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21:19:44

서울대학교/대학원/법학전문대학원

서울대학교 로스쿨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대학교/대학원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
,
,
,
,
,

대한민국의 법학전문대학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국공립 <colbgcolor=#fff,#191919>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사립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파일:서강대학교 로고.svg 서강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인천 사립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경기 사립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강원 국립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대전 국립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충북 국립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광주 국립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전북 국립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사립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대구 국립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경북 사립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부산 국립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사립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제주 국립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역사 임원 학부 대학원 캠퍼스 입시 }}}
재학생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0.5px" 대학 생활 학사 제도 동아리 축제 총학생회 학내 언론 }}}
졸업생 / 기타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출신 인물 사회 진출 현황 사건사고 의견 및 비판 }}}
관련 기관 및 사이트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박물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언어교육원 (TEPS) 스누라이프 }}}
부속병원·위탁운영병원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보라매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
사범대학 부설학교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사범대학부설중학교 사범대학부설여자중학교 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
}}}}}}}}}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의 대학원
일반대학원
인문대학 간호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미술대학
사범대학 수의과대학 약학대학
음악대학
전문대학원
보건대학원 국제대학원
치의학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의학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공업전문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



<colcolor=#fff>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서울大學校 法學專門大學院
SNU Law School
<colbgcolor=#1B2D57> 개원 2009년 3월 2일
원장 김종보 교수
주소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링크 법학전문대학원 홈페이지
법과대학 동창회 홈페이지
1. 개요2. 입학생 경향3. 졸업자 진출 현황4. 교수진
4.1. 나무위키에 문서가 개설된 현직 교수 명단4.2. 법전원 교수로 재직이력 있는 경우
5.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09년에 개원하였으며 기존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의 교수진 및 물적 시설을 승계하였다. 총 정원은 150명이다.

2. 입학생 경향

2018년 기준 신입생 현황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만 30세 이상 고연령자가 거의 없다.
    대표적인 소년 선호 로스쿨 중 한 곳. 입학생 연령대는 초창기를 제외하고는 만23~25세가 6할을 차지하고, 만32세 이상은 1%도 없으며, 만41세 이상은 단 1명도 입학한 예가 없다.
    • 다만 날이 갈수록 지원자들의 GPA가 상향평준화되는 점을 고려하면 학점의 중요성이 비교적 덜 했고 더욱 엄정하게 평가가 이루어졌던 과거의 학부 졸업자들이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평가도 있다. 서울대 로스쿨은 학부 학점과 리트 성적 모두 최고 수준에 가까워야 하기에 옛날에 학점을 낮게 받아 둔 인원들이 입학을 노리기 어렵다.
    • 2020년에 들어서는 학부 과정을 3년 만에 끝내고 조기졸업 후 곧장 입학하는 학생들도 늘어나고 있다. 게다가 코로나19 이후 서울대학교의 완화된 상대평가나 절대평가로 인해 이들의 GPA는 거의 100점에 가까운 수준이다.
    • 서울대 로스쿨이 신입생 선발에서 어린 학생들을 선호하는 성향이 있는 것은 사실로 보인다. 이에 대하여 서울대 관계자는 '정량평가를 하다 보니 나이 많은 수험생이 불리할 수밖에 없다. 나이 많은 학생들이 지원 자체를 하지 않아서 합격자도 적을 수밖에 없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서울대 로스쿨만 전형방법이 특별한 것이 아닐 뿐더러 정작 정량평가가 강화되기 전부터 이미 신입생 구성이 저랬고, 로스쿨 입시보다도 더욱 정량적인 사법시험은 연령비가 전혀 저렇지 않았기 때문에 위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 2021년도 통계를 보면, 연령별 비율(25세 이하, 26~28세, 29~31세, 32~34세, 35~40세, 41세 이상)가, 지원자는 56%, 31%, 8%, 2%, 2%, 1%인 반면, 합격자는 70%, 25%, 3%, 1%, 1%, 0%이다. '합격자 비율/지원자 비율'을 따져 보면, 1.25, 0.8, 0.4, 0.54, 0.39, 0이다. 이와 같이 수치상으로도, 어린 학생들이 많이 지원해서 그만큼 어린 학생들을 많이 뽑았다기보다, 지원자 수에 비해서도 어린 학생들을 많이 뽑았음이 확인된다. 2022학년도에도 32세 이상의 지원자는 단 한 명도 합격하지 못했다.
    • 이 현상이 얼마나 특징적이었는지, 전주혜(서울 법대 출신) 의원실의 제보로 “나이 많은 사람은 안 뽑아요”… 서울대 로스쿨, 15년간 30세 이상 입학생 98명이라는 법률신문 보도까지 나왔다.
  • 반수생을 거의 뽑지 않는다
    대학원 입학 경력을 무조건 기입하도록 하고 있으며, 미기재시 불이익을 주겠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 그리고 실제로 군휴학자, 로스쿨 자퇴생 등을 제외하고 타 로스쿨을 등록하고 걸치면서 반수를 준비하는 '반수생' 합격자를 찾기 매우 어려워졌다. 이는 '로스쿨의 반수학원화'를 막겠다는 취지로, 명색이 최고 로스쿨인 서울대에서 반수생을 적극 환영했다간 이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이 명백하기 때문이다. 이 덕에 합격생 평균 연령의 저연령화는 가속화되고 있다. 서울대 외의 로스쿨은 변시 합격률이 최고로 중요한 지표가 된 현 로스쿨 교육 체제에서 1년을 법 공부를 더 하고 전적대에서 내신 상위권을 받아 법학 적성을 누구보다 잘 입증해내는 반수생을 적극 환영하는 학교도 일부 있고, 어쨌든 서울대처럼 박대하진 않는다. 반수생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의 타당성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무슨 근거로 고정량 반수생을 탈락시키는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수험생들이 많다.
  • 자교 학부 출신의 비율이 높다
    해마다 차이는 있지만, 2022년과 2023년 기준 서울대 로스쿨 입학자 중 서울대 학부 출신이 66.2%를 차지했다. 사실상 매년 서울대 출신을 거의 100명씩 꼬박꼬박 뽑고 있는데, 이 100명이라는 수치는 법학전문대학원의 인가기준인 자교 출신 선발비율로 허용하는 최대치(66%)에 해당한다. 성적대로라면 그보다 더 뽑아야 하는데 타교생 쿼터 때문에 65% 밖에 못 뽑는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1] 단, 정량점수 차이는 주로 리트에서 발생하는데, 자교 출신 설로 합격자 컷이 명백하게 타교 출신 설로 합격자 컷보다 널널한데도[2] 역차별 운운하는 것에 어이없어하는 반응도 있다.

위와 같은 입학 경향에 대해 모든 선발 과정은 블라인드로 진행돼 평가자는 지원자의 성별, 학벌, 연령을 알 수 없다는 법학전문대학원장의 인터뷰도 있었다. #

어떤 이유에서인지, 여타 법전원들보다도 학생 중 고소득층 비율이 높다고 한다. #

3. 졸업자 진출 현황

소위 '검클빅'[3] 중 특히 '빅' 분야로 많이 진출한다. 이는 이미 로스쿨생 시기에 대형 로펌과 채용 절차를 마치고 '빅펌'으로 진로를 조기에 확정하는 학생들이 대다수라 3학년에 진행하는 검찰/로클럭 선발을 준비할 유인이 떨어지기도 하고, 상대적으로 공직이 수입이 적어서 예전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진 것이 원인일 수도 있다.

사법시험과 병존하던 시절(2009~2017)에는 사법시험을 패스하고 사법연수원을 졸업한 서울대 법대 출신 법조인들과 비교하여 다소 평가절하 된 부분이 있었지만, 2017년 마지막 사법시험이 시행된 후 로스쿨 졸업자로 법조인 선발의 창구가 일원화된 이후에는 종래의 2류 이미지가 완전히 사라진 상태이다.[4]

대한변호사협회에서 변시 합격자들을 대상으로 2020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졸업한 법학전문대학원에 진학을 추천하겠느냐?'라는 설문에 대해 서울대 로스쿨이 가장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2020년 법학전문대학원 평가보고서》 참조).

4. 교수진

구 서울 법대와 마찬가지로 한국 법전원 중 유일하게 로마법 전임교수가 있다.[5]

4.1. 나무위키에 문서가 개설된 현직 교수 명단

4.2. 법전원 교수로 재직이력 있는 경우

5.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출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관련 기사 [2] 타교 컷은 서울대 환산점수 기준 대략 1.5~2.5점가량 높은 선에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타교 합격자들의 GPA가 자교 합격자들보다 1~2점(환산 0.6~1.2점) 높은데 GPA 차이만으로는 커트라인 차이를 메꿀 수 없어 타교 지원자들은 리트를 더 잘 봐야한다. [3] 검사의 '검', 로클럭의 '클', 대형 로펌의 '빅'을 합친 조어. [4] 더 정확히 말하자면 사법시험과 병존하던 시절에도 서울대 로스쿨 출신 변시합격자는 사시합격자와 거의 동등한 대접을 받았다. [5] 다른 학교에 로마법을 연구한 교수가 없지는 않으나, 보통 민법 담당으로 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