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6 00:52:33

신비아파트 시리즈/평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신비아파트 시리즈
파일:신비아파트 로고.png
신비아파트 시리즈
작품 일람 · 주제가 · 등장인물 · 등장 귀신 · 단역 귀신 · 설정 · 코믹스
비판 및 문제점 · 평가 · 오류 · 성우진 · 뮤지컬 · 귀신 문서 템플릿

1. 개요2. 장점과 호평
2.1. 스튜디오 바주카의 대작2.2. 호러 소재 사용2.3.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매력적인 귀신/요괴들의 외형과 설정2.4. 매력적인 캐릭터들2.5. 준수한 스토리2.6. 한국 애니계의 연령층 확대 가능성2.7. 성우진2.8. 수준급 퀄리티의 OST
3. 호불호
3.1. 비교적 높은 등신비와 데포르메 관련
4. 비판 및 문제점
4.1. 문서가 분리된 문제점
5. 연관 문서

1. 개요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평가. 실사판에 대한 평가는 기억, 하리 시리즈의 평가 항목에 적을 것.

2. 장점과 호평

전체적으로 적목귀 편, 메두사 편, 사토룡 편을 제외한 평가가 좋은 3기의 모든 편과 1기는 작화와 연출, 스토리가 수준급인 명작으로 평가가 대부분 좋은 편.

2.1. 스튜디오 바주카의 대작

다른 공포, 호러 애니메이션[1]과는 달리, 어린이들 사이에선 뽀롱뽀롱 뽀로로, 로보카 폴리, 라바, 꼬마버스 타요의 명맥을 잇는 캐릭터로 자리잡게 되었다. 만화 뿐만 아니라 극장판, 뮤지컬, 실사판 등 다양한 장르에 도전하고 있다. #
신비아파트 애니를 진행한 CJ E&M 사업부쪽에서는 신비아파트의 IP를 활용해 다각화된 컨텐츠들을 선보여 신비아파트의 인기률을 더 높이 올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7 ( 이전 역사)
문서의 r430 ( 이전 역사)

CJ ENM 인기 콘텐츠 1년새 1300억 매출 비결 원소스 멀티유즈로 수익 극대화 하여 라이선스·기획상품 등을 통해 1159억을 벌어들였다.[2]

2.2. 호러 소재 사용

기존 국내 장편 애니에 거의 없는 호러 소재를 사용한 것에 대해 호평받았다.

2.3.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매력적인 귀신/요괴들의 외형과 설정

약간 고리타분하거나 해당 연령층에겐 잘 다가오지 않는 고전 귀신 관련 소재들을 널리 알리게 하여 인기를 끄는 요인이 되었으며 오리지널 귀신들도 저마다의 사연이나 외형, 설정들이 인기를 끄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3]

이 애니메이션을 통해 대한민국의 사회 문제를 일부 다루며 생각할 기회를 준 점도 있다.

특히 그슨새의 제주도의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악귀 그슨새의 외형과 말투[4]를 잘 재현해낸 것과 지하국대적의 외형, 시두스의 사연 등이 좋은 평가를 얻기도 하였다.

2.4. 매력적인 캐릭터들

주인공인 구하리는 물론이고 김현우 이가은, 최강림, 유지미, 구인남 등등 주, 조연할 것 없이 매력적인 캐릭터들이 많은 것 역시 강점으로 꼽힌다. 매력적인 캐릭터들 덕분에 웬만한 캐릭터들에 빠들이 많이 생긴 편. 다만 구두리 같은 경우는 뚱뚱한 외모 때문인지 팬들에게 큰 인기가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2.5. 준수한 스토리

공포와 판타지를 적절하게 섞었으며 웬만한 공포 애니 뺨치는 귀신과 악귀들의 모습이나 강림의 정체 같은 떡밥, 그리고 감동이 있는 귀신들의 사연 등 단순한 아동용 애니메이션의 범주를 넘어섰다는 평가다. 서술 트릭도 시즌 3 이후부터 상당히 발전한 모습을 보인다.

2.6. 한국 애니계의 연령층 확대 가능성

그동안 한국 애니메이션들은 전연령을 겨냥한 라바 등을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뽀롱뽀롱 뽀로로 꼬마버스 타요같은 미취학 아동 대상 작품들은 대다수가 흥행에 성공했고 변신 자동차 또봇의 흥행 이후로 완구를 기반으로한 판촉 애니메이션들이 강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대세가 되었지만 그 이상대 연령층의 경우 바이클론즈 로보텍스가 흥행에 실패해서 한국 애니에 있어 미지의 영역으로 여겨졌다. 그렇지만 신비아파트는 이 연령대의 공략에 성공해서 한국 애니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신비아파트의 팬덤은 역대 한국 애니 팬덤중에 가장 연령대면에서 스펙트럼이 넓은 팬덤이 주요 특징이다.

작품의 주로 대상 연령대인 12세 이상 어린이층들이 대부분이지만 동시에 고스트볼, 퇴마검, 클리프카드 등의 완구들의 대상 연령에 따른 미취학 유아~아동층과 미형 캐릭터 디자인, 커플링 등으로 유입된 그 이상 연령대인 청소년, 성인 팬덤층으로도 연령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완구가 주도하던 2010년대 한국 애니메이션의 패러다임과 사뭇 다른 방식으로 성공한 사례라는 평가도 있다. 완구가 먼저 있고 애니메이션이 따라오는 방식에서 벗어나 캐릭터와 타이틀에 주도권이 좀 더 주어진 미디어믹스와 기획을 시도하면서도 상업적인 성공도 달성했다는 평.

2.7.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비아파트 시리즈/성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성우진도 굉장히 화려한 편인데, 특히 주역, 귀신들 쪽에서 굉장히 화려한 편이다. 이러한 성우진은 한국 애니메이션에서 거의 드문 조합이다.[5] 게스트 성우들을 살펴보면 이렇다.
역대 게스트 성우진[6][7]
{{{#!folding [ CJ ENM 성우 ]
* 1기 : 김새해, 임윤선, 한채언, 김선혜, 소정환, 정명준, 이호산, 김명준, 시영준, 이주창
* 2기 : 이자명, 김보영, 정혜원, 김정훈, 김기흥, 한신, 박리나, 김영찬, 현경수
* 3기 : 이호산, 이새벽, 홍범기, 김영찬, 소정환, 방연지, 안영미, 박성태, 손수호, 정유정, 최준영, 임윤선, 이계윤, 김지율, 정명준, 김현심, 김신우, 정유미, 김보영, 김새해, 김기흥, 정혜옥
* 4기 : 김가령, 이상호, 김율, 유영, 박성태, 박만영, 정승욱, 강새봄, 김영찬, 김다올, 류점희, 김나연, 이호산, 권성혁, 김현심, 강성우
* 5기 : 김보영, 이계윤, 한채언, 임윤선, 한신, 정선혜, 박리나, 방연지, 김기흥, 여윤미, 강호철, 홍승효, 김광국, 강새봄
* 극장판 / 특별판
* 극장판 1기 : 김율
* 극장판 3기 : 김율, 박성태
* 특별판 2기 : 김기흥, 손종환
* 단편 : 정유미, 김정훈, 현경수}}}
{{{#!folding [ 외부 성우 ]
* 1기 : 장호비, 황윤걸, 최문자, 안경진, 김기현, 전태열, 장민혁, 유강진
* 2기 : 사문영, 이종혁, 박영화, 송준석, 조민수, 이선주, 김하루, 유해무, 민응식
* 3기 : 김서영, 최한, 권창욱, 이종혁, 김현수, 윤동기, 이종구, 손정아, 이장원
* 4기 : 최낙윤, 원호섭, 이인성, 남도형, 심승한
* 5기 : 류승곤, 엄상현, 최한, 석승훈, 안장혁, 이규창, 김보민, 곽윤상, 박민기, 은영선, 신경선, 강구한
* 극장판 / 특별판
* 극장판 1기 : 민응식
* 극장판 2기 : 이현
* 극장판 3기 : 김현수
* 특별판 1기 : 김기현, 이현, 전태열
* 특별판 2기 : 장광
* 단편 : 이미자}}}
위에 나온 것처럼 각종 신인과 베테랑, 원로 성우들을 골고루 캐스팅해 그 세력을 더욱 확장시키고 있다. 때문에 현세대의 성덕들에게 성우계의 어벤져스로도 불리고 있다.[8] 하긴 이 작품이 돌PD가 만든 작품이다 보니 가능했던 것이다.

2.8. 수준급 퀄리티의 OST

신비아파트 시리즈는 1기인 고스트볼의 비밀 편 부터 오프닝/엔딩은 물론 삽입곡들도 시청자들과 팬들의 평가가 좋은 편이다. 정준영[9], 조민욱, 오마이걸, 온앤오프, 이진아, Raon, TULA, 러블리즈, 윤도현, 드림노트, J.Fla, Kep1er, TO1, 송유진 등 여러 유명 가수들을 섭외할 정도로 노래에 은근히 신경을 많이 쓴 편.

특히 살음귀 에피소드에 나온 ' 보여요 난....'[10]과 같은 캐릭터 삽입곡이 좋은 평가를 받았고, 3기의 오프닝인 Higher (비천강림)이 공개되었는데, 역시나 호평 일색. 애니 오프닝의 전설이 돌아왔기에 다들 한 번 씩은 들어보는 듯. 후렴구로 넘어가기 전 쭉 올라가는 고음이 마치 탄산음료를 들이킨 것 마냥 시원하다. 그리고 이후 4기의 오프닝인 운명의 시간이 공개되었는데 무려 가수가 한국의 대표적인 로큰롤 가수 윤도현인지라 신비아파트 TVA 시리즈 오프닝 중 역대급 명곡으로 호평받고 있다.

또한 본편이나, 스핀오프의 장면 내 삽입되는 배경 음악의 경우 상황의 분위기와 매치되지 않는 경우가 거의 없다시피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 호불호

3.1. 비교적 높은 등신비와 데포르메 관련

캐릭터 디자인이나 목소리가 어린이라기보다는 고등학생이나 대학생 같다는 말들이 있다. 다시 말해 설정상으로는 초등학생인데 작중 묘사는 그냥 덩치만 작은 고등학생~성인. 남녀 공통적으로 어린이라기엔 다리가 길고 등신대가 높으며, 남캐들은 각지고 샤프한 얼굴에 민소매 같은 걸 입어서 노출될 경우 팔과 어깨 부위에 근육이 상당량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다른 주조연들보다 어린 두리를 제외하면 모든 인간 남성 캐릭터들 전부 남자 성우가 맡았다.[11] 여캐인 하리도 초등학생이라기엔 하반신 부위의 근육들이 이미 성장한 성인의 몸처럼 제 모양을 갖추고 있다. 현실에선 중1 때에도 어린이 티를 다 못 벗는 남자애들이 적지 않은데, 얘네들은 아직 초5이다. 그나마 하리, 가은은 그럭저럭 어울린다는 반응이나,[12] 목소리 때문에 현우나 강림을 포함한 다른 엑스트라 남학생들이 호불호가 매우 갈리고 있다. 다만 시즌 4에서 귀도 현이 다른 캐릭터들보다 성숙한 디자인으로 등장하면서, 타 캐릭터들의 어린 나잇대가 비교적 강조되고 있다.[13]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런 영향으로 주로 연배가 다소 있어 보이는 캐릭터처럼 다뤄지기도 한다.

또 하리, 두리, 현우는 만화식 비현실적 눈인 반면, 강림과 가은의 경우는 비교적 현실적인 눈으로 그려졌다. 사실 파일럿과 초기 시즌에 비해 그림체가 바뀐 점도 있지만

4. 비판 및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비아파트 시리즈/비판 및 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문서가 길어서 분리되었다.

4.1. 문서가 분리된 문제점

5. 연관 문서


[1] 국내에 소개된 외국제 공포, 호러 애니인 괴담 레스토랑 학교괴담, 요괴워치 섀도사이드는 모두 후속작 없이 마무리되었다. [2] 관련 기사 : 애니 '신비아파트' 시즌2 열풍…출판·뮤지컬·드라마도 대박 [3] 유튜브에서 한국 요괴에 대한 영상의 댓글을 보면 신비아파트를 언급하는 댓글들이 있다. [4] 제주도 방언. [5] 이러한 성우진을 가지고 있는 한국 애니메이션은 신비아파트 시리즈 외에도 헬로 카봇, 메카드 시리즈, 캐치! 티니핑 시리즈 등이 있다. [6] 다만 주/조역, 전속 성우, 다음 작품에서 소환귀/합체 귀신/속성귀로 재출연한 경우는 제외. [7] 에피소드별 정렬, 이 시리즈를 통해 투니버스에 처음으로 자체 출연한 성우는 볼드체, 전작에 출연한 경력이 있을 경우 밑줄. [8] 허나 최근 들어 자사 성우의 출연도가 높아져 외부 성우 출연도가 줄어들게 되었다. 특히 어둠의 퇴마사의 경우 외부 게스트 성우 1명만 부를 정도로 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5기에서 외부 성우 기용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9] 1기인 고스트볼의 비밀 오프닝을 불렀었지만 두 가지, 대형 사건에 연루되어 이후 교체되었다. [10] 성우인 사문영이 직접 불렀다. [11] 최강림의 경우 시즌 1 때는 연기톤이 10대 중후반의 청소년 톤이었지만 시즌 2부터는 완전히 성인 톤으로 연기 방향을 바꿨다. [12] 그러나 이들도 다른 아동 애니였으면 애어른 취급 받았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13] 물론 귀도 현도 16세, 즉 중학생으로 고등학생에 비하면 어린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