했지만 엄연한 메이저인 LEC에서는 다소 평범한 수준. 스프링에는 미처 개화하지 못했던 미드 - 정글이 수시로 터져서, 서머에는 정글이 미드를 몰아줘서라는 이유를 감안해도 라인전에서 상대를 빈틈없이 압박하는 경향은 조금 약한 편이다. 알파리와 전성기 원더 등 유럽을 지배했던 탑솔러들과 비교하면 분명 라인전에서도 스노우볼링을 잘 굴리는 모습이 드러나기도 하지만 그 일관성이 좀 떨어진다.[1] 이러한 약점 때문에 팀의 전력이 나쁜 2021 스프링에는 집중견제를 받으면 게임에서 쉽게 지워진다는 문제점을 노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탑 자체가 팀 전력이 뒷받침되지 못하면 서폿 못지 않게 캐리가 어려운 포지션이다 보니, 이걸 큰 약점이라 보기는 어렵다. 그나마 안티캐리를 통해 1인분이 보장되는 유형의 탑솔러이자 이번 서머 때 부활한 기인이나 전직 유체탑 출신 알파리, 중국의 브리드와 같은 선수들의 커리어가 꾸준했냐고 묻는다면, 전혀 그렇지 않다고 답할 수 있다.

LCK에 돌아왔을 때의 성공 가능성을 논하기도 하는데, 커리어만 보면 유체용병이지만 국제대회 활약이 상당히 저조했던 익스펙트나 유럽 2부 상위권이었다가 롤챔스 와서 다른 의미의 전설로 자리잡으며 폭망한 트할과 비교하면서 비관하는 여론도 있다. 하지만 최근 LCK에도 기인, 도란, 서밋 정도를 빼면 문무겸비의 빈틈없이 빡빡한 라인전을 구사하는 선수가 드물어졌다 보니, 히릿의 3년치 활약을 마냥 저평가하긴 성급하다. 몇몇 두뇌파 LCK 탑솔러들에 비하면 히릿의 LEC에서 통했던 챔프폭이 훨씬 넓고 경기력의 고점 역시 훨씬 높으며, 이는 리그 수준차(?)로 설명하기는 매우 무리가 따른다. 다만 2022년 기준으로 슬슬 선수로서 황혼기에 접어드는 나이라 할 수 있는 98년생이고, 개인 기량뿐만 아니라 높은 해외 적응력이 큰 장점이다 보니 선수가 매우 강하게 희망하지 않는 이상 굳이 22시즌 LCK에서 뛰는 히릿을 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2022년에는 약간의 라인전 메카닉 저하만으로도 특유의 캐리력 몰빵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폼이 통째로 무너지며[2] 왜 메이저 리그에서의 캐리형 탑솔러가 타 포지션 대비 유독 키우기는 오래 걸리는데 전성기가 끝나기는 또 빨리 끝나는지를 본인의 커리어로 보여주는 다소 아쉬운 메이저 리그에서의 결말을 맞이하였다. 그래도 다들 그놈의 커뮤니티 올프로만 아니었으면 21 서머 올프로 입상은 확정적이었다고 회자되고 있으며, 그 활약으로 LEC 및 ERL 한국 용병 르네상스를 열어젖혔으므로 LFL-TCL-LEC로 이어진 전성기가 짧지만 아름다웠다고 평가할 수 있다.

3. 수상 경력

우승 기록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TCL Winter 우승
Royal Youth 1907 Fenerbahçe Espor Papara SuperMassive

4. 선수 경력

4.1. 2018 시즌

스프링 초반에는 대회에 적응하지 못하다가 EEW전에서 갑자기 포텐이 터졌는지 카밀로 운영, 한타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고 점멸 궁 콤보로 적팀 케이틀린까지 잡아내는 등 마무리까지 큰 활약을 했다. 담원전에서는 너구리를 상대로 밀리기는 했지만 중간에 짤라먹기 등으로 이득을 취하는 등 분전했지만, 한타 화력과 멘탈적 문제로 결국 2-0으로 패했다. 발전은 하고있지만 고쳐야 할 부분이 아직도 남아있는 것 같다.

BTC에게도 2-0으로 패한 후 RGA상대로 탑 라이즈를 꺼냈지만, 결과는 좋지 못했다. 하지만 그 뒤로 사이온과 피오라를 픽하고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며 2-1로 승리했고,마지막 Man of the Match 별을 얻었다.

그러나 플레이오프에서는 다시 대회 초반으로 회귀한 듯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내내 라인전에서 크게 밀리고 터지는 모습을 보였고, 팀도 0-3으로 패배했다.

4.2. 2019 시즌

프랑스 리그 정규시즌 1위였으나 탑미드의 중량감 부족으로 고민하던 LDLC에 뜬금없이 영입되었다. 그리고 결승전에서는 플레이오프 밑바닥 도장깨기를 시전하고 올라온 미스핏츠 프리미어를 상대로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며 팀을 우승시켰다. 무엇보다 MFP의 탑솔러가 LDLC의 전 에이스이자 현 유럽에서 굉장히 유망한 탑신병자 유망주인 Dan Dan이었고, 그 단단을 상대로 3세트 요릭에 말리긴 했지만 1, 2세트 솔킬을 따내거나 4세트에 초반 CS를 압살해버리는 등 더 뛰어난 기량과 넓은 챔프폭을 보여준 것이 포인트. 정글 차이가 크긴 했지만, 그걸 감안해도 판정승을 거뒀다 평할 만한 우수한 경기력이었다.

다만 SKP를 상대로는 만만치 않은 탑솔러인 사크레가 히릿의 앞을 막아섰고, 미드와 봇이 전부 라인전이 밀리면서 1:2로 패배했다. 히릿이 2세트 블라디미르로 사크레 면전에서 하드캐리를 보여줬지만, 1세트는 다른 라인 차례로 밀리는거 조코가 커버하려다 탑이 역으로 터져버렸고 3세트는 반반 가자 다른 2라인이 다 폭발해버렸다.

그럼에도 핀과 단단이 별 활약을 못한 2019 EM에서 탑솔러 투탑을 꼽으라면 사크레와 히릿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4.3. 2020 시즌

임금체불로 악명이 높은 터키지만 그나마 악명이 덜한 페네르바체로 이적했다. 운타라가 LCK 리턴을 하면서 FB가 유구한 탑 몰빵 전략을 유지하기 위해 유럽 2부리그 패왕인 히릿에게로 눈길을 돌린듯.

운타라와는 비교할 필요도 없고, 루인보다 부실한 오히려 운타라 시절에 가까운 로스터로 루인 부럽지 않은 캐리력을 보여주며 우승하였다. 무엇보다 루인은 키레이의 오더 덕분에 터체탑이 될 수 있었지만 히릿은 메카닉도 빼어난데 두뇌가 더 돋보이는, 트할의 상위호환에 가까운 타입이다 보니 리그 수준을 낮췄을 때 1인군단이 되어 팀을 단독으로 이끄는 맹활약을 펼칠 수 있었다.

터키에서 엄청난 활약상을 기록했기에 페네르바체의 재계약 요청은 물론 수많은 팀의 러브콜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서머 시즌 로스터에 합류하지 않고 팀을 나왔다. 다른 팀에 입단도 하지 않고 1시즌 휴식을 취하게 되었는데, 인기가 식지 않았는지 2021 시즌을 앞두고는 LEC와 CBLOL 등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4.4. 2021 시즌

4.4.1.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pring 2021

2020년 12월 11일, LEC의 미스핏츠로 영입되며 2021 시즌 LEC의 유일무이한 한국인 용병이 되었다. 미스핏츠 프리미어에서 콜업되어 올라온 폴란드산 탑라이너 어그레시보와 주전 경쟁을 펼치게 되었다.

LEC 개막일부터 출장하며 주전으로서 자리잡고 있음을 알렸다. 뿐만 아니라 첫 경기였던 프나틱전부터 유체탑의 일원인 브위포를 상대로 우위를 보이며 꽤 좋은 경기력을 선보였다. 이후에 매드 라이온즈전에서도 PoG급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시즌 초반 호평을 듣고 있다.

한국인 탑솔러답게 제이스 같은 초반 스노우볼 픽을 자신있게 고르고 실제로 숙련도도 꽤 괜찮다. 미스핏츠가 타 팀에 비해 탑에 정글 투자가 많긴 하지만 그걸 감안해도 합격점. 문제는 미스핏츠는 물론 G2를 제외한 다른 유럽 팀이 탑 중심의 스플릿 푸쉬를 할 줄을 모르기에 카밀 같이 합류 후 짤라먹기가 되는 챔이 아니면 운영 조합으로 한타만 보다가 쳐발리는 돌대가리 짓을 연발하며 패배를 왕창 쌓고 있다는 것. 특히 미드 - 정글이 심각한 수준이다보니 히릿은 거의 매경기마다 고통받는 포지션이 되어가고 있다. 다만 시즌이 지나면서 본인 역시 라인전 기복이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다소 아쉬운 점.

결국 팀은 승자승에서 SK 게이밍에 밀려 플옵 진출에 실패했다.

4.4.2. League of Legends European Championship Summer 2021

정규시즌의 시작을 3승으로 산뜻하게 시작했다.

그리고 6월 26일 엑셀 이스포츠전에서 그웬을 잡고 초반 라조크의 지원을 받아 골드를 몰아먹은 뒤 후반 한타에서 막강한 존재감을 발휘하며 캐리, 승리의 주역 중 한 명이 되었다.

BB가 키레이에 고통받고 기존 강자들이 실종된 유럽에서 단연 유체탑이라 볼 수 있는 활약으로 미스핏츠를 1라운드 공동 선두로 끌어올렸다. 레이조크가 돌아온 갱메타에서 신나게 초반을 풀면 발이 풀린 탑미드가 캐리하는 패턴. 다만 라인전 체급은 월드클래스에 달하기에는 살짝 아쉽지 않냐는 의견이 있다. 실제로 MAD전 탑바텀 투자가 갈리는 상황에서 조급함으로 뇌절하거나 G2전 원더의 문도픽에 말려 대역전승 전까지 지워지는 등 기복이 존재한다. 굳이 따지자면 백기사나 현재 원더의 상위호환, 전성기 원더보다는 다소 하위호환에 가까운 폼이다.

미스핏츠가 2위와 승차 없는 4위로 시즌을 마감했고 무난한 올프로팀 입상이 예상되고 있다. 오도암네랑 히릿 빼고 유럽 탑솔들이 너무 애매했다...[3]

포스트시즌은 오도암네의 깜짝 탐 켄치 픽에 탈탈 털리며 암울하게 시작하는 듯했지만, 2세트부터 캐리력을 증명하고 패자조에서도 아담을 두들겨패며 클래스를 입증했다. 하지만 인스파이어드의 펜타킬 및 패자조 베테오의 역캐리에 휘말리며 롤드컵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4.5. 2022 시즌

1년 계약이었기에 시즌 종료 후 거취가 불투명했는데, 11월 10일 언론에 따르면 Misfits와 재계약을 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이로써 다음 시즌에도 유럽에서 한국인 탑솔러로서 좋은 활약을 해줄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다만 이후 프나틱이 시즌을 물 말아 먹은 G2의 원더를 영입하면서 아쉬움을 표한 팬들도 간혹 있었다. 시간만 더 지체되었다면 프나틱으로 이적할 수도 있었기 때문. 실제로 본인이 미스피츠와 재계약을 체결한 이후 얼마 안 돼서 프나틱의 오퍼가 왔었다고. 미스피츠의 라인업을 감안해보면 플옵 진출조차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많기에 아쉬울 따름.

다만 정작 시즌 개막 후 2주간 경기력은 그 원더보다 좋지 않다... 결국 2주 2일차에 와우를 못하는 원더에게 서열정리를 당하고 말았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하였다. 순간적인 교전 센스로 한 건 해주는 능력은 작년과 나름 비슷하기 때문에 허리가 잘 풀린 경기에서는 신묘한 세탁에 성공하는데, 그 외에는 전반적인 폼이 21년보다 크게 침체되어 있다. 라인전 딜교환부터 갱회피나 솔킬 허용, 사이드에서의 의문사까지 전년도 오도암네, BB 등과 정규시즌 유체탑을 경합하던 히릿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무난히 못하는 상황. 오히려 01-02-02 트리오가 히릿과 네온을 이끌어주고 있다. 히릿 본인도 마음먹은 만큼 경기력이 나오지 않는지 팀이 승리하고도 자책하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과연 반등에 성공해서 시즌 초의 부진을 일시적인 하락세에 그치게 할 수 있을지가 관건.

3주 2일차 상대 아르무트의 본헤드 플레이 탓도 있긴 하지만, 솔로킬을 딴 후 레넥톤 존재감을 아예 지워버리며 그웬으로 하드캐리하였다.

4주차도 롤러코스터를 타면서 폼을 조금씩 올리고 있다. 대체로 히릿이 망해도 미스핏츠의 베테오의 체급이 양학 정도는 충분히 가능하다면, 강팀을 잡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히릿이 제 몫을 해야 신인듀오와 네온도 솔로라이너들이 끌어줄 때 이에 따라오는 양상이 나온다.

하지만 네온이 각성하고 신인듀오가 성장하는 가운데 히릿의 라인전 약점은 탑라인 경쟁이 느슨한 유럽에서도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다. 라인전 외 능력치가 큰 육각형을 그리던 캐리형 탑솔러지만, 라인전이 무너지자 한순간에 그 육각형이 일그러지면서 폼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불사의 분노로 인해 특이한 솔킬각과 다이브 각이 잡히는 트린다미어를 만나면 안그래도 부진한 라인전이 CS 수급부터 솔킬허용, 다이브갱 허용까지 완전히 무너져버리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 그렇다고 스틸픽을 하지도 못한다. 트린다미어를 밴해도 문제 밴하지 않아도 문제인 실로 난감한 상황.

포스트시즌에는 다행히 트린 너프 덕인지 트린다미어로 밴픽이 망하진 않았는데, 전년도 서머에 만났던 오도암네 상대로 참교육을 당해버렸다. 당시에도 1세트 탑 탐켄치에 크게 말리긴 했지만 이후로는 히릿이 우위를 잡아나갔는데, 이날은 1 2세트 모두 털리고 상대 미드 라센이 카이사로 누워버린 3세트에만 다소 활약했고 4세트는 다시 애매했다. 결국 이날의 워스트였던 슬라탄과 함께 팀의 패자조 행에 크게 기여하고 말았다.

패자조에서는 그래도 아래에서 다 망해버리는 사이 본인도 알파리를 갈아버린 BB 상대로 예상보다 일대일을 선방했고 G2도 대놓고 하체공략에 집중하면서 평소보다 훨씬 잘 성장하였다. 심지어 3세트에는 대 히릿 결전병기로 불리던 트린다미어에게 솔로킬을 따내기도 했다. 물론 본대 합류하다 성장 말려서 중반에 역으로 또 따였다... 문제는 이번 시즌 히릿이 잘 큰 키워준 카밀로 교전에서 딜러 무는 플레이 외에 팀의 승리에 기여하는 방법이 없다시피했다는 데 있었고, 스플릿에 강점이 있는 피오라로 망해버린 본대를 지원할지 우직하게 뚫을지 갈팡질팡하다 그대로 경기가 끝났다.

스프링 종료 시점 히릿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챔프폭이다. 전년도 서머 시즌 18경기 8챔프를 골랐고 8개 챔프 전부 승리를 따냈던 히릿임을 감안하면 경기력의 낙폭을 짐작할 수 있다. 장인픽 카밀 하나만큼은 3승 0패에 경기내용도 괜찮은 편이라 21 히릿 예토전생까지는 아니어도 나름 그에 근접했다. 상성 대비 라인전도 타 챔프 대비 상당히 무난했고, 사이드에서도 우월한 생존력과 치고 빠지기를 바탕으로 활약했으며 교전마다 훌륭하게 뒷라인을 공략했다. 하지만 어떤 다른 챔피언을 잡아도 해당 챔피언의 불안정성이 증폭되어 터져나온 시즌이었다. 카밀이 닥치고 선픽 가능한 1티어도 아니고, 정글러인 슬라탄도 시즌 후반 들어 갈수록 경기력이 나빠졌다 보니 마이너스 시너지도 심각했다.

결국 5월 31일 팀 공식 SNS를 통해 개인 사정으로 인해 계약이 해지되었다는 소식이 나왔다. 팀에서는 히릿을 2군으로 샌드다운하려 했으나, 히릿이 개인 사정이 있어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뜻을 밝혀 계약을 해지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한국에서 솔랭을 돌리다 2023 시즌을 앞두고 브라질의 로스 그란데스로 이적했음을 발표했다. #

5. 여담


  • 익스펙트, 트릭, 이그나, 고릴라, 미키, 모글리 등의 한국인 용병 선수들이 LEC에서 이적하거나, 은퇴하거나, 로스터에서 이탈하면서 속속들이 LEC를 떠나는 와중에 2021 시즌 기준 LEC의 유일한 한국인 선수다. 애슐리 강이 진행하는 코라이즌 e스포츠와의 인터뷰에서도 "LEC 최후의 한국 용병 히릿! 챌코에서 유럽까지"라는 제목으로 인터뷰가 올라왔다. 2022 시즌 말랑이 로그로 이적하면서 유일한 한국인에서는 졸업했다.
  • LEC 경기 생방송이나 위의 인터뷰 영상을 본 한국인 팬들에게 잘생겼다는 얘기를 많이 듣고 있다.
  • 제일 좋아하는 챔피언으로 카밀을 골랐다. 스킬도 다 갖추고 있는 데다 인게임 목소리도 마음에 들어서라고.
  • 닉네임의 유래는 지붕뚫고 하이킥 황정음의 애완견인 히릿에서 따왔다. 프로 데뷔 전에 지붕뚫고 하이킥을 재밌게 보고 있었는데, 데뷔 시기가 다가오자 급하게 생각해서 나왔던 닉네임이 히릿이었다고 한다. #
  • 본인의 메이저 1부리그에서의 최고점은 길어야 2021년 1년 짧게는 2021년 서머 반년으로도 볼 수 있지만, 이 활약으로 2018~2019년의 소위 랜덤 코리안, 혐한메타로 불리던 애매한 한국 용병에 대한 배척 분위기를 타파하고 LEC에 2차 한국 용병 붐이 일면서 그 시초가 된 선수로 다음해의 말랑, 정훈과 함께 추앙받고 있다. 말랑이 첫해 LEC 우승을 했고 정훈이 2년도 채 되지 않아 LCK 리턴을 이뤄냈다면 히릿은 셋 중 1번타자였을 뿐만 아니라 순수하게 ERL 및 마이너 리그에서 하드캐리 -> 현지적응력을 겸비하여 LEC에서도 통한다 라는 공식을 확립하며 한국인 ERL행의 물꼬를 텄다는 상징성도 있다.

[1] 일각에서는 챔프편차가 좀 있다는 의견도 있고, 온라인 대비 오프라인 울렁증이 약간 남은 것 같다거나 다전제 경험이 더 필요하다 등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2] 높게는 2017 서머의 마린, 낮게는 한때 LMS의 마지막 월드클래스 선수로의 도약까지 기대됐었던 PK 등을 비슷한 예시로 들 수 있다. [3] 그나마 이들 외에 제대로 된 캐리력을 갖춘 BB는 전성기 Kold급 탑솔 봉인능력을 갖춘 키레이에 의해 무너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