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시각표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철도 시간표 전문 잡지에 대한 내용은
관광교통시각표 문서 참고하십시오.1. 개요
時間表 / Time Table시간에 따른 일정을 표시하는 표.
2. 각종 사례
2.1. 대중교통에서
코레일 열차/지하철 시간표 SRT 시간표보통 버스, 기차, 선박, 비행기, 지하철 등의 출발 시간과 소요 시간, 배차 등을 적어놓은 표이다. 운행표라고 하기도 한다.
국내 시내·농어촌버스에 관한 시간표는 시내·농어촌버스/시간표 문서로.
철도의 시간표는 다이어 문서로.
2.2. 학교에서
2.2.1. 초등학교
보통 초등학교 저학년[1]은 4~5교시까지만 수업하고 마치며 중~고학년[2]이 되면 5~6교시까지 수업하고 마친다. 저학년은 일찍 끝나기 때문에 과거 2부제 수업도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것은 이 때문이다.2.2.2. 중학교
주 5일 근무 제도가 도입되면서 6~7교시까지 하는 게 보통이다. 전 학년의 수업시간이 45분으로 같다. 가끔 단축수업으로 4~5교시만 하고 마치거나 8교시까지 하는 경우도 있는데, 8교시는 방과후 수업이라 사실상 없다. 학교 정규 수업시간은 대부분 7교시까지밖에 없다.중간 및 기말고사 시간표는 따로 나온다. 시험 시간이 아니면 자습 시간이다. 이는 고등학교도 마찬가지.
2.2.3. 고등학교
[3]일반적으로 정규수업 기준으로는 7교시까지 있다. 다만, 대다수의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보충수업 등의 이유로 8교시 혹은 9교시까지 수업하고 저녁에는 야간자율학습을 실시한다.[4]
고등학교의 시간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비해 상당히 복잡하며, 교과목 이름 또한 생활과 윤리, 확률과 통계, 언어와 매체, 생명과학Ⅰ 등과 같이 초등학교나 중학교 시절에 비해 글자 수가 길다.[5] 그래서 한 글자로 줄이는 경우가 거의 없고 보통 2글자로 줄여 부른다.[6]
또한, 한 과목을 여러 과목으로 나누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7] 책은 같은 것을 쓰는데 교사는 2~4명이나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는 것.
고교학점제의 영향으로 대학처럼 공강이 발생하는 경우가 꽤 있지만, 이런 경우에도 학생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공강'이라고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고등학교의 공강은 그저 담당교사 없는 자습시간일 뿐이다.
2.2.4. 대학교
대학교의 시간표. 기본적으로 대학교는 수강할 과목을 자신이 직접 수강신청을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시간표가 학교별, 학과별, 학년별로 천차만별이다. 일반적으로는 18~21학점 정도로 6~9과목 정도를 수강한다. 위의 이미지는 약대생이라 일반적인 학과보다는 수업이 많이 들어 가 있는 편이며 대부분의 일반 학과는 이거보다 조금 더 적다.
일반적으로 9시에 1교시를 시작하며 17시 50분에 끝나는 9교시까지의 범위 내에서 시간표를 구성하게 된다. 대개 2학점으로 구성되는 교양과목의 경우에는 50분씩 주 1회에 걸쳐 2시간 연속으로 수업을 하며[8] 대개 3학점으로 구성되는 전공과목의 경우에는 주 2일에 걸쳐 수업하거나[9] 주 1일에 걸쳐 3시간 연속으로 수업을 한다. 일반적인 이론 과목의 경우 이와 같이 진행되며 실험 및 실습 과목의 경우 2~4시간을 한 주에 몰아서 격주로 수업을 진행하거나, 홀수 주차에 몰아서 실험을 하고 짝수 주차에는 이론수업을 하는 등 교수의 성향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캐나다에 위치한 주립대의 시간표. 4과목 16학점이다. 캐나다도 한국대학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직접 수강신청을 하기 때문에 (약대 제외) 보통 학생들의 시간표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9~16학점 (3~5과목)을 듣지만 한국에서 대학을 다니다가 캐나다로 온 학생에 의하면 과목을 적게 듣지만 적게듣는것이 아닌 것 같다고 한다.
2.3. 그 외 조직에서
기관이나 기업 등에서도 훈련이나 일과를 시간표로 정리하기도 한다. 또한 비서들의 경우엔 스케줄이란 식으로 시간대에 따라 할 일을 적을 일이 많다. 대학생들도 스케줄러를 갖고 다니며 시간표를 관리하기도 한다.
[1]
1, 2학년
[2]
3, 4, 5, 6학년
[3]
해당 이미지는 야자가 필수였던 2000년대 기준이다.
[4]
단, 과거에는 말만 자율학습이고 사실상 강제(일명 '타율학습')에 가까웠으나 2010년대 이후에는
독서실처럼 공부 할 사람은 공부하고, 아니면 그냥 마치고 귀가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서울특별시,
경기도의 경우 이전부터 이미 보충수업과 야간자율학습을 자율화 시키는 학교가 많았다. 2020년
코로나가 심해지면서 지방에서도 더욱 더 자율화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학교에 따라서는 야자를 아예 폐지시키기도 했다. 단,
특성화고등학교는 야자 자율화가 확대되기 이전부터 야자 없이 보충수업만 이루어지는 형태였다.(물론 야자까지 시행했던 특성화고도 몇몇 있었음)
[5]
A와 B 형태 교과명으로는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확률과 통계,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정치와 법, 생활과 과학 등이 있다.
[6]
고1 - 국어, 수학, 영어,
통사(또는 사회),
통과(또는 과학), 한국(또는 국사), 정보, 진로(또는 진직),
과탐실
고2, 3 공통 - 문학, 언매, 독서, 화작, 수1, 수2, 영1, 영2, 영독(또는 영독작), 영회
고2, 3 국영수 선택 - 실국, 심국, 고전, 실영, 심영(?),
영문, 미적,
확통, 기하, 심수,
경수,
고수
사탐 - 윤사, 생윤, 한지, 세지, 세계사, 동아사, 경제, 사문, 정법, 사문탐, 여지
과탐 - 물1, 물2, 화1, 화2, 생1, 생2, 지1, 지2, 융과, 과학사, 생과. 문학처럼 두 글자인 과목은 그대로 불린다. [7] 예를 들면 영어 독해와 작문을 A( 수능특강 수업)/B( 교과서 수업)/C(영어 듣기 수업) 등으로 나누는 것과 같은 경우. D까지 나누는 경우는 통합사회나 통합과학 등 통합교과에서 자주 발생한다. [8] 간혹 2회에 걸쳐 50분, 50분으로 쪼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별로 없는 편이다. [9] 이 경우 보통 75분/75분으로 쪼개거나 100분/50분으로 쪼갠다. 3일에 걸쳐 50분/50분/50분으로 쪼갤 수도 있기는 하나 거의 없는 편이다.
고2, 3 공통 - 문학, 언매, 독서, 화작, 수1, 수2, 영1, 영2, 영독(또는 영독작), 영회
고2, 3 국영수 선택 - 실국, 심국, 고전, 실영, 심영
사탐 - 윤사, 생윤, 한지, 세지, 세계사, 동아사, 경제, 사문, 정법, 사문탐, 여지
과탐 - 물1, 물2, 화1, 화2, 생1, 생2, 지1, 지2, 융과, 과학사, 생과. 문학처럼 두 글자인 과목은 그대로 불린다. [7] 예를 들면 영어 독해와 작문을 A( 수능특강 수업)/B( 교과서 수업)/C(영어 듣기 수업) 등으로 나누는 것과 같은 경우. D까지 나누는 경우는 통합사회나 통합과학 등 통합교과에서 자주 발생한다. [8] 간혹 2회에 걸쳐 50분, 50분으로 쪼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별로 없는 편이다. [9] 이 경우 보통 75분/75분으로 쪼개거나 100분/50분으로 쪼갠다. 3일에 걸쳐 50분/50분/50분으로 쪼갤 수도 있기는 하나 거의 없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