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02 12:19:06

삼성 노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성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 대한 내용은 갤럭시 노트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Galaxy Store 아이콘 투명.svg


​ 기본 애플리케이션
----
​ 스토어 애플리케이션


파일:갤럭시 스토어 로고.svg




파일:Galaxy Store 아이콘 투명.svg
파일:1px 투명.svg 파일:1px 투명.svg


파일:samsung_notes.png
삼성 노트
Samsung Notes

파일:1px 투명.svg

   애플리케이션 정보파일:1px 투명.svg

  개발 및 유통파일:1px 투명.svg
  플랫폼파일:1px 투명.svg
안드로이드
5.0 이상

윈도우
10 이상
  다운로드파일:1px 투명.svg
  웹사이트파일:1px 투명.svg



1. 개요2. 상세
2.1. Microsoft OneNote에 동기화2.2. 역사
2.2.1. S노트 (2011년 ~ 2016년)
2.2.1.1. 액션 메모(2015 ~ 2016년)
2.2.2. 메모 (2009년 ~ 2016년)2.2.3. 스크랩북 (2013년 ~ 2016년)2.2.4. 삼성노트 런칭 (2016년 ~ 현재)
2.2.4.1. One UI 2.5 업데이트 (2020년 ~)2.2.4.2. One UI 4.1 업데이트 (2022년 ~)
2.3. 플랫폼
3. 실행 방법
3.1. One UI3.2. Windows
4. 메뉴
4.1. 홈 화면4.2. 내비게이션 메뉴
4.2.1. 설정
5. 지원
5.1. 지원 기기5.2. Windows 지원

[clearfix]

1. 개요

삼성노트(Samsung Note)는 삼성전자의 노트 애플리케이션 및 그래픽 툴이다.

2. 상세

원래의 이름은 S노트였으나 6.0 마시멜로 버전에서 액션 메모, 스크랩북, 메모와 같이 삼성 노트로 통합되었다. 다만, 스크랩북은 Galaxy Store를 통해 내 앱을 통해서만 따로 다운받을 수 있고, S노트는 Galaxy Store 또는 Google Play 스토어를 통해 다운받을 수 있다. 기존의 S노트는 액션메모, 메모 등을 카테고리 탭에 따로 분리해서 저장했는데, 삼성 노트는 메모를 카테고리 탭에서 모든 노트 탭으로 가져왔고, 카테고리 탭에 분류한 것을 동시에 모든 노트 탭에도 볼 수 있게 하였다.

기존에 탬플릿과 페이지 단위의 작업을 중심으로 했던 것을 기반으로 삼성 노트는 펜 글씨를 통한 메모와 음성, 사진 같은 컨텐츠를 하나의 노트에 복합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었다.

PDF 파일로 내보낼 수 있으나, 수정은 못하고 PDF 파일 위에 덮어쓰기 식이다. PDF 파일을 수정하고 싶으면 PDF에 쓰기를 설치해야 한다. PDF 파일을 불러와서 주석을 달거나 S펜으로 필기를 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을 통한 필기를 차단하고 필기에 오직 S펜만을 사용하는 모드를 지원한다. 타 기기와 달리 S펜이 호버링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팜 리젝션을 제공하며, 필기만 차단할 뿐 버튼 입력이나 크기 조절, 드래그 등은 터치로 이용할 수 있다.

삼성 계정과 연동하여 다른 기기에서 작성한 노트를 서로 동기화시킨다. 그런데 잘 안되는 경우가 꽤 있다. 카페에도 동기화 문제 관련 글이 많다.
동기화가 주기적으로 되지 않는다. 삼성 클라우드 동기화 화면에서 수동으로 동기화 후에 작업하는 것을 권장한다.

2.1. Microsoft OneNote에 동기화

파일:Galaxy Note 20 Samsung Notes.png

2020년 11월 이후, 삼성 노트와 OneNote가 서로 동기화된다. 갤럭시 노트20 브랜드 페이지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선행하여 삼성 측 Samsung Notes 4.x 버전에서는 카테고리를 폴더로 변경하고 하위 폴더도 추가할 수 있으며, 이미지 위에 필기가 가능하는 등 새로운 시스템으로 개편되었다.

다만 그렇게까지 활용성이 좋은 편은 아니다. 원노트에서 접속하면 기존의 삼성노트의 필기가 다 이미지로 처리되기 때문. 차라리 윈도우용 삼성노트를 다운로드 해서 쓰는 게 더 낫다.

2.2. 역사

2.2.1. S노트 (2011년 ~ 2016년)

갤럭시 노트가 출시 되면서 S캘린더[1](현 삼성 캘린더)와 함께 처음 선보이는 갤럭시 노트 시리즈 맞춤형 앱이었다. 동시에 메모 앱도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 한해 S메모로 승격되었다. 이는 삼성노트로 합쳐지는 2016년 이후까지도 이어져서 S펜에 특화 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남아있었다.

One UI 4 업그레이드 당시에는 기존의 S노트는 갤럭시 노트10 | 노트10+마저도 지원이 끊긴 듯 했으나 한국어 미지원 폰트에 대한 한국어 텍스트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해 이를 수정한 업데이트로 다시 지원되기 시작했다.
2.2.1.1. 액션 메모(2015 ~ 2016년)
에어 커맨드[2]를 통해 즉석에서 메모지를 불러올 수 있고, 불러온 메모지는 포스트잇처럼 화면에 호버링되어 다른 작업과 메모를 병행할 수 있다. 갤럭시 노트5에서 지원하기 시작한 '꺼진 화면 메모' 역시 이 기능의 일부이다. 지금은 삼성 노트에 합쳐져있지만 이 당시만 해도 S노트의 애드온 앱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2.2.2. 메모 (2009년 ~ 2016년)

2.2.3. 스크랩북 (2013년 ~ 2016년)

2.2.4. 삼성노트 런칭 (2016년 ~ 현재)

삼성 터치위즈가 Grace UX를 통해 크게 변하면서,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서 S노트, 메모, 액션메모, 스크랩북이 모두 통합되어 지금의 삼성 노트가 되었다. 단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쓰고싶은 사람을 위해 갤럭시 스토어에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남겨두었고, 다운로드 받아서 쓸 수 있었다.

기존 S노트에서 손글씨로 적은 부분은 삼성 노트로 가져오면 이미지로 변환되어서 수정이 불가능하다. 다만, 차후 업데이트로 배경 부분만 이미지로 변환되고 삽입되었던 개체는 개체 그대로 변환되어서 수정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삼성 노트를 업데이트 한 후에는 예전 버전의 노트는 무조건 새 버전으로 변환해야 편집이 가능하다. 변환하면 예전 버전의 노트 앱에서는 열 수 없다.
2.2.4.1. One UI 2.5 업데이트 (2020년 ~)
삼성노트의 콘셉트가 변경되었다.

페이지 기능, docx, pptx, pdf, jpg, txt, sdocx(삼성 노트 4.x 확장자) 저장 및 공유, 인쇄기능, 템플릿 기능, 배경 색상 기능이 추가되었고 글자크기 구분이 열몇개로 늘어났다.[3] PDF, 텍스트상자를 삽입할 수 있게 되었다.

손글씨가 텍스트, 이미지와 분리되었다. 상위 레이어로 취급되며, 텍스트, 이미지, PDF 상위에 표시된다. 음성녹음을 하면서 텍스트, 손글씨를 입력하면 재생할때 음성녹음 시간에 맞춰 글이 보여진다. 손글씨는 손을 덴 시점부터 뗀 시점까지, 텍스트는 밑줄이 생긴 시점부터 사라지는 시점까지가 한 단위로 취급된다.

레이아웃이 변경되었다. 이에 대한 불호의 의견이 있고, 레이아웃 변경으로 인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오피스앱과 비슷하게 변경된 느낌이다.
아래쪽에 있는 글쓰기 툴바는 끌어서 어느 곳이든 놓으며 필기할 수 있다.

새로운 삼성 노트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을 경우, 기존에 작성한 노트는 변환이 필요하다. 변환된 노트는 이전 삼성 노트 버전에서 읽을 수 없어지고, 변환되지 않는 노트는 최신 삼성 노트 버전에서 별도 플러그인 설치 후 열람만 가능하다. 이는 One UI 3 업데이트도 마찬가지이다.
2.2.4.2. One UI 4.1 업데이트 (2022년 ~)
갤럭시탭 시리즈와 S펜을 지원하는 갤럭시 폰[4][5]모두 One UI 4.1 이상인 경우, 갤럭시 탭의 삼성노트의 툴바를 갤럭시 폰으로 띄우는 컴패니언 모드가 추가되었다. 갤럭시 S22 Ultra, 갤럭시 탭 S8 시리즈의 런칭과 함께 쇼케이스에서 공개된 기능으로 처음에는 갤럭시 S22 Ultra와 갤럭시 탭 S8 시리즈에서만 가능했지만, 이후 One UI 4.1 업데이트가 풀리면서 다른 갤럭시에서도 쓸 수 있게 되었다. (1) 두 개의 갤럭시(폰, 탭)가 같은 삼성 계정에 로그인되어 있고, (2) 블루투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3) 설정에서 "다른 기기에서 앱 이어서 사용" 옵션을 키면 갤럭시 탭에서 삼성 노트를 작성할 때 우측 상단에 폰 모양 로고가 활성화된다. 이를 클릭하면 갤럭시 탭의 노트의 툴바를 갤럭시 폰의 화면에 출력하고, 갤럭시 탭은 전체 화면 모드로 쓸 수 있다.
오디오 북마크 기능(녹음하며 필기할 시 다시 재생할 때 필기한 타이밍에 맞춰 녹음 파일이 재생되는 기능)이 전에는 자동으로 실행되었으나 이젠 노트와 함께 재생을 클릭해야 작동된다.

2.3. 플랫폼

  • 안드로이드
  • Windows

3. 실행 방법

3.1. One UI

  • " 하이 빅스비 삼성 노트 열어줘"라고 말하면 삼성 노트가 켜진다.
  • 앱 서랍에서 Samsung폴더에 있는 삼성 노트 아이콘을 누르면 삼성 노트가 켜진다.
  • S펜
    • S펜을 들고 S펜의 버튼을 누른 채, 두번 화면을 두드리면 삼성 노트가 실행된다.
    • S펜으로 에어커맨드를 실행하고, 새 노트 작성을 누르면 삼성 노트가 실행된다.
    • S펜을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빼면, 삼성 노트가 실행된다.
  • PENUP에서 삼성 노트로 만든 작품의 경우, 'Samsung Note 앱을 통해 게시됨' 태그를 누르면, 삼성 노트가 실행된다.
  • One UI Home에서 삼성 노트 위젯을 누르면 삼성 노트가 켜진다.

3.2. Windows

  • " 하이 빅스비 삼성 노트 열어줘"라고 말하면 삼성 노트가 켜진다.
  • 검색창에 'n'을 입력하자 마자 Samsung Note(삼성 노트)가 나온다. 'n'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켜진다.

4. 메뉴

4.1. 홈 화면

4.2. 내비게이션 메뉴

4.2.1. 설정

  • 저장할 때 스타일
    • 꺼진 화면 메모 그대로
    • 흰색 배경에 펜 컬러 그대로
    • 흰색 배경에 검은색 펜
  • 폴더관리
  • 페이지 스타일과 템플릿
  • 노트 잠금해제 방식
    • 비밀번호 변경
    • 생체인식
      • 지문
  • 데이터 가져오기
    • S노트
      • 휴대전화
      • 삼성 계정
      • Google 드라이브
    • 메모
      • 삼성 계정
    • 스크랩북
      • 삼성계정
  • 노트에서 링크 표시
  • 링크 미리보기
  • 작업 아이콘
  • 손글씨 모드일 때 내비게이션 바 숨기기
  • 손글씨 인식 언어
  • 툴바 추가 기능
    • 스타일 변경
    • 텍스트로 변환
    • 도형 자동 보정
    • 간편 입력창
    • 캔버스 잠금

5. 지원

5.1. 지원 기기

\
삼성 갤럭시에 기본 설치가 되어있으며, 아티브 탭에도 기본 설치되어 있다. 설치가 안 되어 있거나, 재설치를 하는 경우, Galaxy Store나 Play 스토어, 윈도우 스토어를 통해 설치할 수 있다.

5.2. Windows 지원

데스크톱 앱은 안드로이드 앱과 거의 같은 수준의 기능을 제공한다. 터치 및 펜을 지원하는 갤럭시 북 플렉스, 갤럭시 북 플렉스2, 갤럭시 북 프로 360 등에서 필기 활용도가 높다.

유니버설 앱은 과거에 기능도 간신히 필기만 가능한 수준이었던 데다가, 윈도우 10의 등장과 함께 엄청난 버그들이 튀어나왔으며, 심지어 삼성 기기에서도 설치가 불가능한[8] 등의 문제로 욕을 푸짐하게 얻어먹은 흑역사가 있다.

삼피스가 출시되자 대규모 업데이트가 있었다. 기능 및 UI도 안드로이드 앱과 동등한 수준으로 일신하고 아티브 탭 시리즈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등 비정상의 정상화를 이루어냈다. 게다가 삼성전자 소속 기기가 아니라도 디지타이저만 있으면 앱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해졌다. 안드로이드 앱처럼 설정에 S펜 모드가 존재하는데, 이 모드를 켜면 S펜과 와콤 패널을 쓰지 않는 삼성과 일절 무관한 기기에서조차 팜 리젝션이 완벽하게 동작한다. 오히려 지우개 버튼이 있는 타사 디지타이저가 원버튼인 S펜보다 훨씬 편할 지경에 이르러버렸다.

그러나 일부 제품군에서 앱이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있어 리뷰 평점이 영 좋지 않다. 영고라인

유니버설 앱이 업데이트 된 후 해상도는 올라갔지만 필기가 잘못 인식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큰 글씨로 쓰면 문제가 없지만 한 줄 사이즈로 글자를 빠르게 쓰다보면 획이 사라지거나 합쳐진다. 의외로 많이 불편하다. 아직 별다른 조치는 없는것으로 보인다.
채우기가 안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도형 등을 그리고 안쪽을 칠하려면 일일이 다 그려주어야 한다. 삼성 노트로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의 경우 꽤 불편할수 있는 점.

Windows 10 유니버설 앱(UWP)를 사용하려면 Microsoft Store에서 받으면 된다. 삼성 노트북 태블릿이 아닌 모든 Windows 10에서 설치할 수 있다. 단, 삼성 기기 이외의 장치에서는 본인의 스마트폰으로 Microsoft Store 웹에서 MS계정 로그인한 후, 다른 장치를 선택하여 다운받으면 된다.
다운로드 (Microsoft Store)

삼성 클라우드 동기화가 가능해서 폰과 태블릿의 문서들을 받아올 수 있다. 다만 멀쩡한 다른 버전과 달리 PC 버전의 경우 동기화의 오류가 잦고 아예 동기화가 안되는 경우도 상당해서 여러모로 문제가 많은 편.


[1] 여담이지만 갤럭시 S 시리즈에서는 S플래너였다. [2] S펜 측면의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난다. [3] 기존에는 3단계 [4] 갤럭시 노트10 시리즈, 갤럭시 노트 20 시리즈, 갤럭시 S21 Ultra, 갤럭시 S22 Ultra [5] 갤럭시 Z폴드3의 경우는 가능한지 불명. [패밀리링크] 패밀리 링크 계정이 설치되어 있으면, Android For Work 모드로 인식되어 동기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패밀리링크] [8] 스토어에서 아예 검색이 안 됐기 때문에 실수로든 고의로든 한 번 지우면 두 번 다시 사용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