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7 15:22:26

시어도어 스터전

<rowcolor=#fff> 시애틀 대중문화박물관(MoPOP) 선정
SF & 판타지 명예의 전당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1996년 A. E. 밴보트 · 잭 윌리엄슨 · 존 W. 캠벨 · 휴고 건즈백
1997년 안드레 노튼 · 아서 C. 클라크 · 아이작 아시모프 · 허버트 조지 웰스
1998년 프레데릭 폴 · 할 클레멘트 · 로버트 A. 하인라인 · C. L. 무어
1999년 레이 브래드버리 · 로버트 실버버그 · A. 메리트 · 쥘 베른
2000년 고든 R. 딕슨 · 폴 앤더슨 · 시어도어 스터전 · 에릭 프랭크 러셀
2001년 잭 밴스 · 어슐러 K. 르 귄 · 프리츠 라이버 · 알프리드 베스터
2002년 마이클 무어콕 · 새뮤얼 딜레이니 · 도널드 월하임 · 제임스 블리시
2003년 케이트 윌헬름 · 윌슨 터커 ·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 · 데이먼 나이트
2004년 해리 해리슨 · 브라이언 W. 올디스 · 에드워드 E. 스미스 · 메리 셸리
2005년 스티븐 스필버그 · 레이 해리하우젠 · 필립 K. 딕 · 체슬리 본스텔
2006년 조지 루카스 · 앤 맥카프리 · 프랭크 켈리 프리스 · 프랭크 허버트
2007년 진 울프 · 리들리 스콧 · 진 로덴베리 · 에드 엠슈윌러
2008년 윌리엄 깁슨 · 이안 밸런타인 & 베티 밸런타인 · 리처드 파워스 · 로드 설링
2009년 프랭크 R. 폴 · 에드워드 L. 퍼먼 · 마이클 웰란 · 코니 윌리스
2010년 더글라스 트럼불 · 옥타비아 E. 버틀러 · 리처드 매드슨 · 로저 젤라즈니
2011년 할란 엘리슨 · 가드너 도조와 · 빈센트 디 페이트 · 장 앙리 가스통 지로
2012년 조 홀드먼 · 버질 핀레이 ·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 · 제임스 카메론
2013년 H. R. 기거 · J. R. R. 톨킨 · 주디스 메릴 · 조애나 러스 · 데이비드 보위
2014년 프랭크 프라제타 · 올라프 스태플든 · 미야자키 하야오 · 리 브래킷 · 스탠리 큐브릭
2015년 커트 보니것 · 조르주 멜리에스 · 잭 고한 · 제임스 E. 건 · 존 쇤헤르
2016년 테리 프래쳇 · 더글러스 애덤스 · 스타트렉 · 블레이드 러너
20주년 기념 마거릿 애트우드 · 키스 데이비드 · 기예르모 델 토로 · 테리 길리엄 · 짐 헨슨 · 잭 커비 · 매들렌 렝글 · C. S. 루이스 ·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 레너드 니모이 · 조지 오웰 · 타카하시 루미코 · 존 윌리엄스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던전 앤 드래곤 · 매트릭스 · 미스트 · 프린세스 브라이드 · 원더우먼 · 엑스파일
2017년 J. K. 롤링 · 스탠 리 · 젤다의 전설 ·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2018년 닐 게이먼 · 본다 N. 매킨타이어 · 닥터후 · 매직 더 개더링
2019년 테드 창 · D. C. 폰타나 · 스타워즈 · 왓치맨
2021년 니셸 니콜스 · 시고니 위버 · 고지라 · 달 세계 여행
2023년 존 카펜터 · N. K. 제미신 · · 록키 호러 픽쳐 쇼 }}} }}}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시어도어 해밀턴 스터전
Theodore Hamilton Sturgeon
파일:시어도어 스터전.jpg
출생 1918년 2월 26일
미국 뉴욕시 스태튼 아일랜드
사망 1985년 5월 8일 (향년 67세)
미국 오리건 유진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직업 소설가, 평론가
1. 개요2. 스터전의 법칙3. 작품4. 수상5. 여담6.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시어도어 스터전은 미국 소설가 사이언스 픽션 판타지, 호러 등 여러 장르의 소설을 썼고, 그 외에도 TV 시리즈 스타트렉의 각본이나 평론 등을 쓰기도 했다. 이름인 스터전(Sturgeon)이 철갑상어라는 뜻이라 필명으로 오해받기도 하지만 본명이다. 원래는 "에드워드 해밀턴 월도(Edward Hamilton Waldo)"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지만, 어머니가 이혼 후 윌리엄 스터전(William Sturgeon)과 재혼하면서 개명했다.

학창시절에는 기계체조에 재능이 있어 체육교사가 되기를 꿈꿨지만 류마티스열 때문에 심장이 약해져 포기했다. 이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다 1935년부터 화물선 선원이 되었는데, 선원생활 중인 1937년에 단편소설 "피부가 벗겨지는 바보"(Derm Fool)를 처음으로 맥클루어 신디케이트 신문사에 판매했다.[1] 이에 자신감을 얻은 스터전은 1939년 뉴욕으로 이주해 전업작가가 된다.

뉴욕으로 이주한 뒤 첫 번째 SF 소설인 단편 "에테르 호흡자"(Ether Breather)를 잡지 어스타운딩 1939년 9월호에 간행했고, 편집자 존 W. 캠벨의 호의로 잡지 언노운과 어스타운딩에 활발하게 작품을 올리며 A. E. 밴보트, 아이작 아시모프, 로버트 A. 하인라인 등과 함께 SF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작가가 되었다. 1940년에는 가족들과 함께 자메이카로 가서 친척 소유의 호텔을 운영했지만 이듬해 태평양 전쟁이 발발해 운영이 어려워지자 미 육군의 하청근로자가 되어 푸에르토리코 등에서 중장비 기사로 일했다. 스터전은 이때 불도저에 푹 빠졌다고 하는데, 이후 " 킬도저!" 같이 불도저를 소재로 한 작품을 여럿 쓰게 된다.

전쟁이 끝나고 미국에 돌아와서는 카피라이터, 출판사 직원, 저작권 에이전트 등으로 일하면서 소설도 꾸준히 집필했다. 왕성한 필력을 자랑하던 1940년대에서 50년대 이후로는 SF 작품 수는 줄었지만 추리작가 엘러리 퀸 대필로 쓴 장편소설 저편의 선수(The Player on the Other Side)[2]와 놋쇠의 집(The House of Brass) 등 다른 장르의 작품을 쓰거나 스타트렉 등 TV 시리즈의 각본 등을 썼다. 이후로도 1970년 단편 "느린 조각"(Slow Sculpture)으로 휴고상 네뷸러상을 동시에 수상하면서 건재함을 과시했지만, 창작 불능(라이터스 블록) 상태가 빈번해지면서 많은 작품을 내지 못했고 1985년 병원에서 폐섬유증으로 사망했다.

대중적인 인기를 가진 작가는 아니었지만, 줄거리와 아이디어로 승부를 보던 동시대의 다른 작가들과는 달리 작품 속 인물들의 인간성에 집중하는 스터전의 방식은 할란 엘리슨이나 새뮤얼 딜레이니, 레이 브래드버리, 커트 보니것 같은 후배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2. 스터전의 법칙

Sturgeon's law
It is in this vein that I repeat Sturgeon's Revelation, which was wrung out of me after twenty years of wearying defense of science fiction against the attacks of people who used the worst examples of the field for ammunition, and whose conclusion was that ninety percent of s f is crud. The Revelation: Ninety percent of everything is crud.
이러한 맥락에서 나는, 지난 20년간 최악의 사례들을 공격수단으로 삼으며 SF의 90%가 쓰레기라고 결론내린 사람들로부터 지겹도록 SF를 방어한 끝에 스터전의 계시를 되풀이하고 있다. 모든 것의 90%는 쓰레기다.
On Hand: A Book ( 벤처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8년 3월호)
사이언스 픽션의 90%는 쓰레기라는 평론가들의 비난에 대한 시어도어 스터전의 반박으로, 사이언스 픽션뿐만 아니라 모든 것의 90%가 쓰레기라는 격언이다. SF 작가 윌리엄 텐(William Tenn)에 의하면 스터전은 텐도 참석했던 1951년 뉴욕 대학교 강연에서 스터전의 법칙을 처음으로 언급했고, 이후 1953년 세계SF대회에서 강연을 하면서도 언급했다. 서면으로 처음 언급된 것은 잡지 벤처 사이언스 픽션 매거진 1957년 9월호에 게재된 스터전의 에세이였고, 이듬해 3월호에서도 다시 언급했다.

사실 원래 명칭은 "스터전의 계시"[3]였고, 스터전의 법칙은 "항상 절대적인 것은 없다"[4]란 내용이었다. 그러나 "계시"쪽의 내용이 더 유명해지면서 이게 스터전의 법칙으로 알려지게 된 것.

스터전의 법칙은 좋은 작품(10%)이 나오기 위해서는 수많은 쓰레기 작품(90%)이 나오는 시장이 형성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쓰이기도 한다.

3. 작품

국내 출간작
  • 인간을 넘어서 More Than Human (1953)
  • SF 명예의 전당 2[5]
    • 소우주의 신 Microcosmic God (1941)
  • SF 명예의 전당 4
  • 시어도어 스터전: 황금나선 외 12편
    • 천둥과 장미 Thunder and Roses (1947)
    • 황금 나선 The Golden Helix (1954)
    • 영웅 코스텔로 씨 Mr. Costello, Hero (1953)
    • 비앙카의 손 Bianca's Hands (1947)
    • 재너두의 기술 The Skills of Xanadu (1956)
    • 킬도저! Killdozer! (1944)
    • 환한 일부분 Bright Segment (1955)
    • 이성(異性) The Sex Opposite (1952)
    • [위젯], [와젯], 보프 The [Widget], the [Wadget], and Boff (1955)
    • 그것 It (1940)
    • 사고방식 A Way of Thinking (1953)
    • 바다를 잃어버린 사람 The Man Who Lost the Sea (1959)
    • 느린 조각 Slow Sculpture (1970)
각본

4. 수상

5. 여담

A science fiction story is a story built around human beings, with a human problem, and a human solution, which would not have happened at all without its scientific content.
과학소설은 인간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이야기이며, 인간의 문제와, 과학적인 내용 없이는 가능하지 않았을 인간의 해결책을 다뤄야 한다.
시어도어 스터전은 사이언스 픽션의 정의에 대해 이런 말을 하기도 했다.

스터전 사후 1987년부터 그를 기리기 위해 시어도어 스터전 기념상이 만들어졌다. 존 W. 캠벨 기념상을 운영하는 캔자스 대학교의 SF연구센터에서 수여하며, 뛰어난 단편 SF 소설을 대상으로 한다. 장편이 대상인 캠벨상과는 반대.

스터전과 친하게 지내던 작가 커트 보니것은 자기 작품 대부분에 스터전을 패러디한 인물인 킬고어 트라우트(Kilgore Trout)를 출연시켰다. 스터전이 "철갑상어"라는 뜻인 것처럼, 트라우트는 " 송어"를 뜻한다. 미국 SF 작가들이 얼마나 훌륭한 인물이면서 동시에 얼마나 사회에서 홀대받는지를 묘사하는데 자주 써먹는 캐릭터다.

6. 외부 링크



[1] 이후 잡지 언노운(Unknown) 1940년 3월호에 게재 [2] 에드거상 최종 후보로 올랐다. [3] "스터전의 폭로"라 번역하기도 하지만 에세이에서 종교 비유가 나오는 것을 보면 계시로 번역할 수도 있다. [4] "Nothing is always absolutely so." [5] 여기서는 이름을 테오도어라고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