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16:21:36

시온(킹덤 하츠)

시온(킹덤하츠)에서 넘어옴
XIII 기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No.I
젬나스
No.II
시그바르
No.III
잘딘
No.IV
빅센
No.V
렉세우스
No.VI
젝시온
No.VII
사이크스
No.VIII
액셀
No.IX
데믹스
No.X
룩소드
No.XI
말루샤
No.XII
라크신
No.XIII
록서스
No.XIV
시온
}}} ||

파일:Kingdom_Hearts_logo.png
킹덤 하츠 시리즈의 주인공
{{{#!folding 1편 : 다크 시커 (펼치기) χ 플레이어 에페메라 스쿨드
벤투스 브레인 라리엄
DR 제아노트 에라쿼스
우르드 브라기 헤르모드 보르 발두르
BbS 벤투스 테라 아쿠아
I 소라 리쿠
☆ : CoM 한정
카이리
CoM 나미네
358/2 록서스 액셀 시온
II 소라 록서스 카이리 나미네
coded 데이터 소라 데이터 록서스 데이터 나미네
3D 소라 리쿠
III 소라 리쿠 카이리
벤투스 테라 아쿠아
록서스 액셀 시온
시계열 순, ☆ :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 : 프롤로그 한정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
2편 : 로스트 마스터 (펼치기)
||<tablebgcolor=white,#191919><tablewidth=750><width=10%> MoM||<width=45%> 카이리 ||<width=45%> 리쿠 ||
IV 소라 스트렐리치아
시계열 순, ☆ :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
시온
Xion
シオン
파일:attachment/AW_KH_XION_03.gif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우치다 리사[1]
파일:미국 국기.svg 앨리슨 스토너[2] - Days, KH3
헤이든 파네티어 - BBS, 3D
소속 XIII기관
원작 킹덤하츠 오리지널
1. 개요2. 소개
2.1. 정체2.2. 외모
3. 시리즈별 행적4. 여담

[clearfix]

1. 개요

킹덤 하츠 시리즈의 등장인물.

XIII기관의 14번째 멤버. 기관원 중 유일하게 이명이 없다.
속성은 록서스와 마찬가지로 빛. 수하 노바디는 없다.

2. 소개

록서스가 기관에 입단한 후 7일 후에 입단한 14번째 멤버이자 XIII기관이 보유한 두 번째 키블레이드 사용자. 후드로 항상 얼굴을 가리고 있는데다 말 수가 없어 조용한 인상을 주었지만 록서스와 같이 임무를 받으면서 이름을 부르고, 얼굴을 드러내는데 드러난 얼굴은 검은머리 숏컷의 귀여운 여자아이었다.

록서스와 공통점이 많다. 과거를 기억하지 못한다는 점, 겉보기에 나잇대가 비슷하다는 점, 키블레이드 사용 가능 등등... 그래서인지 액셀 망각의 성으로 파견나간 것으로 외로워하던 록서스와 금방 친구가 되었고, 나중에 액셀이 돌아오면서 셋이서 몰려다니며 친분을 다지게 된다. 셋이서 항상 트와일라잇 타운의 센트럴 스테이션 꼭대기에서 씨 솔트 아이스크림을 먹는 것이 일상이 되었으며, 셋 다 그 시간을 가장 소중하게 여기게 되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드러나는 잔인한 진실에 서서히 셋의 관계가 틀어지게 된다.

첫 등장이자 비중있게 등장하는 작품은 킹덤 하츠 358/2 Days 뿐으로, 전작에서 언급도 없이 갑툭튀한 인물이지만 스토리상 크게 문제가 없는데다가 특유의 안타까운 사정으로 인해 상당한 인기를 보유하게 되었다. 사실 설정 땜빵으로 급조한 캐릭터는 아니고, KH2 제작 당시 록서스의 설정을 짤 때 '록서스가 기관을 나온건 또래의 여자아이 때문'이라는 구상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이름인 시온은 기관 특유의 작명법에 따라 No.i의 아나그램 + X 의 규칙이 적용되고 있는데, 여기서 i는 허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국화과 여러해살이 풀인 개미취(자원, 紫苑) 참고에서도 유래를 찾을 수 있는데 꽃말은 '추억', '너를 잊지 않는 마음'. 또 시온을 한자로 표기하면 '潮音'으로 쓸 수도 있는데, 카이리, 나미네와 마찬가지로 '바다'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캐릭터 콘셉트은 허무하면서도 맑은 소녀.

2.1. 정체

아래의 내용부터는 킹덤 하츠 358/2 Days의 전반적인 핵심 스포일러이기 때문에 만약 킹덤 하츠 358/2 Days를 아직 플레이하지 않았거나 클리어를 하지 않았다면 스크롤을 내려서 읽지 않기를 권한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시온은 를 비추는 거울이야.
거울에 비치는 네가 네가 아니게 된 거야.

- 액셀, 진실을 추궁하는 록서스에게

사실 시온은 노바디가 아니라 XIII기관이 오래 전부터 연구하고 있던 '레플리카 계획'의 완성체로, '능력을 카피하는 능력을 가진 인형'이다. 제작자는 기관의 No.IV 빅센. 그가 망각의 성에 파견나가기 전 만들어두었던 인형들 중 가장 높은 완성도의 소체라고 한다. 참고로 시온만큼은 아니어도 완성도가 높은 소체 하나를 망각의 성으로 데려갔는데, 그게 바로 리쿠 레플리카.

XIII기관에서는 키블레이드의 능력을 가진 록서스의 입단을 계기로 '복제 인형'의 능력을 이용하면 록서스의 키블레이드 능력도 카피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했다. 그 때문에 시온을 14번째 멤버라고 소개시키고 록서스의 곁에 두면서 록서스의 능력을 복제하게 만들었고, 시온은 훌륭히 기대를 충족해 키블레이드 소환에 성공했다. 근데 기관도 생각치도 못한 변수가 발생했으니, 시온이 록서스를 통해 록서스의 본체인 소라의 기억을 흡수하면서 자아를 얻어버린 것이다.

시온은 빈 껍데기 인형에 '소라에게서 빠져나온 기억 조각'이 덮어씌워진 것이다. 시온의 소체는 '능력을 흡수하는 인형'이지만 시온이라는 인격을 구성하는건 소라의 기억 그 자체. 시온의 모든 기억과 관계성은 어디까지나 흡수한 타인의 기억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을 뿐, '시온' 본인의 기억은 하나도 없다. 때문에 자신을 이루고 있던 소라의 기억을 돌려줄 경우 남아있는 '시온'의 기억이 없기 때문에 시온과 주변인들의 관계성마저 사라지고, 모두의 기억에서 시온의 존재가 사라지는 복잡한 설정이 된다.

시온의 흡수력은 점점 강해져 처음엔 록서스에게 가 있던 소라의 '기억조각'을 흡수하던 것에서, 록서스와 이어진 본체인 소라의 기억마저 흡수하기에 이르게 된다. 이것은 당시 나미네에 의해 소라의 기억이 조각조각난 상태였기 때문에 벌어진, 우연에 우연이 겹친 결과였고 시온의 존재를 '예비'로만 계획하고 있던 기관에 있어선 최고의 호재였다. 시온이 소라의 기억을 완전히 흡수해버리면 기관에게 있어 위험 요소인 키블레이드의 용사가 영영 깨어나지 못하게 만드는 동시에 소라가 가진 키블레이드의 힘을 빼앗아 기관이 이용하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기관의 14번째 멤버라는 위치였지만, 사실 기관원 취급을 받지 못했다. 시온의 정체를 알고 있던 XIII기관 일부 멤버들에게선 쓸모있는 도구 이상의 인식은 없었고, 특히 사이크스에게선 '실패작' 같은 폭언을 듣기도 했다. 애초에 시온이라는 이름이 허수를 뜻하는 No.i 에서 유래된 것, 기관이 모이는 원탁의 방의 의자가 13개에서 더 늘어나지 않았던 것, 기관의 이름이 'XIII기관' 그대로 남아있던 것 등등, 시온은 단 한 번도 기관원으로서 인정받지 못했다.

시그바르는 시온을 푸쨩(ぷーちゃん)이라고 불렀는데 이건 프랑스어 poupée를 의미한다. 뜻은 '인형'. 영어판에서는 더 직접적으로 "Poppet"이라 부른다. Puppet(인형)의 옛날 철자이지만, 어린 아이를 사랑스럽게 부를 때 쓰는 말이기도 하다. 록서스를 "Kiddo"로 부르는 태도와 비슷해 작중 인물들은 '인형'을 뜻한다는 것을 눈치채지 못한다.

2.2. 외모

파일:attachment/AW_KH_XION_00.gif

15살 즈음의 카이리와 똑같이 생겼다. 따라서 나미네와도 얼굴이 똑같다. 머리스타일은 카이리가 14세 때 하던 숏컷과 같지만 앞 가르마가 반대 반향이고 머리색이 검은색으로 틀리다. 눈은 카이리와 똑같은 파란색.

그러나 이건 시온이 흡수한 기억 중 소라의 기억과 관계있는 자들에게 보이는 모습일 뿐이다. 시온의 얼굴은 관계성이 없는 사람들에겐 후드에 가려져 보이지 않지만, 시온과 관계가 깊어지거나 시온이 흡수한 기억과 인연이 있는 사람에겐 기억과 관련된 얼굴로 보인다. 록서스 액셀도 초기엔 시온의 얼굴이 보이지 않았지만 록서스는 임무를 같이 해나가면서, 액셀은 함께 아이스크림을 먹는 과정에서 얼굴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리쿠 나미네에게는 처음부터 카이리의 얼굴로 보였다. 그러나 시온이 소라의 기억을 점차 흡수하여 인형으로서 완성에 이를 즈음엔 소라의 얼굴로 보여지게 된다.

젬나스 시그바르는 시온이 흡수한 기억 중 벤투스와의 관계성이 짙었던 까닭에 시온의 얼굴이 벤투스로 보였다. 시그바르는 자신을 노려보는 시온을 과거의 벤투스와 겹쳐보고 "왜 항상 그런 눈으로 날 노려보지?"라고 말하기도.[3] 또 시온을 어디까지나 인형으로만 보던 사이크스에겐 마지막까지 시온의 얼굴이 보이지 않았다.

시온이 카이리와 똑같은 얼굴을 하게 된건 나미네가 소라의 기억 조작을 했을 때 '소라가 가진 카이리와의 추억'을 위주로 조작했고, 그 기억이 시온에게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흡수한 기억들 중 카이리와 관련된 기억의 비중이 컸던 까닭에 '소라가 기억하는 카이리의 모습'이 되어버린 것. 정작 카이리 본인과 시온은 별 관계가 없다.

3. 시리즈별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온(킹덤 하츠)/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시리즈의 주인공들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평상복 디자인이 없었던 캐릭터였다. 그에 반해 시온은 소라 일행이나 리아(액셀)처럼 한 때 사람이었던 시절도 없었고, 록서스나 나미네처럼 우연으로 태어난 노바디도 아닌, 처음부터 13 기관 계획적으로 만들어낸 인조 인간이었다. 그러니 맨날 시꺼먼 유니폼(?)이나 입고 다니는 단벌신사/숙녀 집단인 13 기관 멤버로서 다른 옷을 입어 볼 만한 계기가 전혀 없었던 것.

스포일러 [펼치기 / 접기]
|| 파일:시온 아이스크림.png || 파일:시온 전신.png || 파일:시온 3D 모델.png ||
트와일라잇 타운의 시계탑에서 친구들과 시 솔트 아이스크림을 먹는 시온. 신발까지 나온 전신 모델[4] 유저가 왼쪽의 컷신을 바탕으로 제작한 3D 모델[5][6]
첫 등장( 2009년) 이후 10년이 지난 후에야( 2019년) 엔딩 컷씬에서 처음으로 평상복 디자인이 공개되었다. 그동안 입고 다녔던 옷의 기본적인 색과 실루엣을 바탕으로, 상의는 민소매로, 하의는 회색 미니스커트로 리파인된 모습. 노무라 테츠야의 취향인 벨트는 덤.

이 옷은 시온이 태어난 후 13기관 유니폼 겸 작업복을 제외하고, 처음으로 입은 자기 고유의 디자인을 가진 옷이다. 때문에 시온이 기관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용당하는 꼭두각시를 졸업하여, 비로소 한 명의 독립된 자아정체성을 가진 인격체로 거듭났다는 것을 상징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 의상의 공식적인 3D모델링은 게임 내에서 추출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킹덤 하츠 3 게임 본편에서는 시온이 이전과 마찬가지로 검은 코트만을 입고 나오고, 저 평상복은 상술했듯 오직 엔딩 컷씬에서만 나오는데, 하필 엔딩 컷씬이 사전 렌더링 컷씬으로 만들어진 탓에 동영상 파일로만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현재 인터넷에 존재하는 시온의 평상복 3D모델링은, 킹덤 하츠 3 엔딩 컷씬 스크린샷을 제외하곤 전부 3D 그래픽을 잘 다루는 유저들이 직접 만든 것들이다.



[1] 카이리의 성우다. [2] 피니와 퍼브에서 이사벨라 가르시아-사피로 역을 맡았다. [3] 당시엔 KHBbS 발매 전이었기 때문에 벤투스의 존재를 몰랐던 팬들은 이 발언이 록서스에 대한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BbS 발매 후 벤투스에 대한 것이었음이 판명되었다. [4] 오른쪽에 빼꼼 튀어나온 시 솔트 아이스크림과 신발은 올레트의 것. [5] 출처 [6] 하술하듯 이 복장의 정식 3D모델링 파일이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았고, 컷씬의 해상도( 1080p)가 그렇게 높지 못한 탓에 신발에 붙어 있는 은색 장식물과 신발끈 매듭의 정확한 형태는 현재로서 불명이다. 때문에 이 유저 3D모델에서도 신발 부분의 디테일이 다소 떨어지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