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6 20:46:2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00번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ae1932><tablewidth=100%>
서울특별시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순환 간선 지선 광역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심야
]]
마을 맞춤 공항
0~50번 51~99번 100번대 200번대
300번대 400번대 500번대 600번대
700번대 800번대 900번대 1000번대~
맞춤 마을
관련 문서
역사 /1970년 개편 이전 비판 및 문제점 노선 조정 내역 업체 목록 /공항버스
}}}}}}}}} ||


1. 개요2. 801 (도원교통, 동부운수, 동북운수, 삼성여객, 삼영교통, 삼화교통, 신촌교통, 아진교통, 원효여객, 유성운수, 한성운수) (★)3. 801 (관악교통, 보성운수, 상마운수, 한남운수)4. 802 (경성여객, 상진운수, 신우교통, 진아교통, 한성여객, 흥안운수) (★)5. 803 (상진운수, 진아교통, 태릉교통→ 태릉교통) (★)6. 804 (한성버스) (★)7. 805 (선진운수, 신성교통, 제일여객) (★)8. 806 (범양여객, 선진운수, 신진운수, 신한교통, 현대교통 → 선진운수)9. 806-1 (선진운수, 신진운수, 신한교통, 현대교통) (★)10. 807 (경성여객, 도원교통, 동남교통, 범진여객, 우신운수, 유성운수, 진화운수) (★)11. 808 (공항버스, 관악교통, 김포교통, 상마운수, 세풍운수, 신길운수, 영인운수, 화곡교통, 흥기운수) (★)12. 809 (관악교통, 보성운수, 삼화교통, 상마운수, 세풍운수, 신진운수, 신촌교통, 신촌운수, 영인운수, 창진상운, 풍양운수, 한남운수) (★)13. 810 (우신운수) (★)14. 810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15. 811 (남산운수, 대진운수, 삼선버스, 삼성여객, 삼영교통, 서울여객, 신진운수) (★)16. 812 (송파상운)17. 812-1 (송파상운)18. 813 (서울승합)19. 813-1 (서울승합) (★)20. 813-2 (삼선버스, 서울승합)21. 814 (혁성운수, 동양교통) (★)22. 814 (신진운수) (★)23. 814-1 (신진운수) (★)24. 815 (대진운수) (★)25. 815 (송파상운, 한서교통)26. 816 (한성운수) (★)27. 817 (태진운수) (★)28. 818 (신인운수) (★)29. 819 (한서교통) (★)30. 820 (범양여객, 우신운수) (★)31. 821 (서울버스, 송파상운, 한서교통)32. 822 (경성여객, 동남교통) (★)33. 823 (태진운수)34. 823-1 (태진운수)35. 824 (진화운수 → 도원교통)36. 825 (진아교통, 신우교통, 흥안운수) (★)37. 826 (범일운수) (★)38. 827 (태진운수) (★)39. 828 (신우교통, 흥안운수, 한성여객, 한성버스) (★)40. 829 (신우교통) (★)41. 830 (신인운수)42. 861 (태진운수)43. 862 (태진운수) (★)44. 880 (서울승합)

[clearfix]

1. 개요

노선의 특성상 적자가 불가피하여 여러 운수사가 공동배차하게 만든 노선이다. 공동배차하지 않는 노선도 있는데, 이 노선들은 서울 지하철 연계용 노선들이다.
범례
링크 2004년 이후 지금도 운행하고 있는 노선
(★) 2004년 개편 전에 이미 폐선되거나 타 지자체로 이관된 노선
둘 다 없음 2004년 개편 때나 그 이후에 폐선되거나 타 지자체로 이관된 노선

2. 801 (도원교통, 동부운수, 동북운수, 삼성여객, 삼영교통, 삼화교통, 신촌교통, 아진교통, 원효여객, 유성운수, 한성운수) (★)

운행구간: 평창동 → 국민대 → 정릉 → 돈암동 → 보문동 → 신설동 → 신당동 → 약수동 → 이태원 → 삼각지역 → 공덕동 → 신촌 → 연희동 → 서대문구청 → 홍은동 → 문화촌 → 세검정 → 평창동

1985년 신설. 정확한 노선 폐지시기는 알 수 없으나 최소 1993년 이전에 폐선되었다.

3. 801 (관악교통, 보성운수, 상마운수, 한남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01.jpg
출처[1]
운행구간: 종점 → 우림시장 → 남강중고교 → 종합시장 → 신일교회 → 국민은행 → 신림고교입구 → 문성터널 → 동산교회 → 다리앞 → 주택앞(현대아파트) → 식품점 → 주택은행 → 상업은행 → 신림여중 → 관악산입구 → 서울대 → 신림중학 → 신림여중 → 289종점 → 주택은행 → 주택앞 → 천주교회 → 동산터널 → 문성터널 → 신림중학 → 국민은행 → 신일교회 → 종합시장 → 남강중고교 → 우림시장 → 나무앞(기점)

1993년 8월 10일 난곡, 신림동 주민들의 지역기반 교통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설.

4개 회사에서 1대씩 운행했으며 2002년에 상마운수가 한남운수에 인수되어 한남운수가 2대를 배차해서 그대로 4대로 운행했다.

당시 관악교통은 89년식 RB520SL, 보성운수는 86년식 RB520L, 상마운수는 85년식 BV101, 한남운수는 88년식 RB520SL로 운행하였다. 이후 관악교통은 무냉방 에어로시티를 거쳐서 에어로타운으로, 보성운수는 BS105, 94년식 무냉방 하이파워를 거쳐서 01년식 BM090으로, 상마운수는 BS105를 거쳐 무냉방 하이파워를, 한남운수는 AM937L, 95년식 하이파워, 94년식 냉방개조 하이파워를 거쳐서 성남 경기교통 중고 01년식 BM090으로 운행하였다.[2]개편 후 서울 버스 5522번으로 변경되었다가 2005년 5월에 폐선되었다. 2023년 01월 현재의 5522번과는 다른 노선.

4. 802 (경성여객, 상진운수, 신우교통, 진아교통, 한성여객, 흥안운수) (★)

운행구간: 하계동 - 월계동 - 장위동고개 - 미아삼거리역 - 종암동 - 경동시장 - 청량리 - 시조사 - 휘경동 - 위생병원 - 중랑교, 동부시장 - 상봉터미널

1985년 신설. 그러나 얼마 못 가서 폐선되었다.

5. 803 (상진운수, 진아교통, 태릉교통→ 태릉교통) (★)

파일:서울803번.jpg 파일:2001_6_3_161152.jpg
전설의 사기도색(...)으로 94~95년식 AC520SL 무냉방차에 몬드리안 도색을 칠하고 다닌 차이다. 결국 몇 달 못 되어서 에어로타운으로 교체된다. 촬영된 장소는 각각 고려대학교병원 앞과 고려대학교 정문이다. 깨알같은 AERO CITY

파일:/pds/1/200606/15/15/c0016615_125859.jpg
출처. 폐선과 함께 401번으로 넘어갔다.현재는 2212번에서 2017년식 그린시티 차량으로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불암동 - 삼육대 - 서울여대/ 육사 - 태릉입구 - 석계역 → 이문동 → 외대 경희대 KIST 고려대 보문동( 한성대) → 성신여대 → 길음역 → 미아사거리 → 동덕여대 → 월곡동 → 석계역 → 이하 역순(적색. 청색은 역방향으로 순환)

서울 동북지역을 순환하던 노선으로 노선 길이치고는 꽤 많은 대학을 거쳐갔다. 원래 태릉교통, 진아교통, 상진운수 3사 공배였으나 서울 지하철 6호선이 개통할 즈음 진아, 상진이 빠지고 청색 노선이 폐선된 다음 태릉만 남아 운행하다 2002년 6월 29일 완전히 폐지.

운행차량은 태릉교통 기준으로는 1993 ~ 1995년식 에어로시티 520 무냉방 사기도색 차량이 해당업체에서 마지막으로 운행하던 노선이다. 반면 진아교통은 당시 최신형에 속한 1996년식 BS106L 하이파워 냉방형 차량을 투입해주시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3] 또 상진운수에서 공동배차 철수과정에서 유입된 1993년식 BS106L 하이파워 냉방개조차량 2대 (서울 74사 3933, 서울 75사 1714호)와 1994년식 AM937L 냉방개조차량 1대 (서울 74사 3999호)가 실제로 운행하던 전례가 있던 노선으로 이 노선 덕에 당시 태릉교통에서는 보유하고 있지도 않던 대우버스와 아시아버스를 보유하게 되었다. 하지만 803번에서 다니던 모든 에어로시티 520 무냉방 사기도색차량, 상진운수에서 넘겨받은 하이파워, AM937L은 모두 97~99년식 에어로타운[4]으로 대차되었다. 이 과정에서 백화점 셔틀버스로 사용하던 98년식 코스모스 (서울 70사 6873호)도 중문을 뚫어서 이 노선에 투입되어 운행했던 전례가 있다.[5]

노선 자체는 지금의 서울 버스 273과 비슷한 포지션으로, 실제 273번과 꽤 많은 경유지가 중복된다. 또한 다른 태릉교통 노선들( 별내신도시 - 태릉입구역/ 석계역)과도 유사하다.

6. 804 (한성버스) (★)

파일:804개편전.jpg
해당 면허는 부도이후 흥안운수로 넘어갔으며 현재는 102번에서 2013년식 뉴슈퍼 저상버스로 운행중이다.

운행구간: 창동역 - 녹천역 - 번동4거리 - 수유역 - 쌍문역 - 도봉보건소 - 방학4거리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신방학중학교 - 방학역

운행당시 주력차종은 대우 BS105L 이였으나 1999년 중형급 차량으로 교체하면서 순환버스 408번으로 변경되었다.

한성버스 부도로 인하여 2001년 말엽에 운행중단 후 운행재개 되지 못하고 폐선. 하지만 그 이전에 423번의 창동역 연장으로 방학동 수요를 잃은 상태였다.[6]

7. 805 (선진운수, 신성교통, 제일여객) (★)

운행구간: 기자촌 - 폭포동 - 불광동 - 연신내역 - 구산동 - 역촌동 - 은평구청 - 녹번역

1985년 신설. 80년대 말에 806번에 통합 후 폐선되었다.

8. 806 (범양여객, 선진운수, 신진운수, 신한교통, 현대교통 → 선진운수)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06.jpg
[7] 출처

서울 버스 7720

운행구간: 구산동 - 연신내역 - 박석고개 - 기자촌 - 은평경찰서 - 독바위역 - 불광역 - 녹번역 - 서대문구청 - 연세대학 - 신촌로터리

1985년 11월 1일 역촌동에서 사천교, 서대문구청, 유진상가 경유 녹번역 회차 노선으로 신설되어 이후 구산동 - 연신내 - 불광동 - 역촌동 - 신사동 - 증산동 - 모래내 - 연세대 - 신촌 - 서대문구청 - 홍제역 - 녹번역 - 갈현동 - 구산동을 순환하는 형태로 변경되었고, 반대 방향으로 순환하는 806-1번도 존재하였다.
1997년에는 806-1번 폐선, 806번으로 통합 및 적색(현재의 노선과 동일)/청색(은평구청 경유) 분리를 실시하였고, 1999년 경에 적색 노선으로 통합되었다. 대개편 때 서울 버스 7720으로 번호만 변경되어 승계되었고, 이후 구파발/기자촌 일대의 은평뉴타운 개발에 따른 지역 레이아웃 및 도로선형 변경으로 인하여 일부 구간이 조정된 것을 제외하면 노선의 큰 틀은 개편 전과 다름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9. 806-1 (선진운수, 신진운수, 신한교통, 현대교통) (★)

운행구간: 구산동 - 갈현동 - 녹번역 - 홍제역 - 서대문구청 - 신촌 - 모래내 - 증산동 - 신사동 - 역촌동 - 연신내역- 구산동

806번의 반순환노선으로 존재했으나 1997년 폐선.

10. 807 (경성여객, 도원교통, 동남교통, 범진여객, 우신운수, 유성운수, 진화운수) (★)

운행구간: 한강유수지 → 망원동 → 합정역 → 상수동 → 신수동 → 대흥동 → 이대입구역 → 신촌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망원동 → 한강유수지

1985년 신설. 오래 못 가서 폐선되었다.

11. 808 (공항버스, 관악교통, 김포교통, 상마운수, 세풍운수, 신길운수, 영인운수, 화곡교통, 흥기운수) (★)

운행구간: 화곡동 → 신정네거리 → 고척동 → 동양공전 → 구로역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 당산동 → 당산역 → 해태제과 → 염창동 → 등촌동 → 강서구청 → 화곡동

1985년 신설. 오래 못 가서 폐선되었다.

12. 809 (관악교통, 보성운수, 삼화교통, 상마운수, 세풍운수, 신진운수, 신촌교통, 신촌운수, 영인운수, 창진상운, 풍양운수, 한남운수) (★)

운행구간: 서울대 → 봉천사거리 (서울대입구역) → 신림역 → 난곡입구 → 구로전화국 → 가리봉오거리 (現 디지털오거리) → 구로구청 → 대림동 → 도림동 → 문래고가 → 영등포역 → 신길동 → 대방역 → 장승배기 → 숭실대입구 → 봉천사거리 (서울대입구역) → 서울대

처음엔 한남운수, 신촌교통, 신촌운수, 관악교통, 상마운수, 삼화교통, 영인운수, 창진상운의 공배로 23대배차 쌍방향 노선이었지만, 회사별로 1대씩만이 배차되었고, 게다가 신촌운수는 운행개시때부터 아예 결행을 해버리는 바람에 7대로 운행하기엔 노선길이가 너무 길었다. 그리고, 운행구간들을 보라. 현재도 막히기로 소문난 곳만 골라가는 노선이 비범하다! 배차가 깨지는 건 당연. 그러니 노선이 좋아도 탈리가. 게다가 창진상운은 55-2번을 신진운수에 넘기고 관악구에서 손을 털던 상황이라 바로 또 이탈. 이런 식으로 다른업체들도 다 손을 털어 최후에는 한남운수만 3대(8509, 8517, 8520)로 굴리다가 1989년 폐선

특이사항으로는 끝자리에 9가 들어가는 차량이 많았다.
ex) 신촌교통(5809), 상마운수(3709), 한남운수(8509), 창진상운(7559)

13. 810 (우신운수) (★)

운행구간: 과천시 - 서울대공원 - 관문사거리 - 남태령 - 사당역 - 이수역 - 경문고교

1994년 과천선 개통으로 인하여 중복되어 폐선.

14. 810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

운행구간: 잠실주공4단지(현 레이크팰리스아파트) - 삼전동 - 송파,강동등기소 - 학여울역 - 대청역 - 삼성서울병원 - 일원역

2000년 9월 신설. 몇 년 안돼서 폐선되었다.

15. 811 (남산운수, 대진운수, 삼선버스, 삼성여객, 삼영교통, 서울여객, 신진운수) (★)

운행구간: 개포동 (구룡마을) → 숙명여고 → 양재역 → 남부터미널 → 서초동 → 서래마을 → 고속터미널 → 영동사거리 → 신사동 → 압구정역 → 청담동 → 삼성역 → 은마아파트 → 경기여고 → 개포동 (구룡마을)

1985년 신설. 몇 년 안돼서 폐선되었다.

16. 812 (송파상운)

파일:external/pds27.egloos.com/1124061_61_0104_3_005.jpg
[8]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12.jpg
출처
1985년 11월 1일 마천동에서 잠실, 석촌동 송파 경유 가락동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이후 아래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운행구간: 거여동 - 마천2동사무소 - 거여초교 - 오금사거리 - 송파도서관 - 가락한라A - 오금역 - 삼익A - 성원A - 한양A - 일신여상후문 - 송파사거리 - 석촌역 - 석촌호수 - 잠실역 - 잠실주공3단지 - 영동여고입구 - 잠실3동소방파출소 - 삼학사길사거리 - 삼전동우체국 - 잠실병원 - 잠실우성4차A - 송파등기소 - 아시아선수촌A - 잠실종합운동장

대개편 때 서울 버스 3314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다.

17. 812-1 (송파상운)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12-1.jpg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3416번에서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로 운행중이다. 출처

1993년 8월 10일 마천동-잠실역 노선으로 신설 이후 송파구민회관 연장.

서울 버스 3315 참조.

18. 813 (서울승합)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13-2기.jpg
출처

운행구간(1기): 고덕동 - 명일동 - 십자성마을 - 천동초등학교 - 성내동 - 강동구청 - 풍납극동A - 성내역 - 잠실역 - 석촌호수 - 송파 - 가락시장

운행구간(2기 / 기존 813-2번): 강동공영차고지 - 상일동역 - 한양A - 명일여고 - 십자성마을 - 길동사거리 - 올림픽공원 - 몽촌토성역 - 잠실역 - 석촌호수 - 가락시장 - 수서역 - 일원역 - 수서경찰서(회차)

1기 노선은 가락시장 - 성내동 - 명일/고덕동간 구간 수요로 그럭저럭 잘 다녔지만 자사 계열의 마을버스와 일부 구간이 겹치다보니 수익성이 그닥 좋지 않아 결국 1998년 12월 폐선되었다.

2기 노선의 경우 기존에 운행하던 813-2번이 번호만 변경한 것으로, 대개편까지 살아남아 이후 서울 버스 3413이 되었다.

19. 813-1 (서울승합) (★)

운행구간: 고덕동 - 한영고교 - 둔촌동프라자아파트 - 길동4거리 - 성내동 - 강동구청 - 풍납극동아파트 - 성내역(현 잠실나루역) - 잠실 - 석촌호수 - 송파 - 가락시장

813, 813-2번과의 중복으로 인해 수익성이 좋지 않아 1990년대 중반 잠실역으로 단축되고 거의 유령화되어가다가 1998년 12월 813번과 함께 폐선.

여담으로 성내역에서 좌회전하여 교통회관쪽으로 우회전하는 방식으로 잠실역까지 회차했는데 현재는 좌회전 금지로 볼 수 없는 풍경이다.

20. 813-2 (삼선버스, 서울승합)

파일:813-2번.jpg
1987년 하일동(현 강일동)에서 가락시장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1991년 하일동(현 강일동)에서 고덕동 구간을 단축되었다.

운행구간: 고덕동차고지[9] - 한양A - 명일여고 - 십자성마을 - 길동사거리 - 올림픽공원 - 몽촌토성역 - 잠실역 - 석촌호수 - 가락시장

초창기 노선이 위와 같았다. 이후 가락시장에서 수서역, 일원역까지 연장하였고, 2002년 차고지가 강동공영차고지로 옮겼다. 이 무렵, 노선번호가 813번으로 변경됐다.

이후는 서울 버스 3413 참조.

21. 814 (혁성운수, 동양교통) (★)

운행구간: 대방역 - KBS별관 - 윤중제 - 여의도중,고등학교 - 여의도순복음교회 - 국화의사당 - KBS - 전경련회관 - 여의도종합상가 - 대방역

1985년 신설예정이었으나 백지화되었다. 1987년 신설된 823번과 노선이 비슷하나 별개의 노선이다.

22. 814 (신진운수) (★)

운행구간: 식유촌마을 - 화물터미널 - 교육문화회관 - 우면동 - 일동제약 - 양재역 (적)/우면아파트 - 우면동 - 일동제약 - 양재역 (청)

1986년경 신설. 이후 청색노선을 번호화하여 814-1번으로 분리하였다. 1997년에 폐지되었다.

23. 814-1 (신진운수) (★)

운행구간: 식유촌마을 - 화물터미널 - 우면아파트 - 우면동 - 일동제약 - 양재역

1995년 7월 순환버스 414번으로 변경 후 식유촌마을 기점에서 형촌마을 기점으로 변경과 동시에 양재역 회차에서 강남역 회차로 연장되었다,

24. 815 (대진운수) (★)

운행구간: 개포동 (구룡마을) - 개포주공 1,2,3,5단지 - 미도아파트 - 공무원아파트 → 수서경찰서 → 중동고등학교 → 중동중학교 → 공무원아파트

1986년경 신설. 1991년 5월 1일에 폐지되었다.

25. 815 (송파상운, 한서교통)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15.jpg
출처[10]
신설 초기에는 415번이었으나, 1999년에 대형급 차량으로 교체. 이후 2000년 번호만 변경하였다. 개편 후 내용은 서울 버스 3313 참조. 현재는 복정역으로 연장되고, 송파상운 대신에 대성운수가 공동배차하고 있다.

26. 816 (한성운수) (★)

운행구간: 미아동 - 월계동 - 동이로 - 쌍문역

1986년경 신설. 1992년 폐지되었다.

27. 817 (태진운수) (★)

운행구간: 성수동 - 노유동 - 자양동 - 자양아파트 - 잠실대교 - 잠실역 - 가락시영아파트 → 가락시장 → 가락우성아파트 → 가락시영아파트

1986년경 신설. 1992년 자매노선격인 827번과 통합 후 861번으로 변경되면서 분당구 서현동으로 연장되었다.

28. 818 (신인운수) (★)

운행구간: 구로공단 - 가리봉역 (現 가산디지털단지역) - 구로주공아파트 - 가리봉동 - 수출의다리 - 가리봉오거리 (現 디지털오거리) - 구로구청 - 신도림역 - 도림동 - OB맥주앞(현재 영등포공원) - 영등포

1986년경 신설. 1988년에만 해도 FB485 초기형이 운행된 노선이기도 하다. 1991년 5월 1일 폐지되었다. 다만 현재 서울 버스 571번이 가산동 - 구로4동 구간을 일부 답습하고 있다. (단 구로주공아파트 미경유)

29. 819 (한서교통) (★)

운행구간: 거여동 - 오금동 - 방이동 - 송파구청 - 잠실역

1987년경 신설. 오래 못 가서 폐지되었다. 이후 지역순환버스 415번으로 부활하였으며 1999~2000년 대형급 차량으로 교체. 2001년 815번으로 번호만 변경되었으며, 개편 후 3313번으로 이어졌다.

30. 820 (범양여객, 우신운수) (★)

운행구간: 서울아산병원 → 풍납동 → 천호사거리 → 영파여고 → 서울아산병원 - 풍납중학교 - 몽촌토성 → 잠실역 → 잠실시영아파트 → 몽촌토성

1987년경 신설. 하지만 오래 못 가서 폐지되었다. 이후 지역순환버스 420번으로 일부구간 부활하였다.

31. 821 (서울버스, 송파상운, 한서교통)

운행구간: 거여동 - 마천동 - 거여역 - 문정시영아파트 - 성동구치소 - 가락동 - 가락관광호텔 - 가락시장역 - 수서역

2001년 지역순환버스 421번이 대형급 차량으로 교체된 이후에 번호만 변경된 노선이다.

개편때 서울 버스 3416번으로 존치되었지만 서울버스가 공동배차에서 빠지면서 송파상운, 한서교통 2개 업체 공동배차로 변경되었다. 이후 가락동 구간 노선변경이 이루어지면서 1기노선의 구간을 일부 답습하고 있다. 이후 한서교통이 공동배차에서 빠지고, 세곡지구로 연장되어 지금에 이른다.

32. 822 (경성여객, 동남교통) (★)

운행구간: 상봉터미널 - 중랑교, 동부시장 - 위생병원(현 서울삼육병원) - 휘경동 - 시조사 - 청량리역

1987년경 신설. 1991년 5월 1일 폐지되었다.

33. 823 (태진운수)

1995년 11월 신설. 서울 버스 영등포11 참조

34. 823-1 (태진운수)

파일:823-1BS.jpg
1995년 11월 신설. 서울 버스 영등포10 참조[11]

35. 824 (진화운수 → 도원교통)

파일:2001_824.jpg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c0209256_594849bf7bfdc.jpg
진화운수에서 최초로 뽑은 천연가스버스로 개편 이전 도원교통에 차량까지 모두 매각했다. 74 사 5005, 5007 제외하고 모두 다모아자동차로 넘어갔고 74 사 7561[12], 7604, 7608 제외 2005년에 모두 면허가 말소되었다.

운행구간: 상암동 - 월드컵북측 - 성산아파트 - 중동초교 - 성산2교 - 청기와예식장 - 홍대입구역

성산동에 시영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홍대입구역까지 수요를 장거리노선인 33번이 혼자 감당하기에 구간수요를 위한 셔틀용도로 운행을 시작했다.
초기엔 진화운수차고인 장지동에서 성산동까지 공차회송을 한걸로 전해지나 이후 상암동에 차고가 생겼다.

본래 진화운수 소속 노선이었으나[13]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도원교통에 매각하여 운행한 노선. 개편 때 은평차고지로 연장되었고 업체가 유성운수로 배정되어[14] 서울 버스 7716번이 되었으나 노선 중복과 수요부족으로 인해 서울 버스 7016번으로 통합되었다.

36. 825 (진아교통, 신우교통, 흥안운수) (★)

운행구간: 석계역 - 태릉입구역 - 공릉동 - 원자력병원 - 안마을 - 북부지원 - 태릉입구역 - 석계역

1987년경 신설. 폐선 직전엔 진아교통 단독 운행. 1990년대 후반 폐지.
2000년 후반 이 노선을 이어받아 419번이 신설되었고 석계역-안마을 구간은 1141번이 이어 받고 있더.

37. 826 (범일운수) (★)

운행구간: 시흥2동 - 시흥5동 은행나무 - 시흥4거리 - 시흥역(현 금천구청역)

1987년경 신설, 1992년 8월 20일 폐지. 서울 버스 금천01번이 전 구간을 계승하고 있다.

38. 827 (태진운수) (★)

운행구간: 성수동 - 노유동 - 자양동 - 자양아파트 - 잠실대교 - 잠실역 - 가락시영아파트 → 가락우성아파트 → 가락시장 → 가락시영아파트

1987년경 신설. 1992년 자매노선격인 817번과 통합 후 861번으로 변경되면서 분당구 서현동으로 연장되었다.

39. 828 (신우교통, 흥안운수, 한성여객, 한성버스) (★)

운행구간: 노원교 - 상계주공 11, 12, 14, 15단지 - 청원고 - 상계동 보람아파트 - 상계역

1987년경 신설. 1991년 5월 1일에 폐지되었다. 다만 현재 서울 버스 1143번이 노원교 기점이랑 상계역 회차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답습하고 있다,

40. 829 (신우교통) (★)

운행구간: 노원교 - 상계주공9~12단지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동 - 공릉동 - 태릉입구 - 묵동 - 중화동 - 중랑구청(현 면목두산아파트, 옛 동서울실내수영장)

1988년 11월 1일 신설. 폐선직전 노선 변경이 잦았고, 1991년 5월 1일에 폐지되었다. 다만 현재 서울 버스 146번이 중랑구청 회차구간 극히 일부를 제외한 모든구간을 답습하고 있다,

41. 830 (신인운수)

운행구간: 북가좌동 150번 종점(현 은가어린이공원) - 하행 우성공인중개사/상행 연화슈퍼 - 시립은평병원 - 은평구청 - 녹번역 - 유진상가

1987년경 신설. 개편과 함께 서울 버스 7719로 편제되면서 운행 업체가 서부운수로 바뀌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응암로와 백련산로로 분리 운행하던 7019번이 백련산로로만 운행하게 되자, 응암오거리 이후 구간을 백련산로에서 응암로로 노선을 변경했다. 기존 운행 차량들은 개편하면서 죄다 분산. 북가좌동의 150번 종점자리는 공원이 되었고 구로3공단(현 디지털3단지) 주변 안양천 둔치 일대에 주차했던 150번 차량들은 개편하면서 가산동의 새로운 터전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42. 861 (태진운수)

파일:attachment/861.jpg
2001년 6월의 모습. 당시 주력이었던 하이파워 차량으로 현재는 세 번 대차되어 현재는 2022년식 일렉시티 전기버스로 2014번에 있다.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61.jpg
2003년의 모습. 출처[15] 태진 잡아봐!

운행구간: 성수동 - 노유동 - 자양동 - 자양아파트 - 잠실대교 - 잠실역 - 송파역 - 가락시장 - 수서나들목 - 수서역 - 세곡동 - 신촌동 - 고등동 - 여수동 - 매화마을 - 탑마을 - 태원고 - 서현역(삼성프라자) - 효자촌 - 샛별사거리 → 푸른마을 → 계원예고 → 한솔마을 → 샛별사거리 → 이후 역순

분당신도시 교통 대책의 일환으로 1992년 하반기에 신설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906번 심야좌석버스(현 422번)도 개통되었다.

처음에는 분당구 서현동까지 운행했으나 수내동 양지마을까지 운행했으나[16], 차츰 노선을 연장하여 개편 직전부터 2007년까지는 정자동의 계원예고에서 회차했다. 한때는 미금역까지 운행했다는 말도 있다.

1997년 12월에 노선이 비슷했던 862번을 흡수했다.

2000년대 초반 66-1번 도시형버스가 직행좌석버스인 6006번(現 9404번)으로 전환되면서 861번은 분당신도시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는 서울특별시 면허 도시형 일반버스가 되었다.

한편 서울특별시 기점 구간도 뚝섬유원지역에서 성수동차고지로 연장되었다.

2004년 7월 1일 개편 때 번호만 2412번으로 바뀌었다. 이후 연혁은 해당 문서를 참조. 현재는 그냥 서울시 안에서만 돌아다니는 평범한 노선이 되었다.

43. 862 (태진운수) (★)

운행구간: 성수동 - 영동대교 - 경기고 - 삼성역 - 휘문고 - 은마A - 개포동 - 삼성의료원 - 수서나들목 - 수서역 - 세곡동 - 신촌동 - 고등동 - 여수동 - 차병원 - 이매촌 - 서현역 - 효자촌 - 샛별사거리 → 푸른마을 → 계원예고 → 한솔마을 → 샛별사거리 → 이하 역순

구로동 - 개포동 구간을 운행하던 좌석 65번(도시형 62-1과 동일 노선)을 폐지하고 신설한 노선이었다. 1996년 8월 31일 도시형으로 전환했다가 1997년 12월 1일 공식적으로 861번에 흡수되었다.

훗날 415번으로 삼성역 ~ 개포동 구간이 사실상 부활했으며 2004년 대개편 때 2413번으로 바뀌면서 현재까지도 성수동 ~ 개포동 구간을 862번과 거의 흡사하게 다니는 중.

44. 880 (서울승합)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80.jpg
[17] 출처

원래는 1993년 9월 1일 번호없는 마을버스로 개통되어 상일동 차고지[18] ~ 고덕주공5,6,7단지 ~ 강동고등학교 ~ 명일여자고등학교 ~ 삼익파크아파트 ~ 천동초등학교 ~ 성내동 ~ 영파여중고 ~ 강변역을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무냉방 코스모스로 운행하다가 1998년 4월에 유령노선이던 416번 앞으로 인가되어 있던 냉방형 에어로타운으로 대차하여 잘 다니다가[19] 2001년에 기존 노선을 1번, 그리고 구 813번의 강동구청 경유 구간을 따로 분리하여 1-1번으로 부여해 운행하다가 2002년 480번/480-1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으나 강동구청 경유 노선이 없어지고 480번으로 단일화되어 운행했다.

2003년에는 에어로타운이 전부 조기대차되고[20] 1년 전인 2002년에는 BS090 CNG 차량으로 대차됨과 동시에[21] 880번으로 변경되었으며, 이 때부터 마을버스 요금이 아닌 순환버스 요금을 받기 시작했다. 이듬해 2004년 버스개편 때 기존 노선 그대로 3212번으로 바뀌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전 문서로
(700번대)
다음 문서로
(900번대)

[1] 위 차량은 현재 5515번에서 2023년식 하이거 하이퍼스 1609HN 전기버스로 운행중이다. [2] 한남운수는 경기교통 중고차 중에서 01~02년식 대우차랑을 여러대 가져왔다. [3] 진아교통은 2000년 12월 15일 6호선 완전 개통과 동시에 일찌감치 철수. [4] 출신은 경기 의정부 영종여객, 포천 포천교통, 남양주 명진운수 → 광주 경기고속, 부산 신한여객(97년식)이다. [5] 코스모스는 2002년 6월 29일 노선폐지와 동시에 말소처리. [6] 423번은 408번과 달리 방학로를 내달리고 바로 창동역으로 들어갔기 때문. [7] 해당 차량은 2번 대차되어 그대로 다니는 중. [8] 2003년에 로얄시티로 대차되었고, 2004년 대개편 때 메트로버스로 차출되었고, 2007년 초 BS110CN으로 대차되었다가 이후 송파상운의 컨소시엄 탈퇴 과정에서 다시 송파상운으로 돌아왔으며 개편 때부터 그대로 370번에서 운행하다 2018년 1월 NEW BS106으로 대차되어 3214번으로 이동해서 운행 중이다. [9] 상일동역 2번 출구 앞에 있었으며, 서울승합이 강동공영차고지로 옮기면서 시내버스 차고지로서의 기능은 사라지고 그냥 사설버스 업체 여럿이 같이 쓰는 주차장으로 바뀌었다. 현재는 헐리고 고덕센트럴푸르지오가 건설 중이다. [10] 사진 속 차량은 개편 후 그대로 다니다 3318번이 신설되면서 넘어간 후 2012년 말에 현대 저상버스로 대차되었다.도색비만 날려먹은 게 아깝다 메트로로 차출하려했던 것도 아니고 [11] 사진 속 면허는 현재 6411번에서 저상 뉴슈퍼에어로시티로 운행중. [12] 601번에서 운행하다 사고로 70 사 7812로 전환 [13] 자세한 내용은 33번 항목 참조. [14] 당시 유성운수는 대개편 때에 세검정 차고지를 매각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135, 135-3번 같은 세검정발 노선을 정리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135번은 정릉으로 연장되고 도원교통으로 이관되어 1711번이 되었는데, 때 마침 도원교통도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철수하면서반대급부로 824번을 받아오게 된 것. 노선만 바꿔치기 한 것이다. [15] 위 차량은 현재 한남여객운수로 넘어갔으며 6411번의 2013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차량으로 운행중이다. [16] 최초 노선은 효자촌에서 푸른마을 방향으로 오다가 샛별사거리에서 수내중방향으로 좌회전 후 푸른마을삼거리(푸른쌍용과 한솔청구 사이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그대로 직진, 내정사거리(파크타운과 양지마을 사이 사거리)에서 우회전후 다시 샛별사거리로 회차하는 기점 방식이었다. 기사님은 푸른마을쌍용앞에서 10분정도 휴식 후 출발. [17] 해당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3411번에서 에디슨 스마트 전기버스로 운행중이다. [18] 상일동역 2번출구쪽의 주차장터. [19] 참고로 이 때 대차된 코스모스는 현재도 잘 다니는 어느 마을버스의 개통에 쓰인다. [20] 원래대로라면 2004~2005년까지는 운행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마을버스에 투입되는 사양이 아니라 관광버스 업체에 쓰일 법한 좌석형 + 전문형 옵션이기도 해서 앉아서 갈 경우 꽤 편안하기도 했고. [21] 참고로 2006년에 BS090에서 에어로타운으로 차량이 교체되었다가 2007년 말에 다시 BS090이 복귀한 적이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3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3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