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브라운관을 만들던 삼성전관에 대한 내용은 삼성SDI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 계열사 | |
전자 | <colbgcolor=#fff,#1c1d1f> 삼성전자 ( 세메스 · 하만) | 삼성디스플레이 | 삼성SDI (에스티엠 · 에스디플렉스) | 삼성전기 | 삼성SDS (미라콤아이앤씨 · 시큐아이 · 오픈핸즈 · 에스코어) | |
바이오 | 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성바이오에피스 | 삼성메디슨 | |
금융 | 삼성금융네트웍스 ( 삼성생명 | 삼성화재 | 삼성카드 | 삼성증권 | 삼성선물 | 삼성자산운용 | 삼성벤처투자) | |
중공업·건설 | 삼성중공업 ( 거제삼성호텔) | 삼성이앤에이 | 삼성물산 건설부문 ( 씨브이네트 ·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 |
서비스 | 삼성물산 ( 상사부문 · 패션부문 · 리조트부문) | 호텔신라 ( 신라스테이) | 제일기획 ( 삼성스포츠) | 에스원 ( 휴먼티에스에스 · 에스원CRM) | 삼성글로벌리서치 (삼성EHS전략연구소) | 삼성의료원 | 삼성웰스토리 | 멀티캠퍼스 | 엠로 | 에스비티엠 | |
사회공헌 | 문화예술 | ||
사회복지 | 삼성복지재단 | 삼성생명공익재단 | 삼성화재안내견학교 | |
환경보전 | 삼성안전환경연구소 | |
언론재단 | 삼성언론재단 | |
과학기술 |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 |
자원봉사 | 삼성법률봉사단 | |
문화재단 | 삼성문화재단 | 호암재단 | |
미술관 | 리움미술관 | 호암미술관 | |
박물관 | 삼성화재 모빌리티뮤지엄 | |
문화 |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 |
장학 | 삼성꿈장학재단 | |
학교 |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 학교법인 충남삼성학원 | |
기타 | 삼성의료재단 | 대구삼성창조캠퍼스 | 삼성인력개발원 | |
역대 총수 · 현임 경영진 | }}}}}}}}} |
삼성디스플레이 관련 틀 | |||||||||||||||||||||||||||||||||||||||||||||||||||||||||||||||||||||||||
|
<colbgcolor=#1428A0><colcolor=#fff>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amsung Display Co., Ltd.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설립일 | 2012년 4월 1일 | ||
업종명 |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업 | ||
본사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삼성로 1 (농서동) | ||
천안캠퍼스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번영로 465 (성성동) | ||
아산1캠퍼스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삼성로 181 | ||
아산2캠퍼스 |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탕정로 380-2 | ||
대표이사 | 이청 | ||
기업 분류 | 대기업 | ||
상장 유무 | 비상장기업 | ||
모기업 | 삼성전자 | ||
그룹 | 삼성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428A0><colcolor=#fff> 자본금 |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1조 3,091억원 (2020년 기준) | |
매출액 |
연결: 30조 7,794억원 (2022년 기준) 별도: 27조 1,491억원 (2020년 기준) |
||
영업이익 |
연결: 5조 1,160억원 (2023년 기준) 별도: 1조 795억원 (2020년 기준) |
||
순이익 |
연결: 1조 8,745억원 (2020년 기준) 별도: 1조 7,981억원 (2020년 기준) |
||
자산총액 |
연결: 55조 2,595억원 (2020년 기준) 별도: 50조 398억원 (2020년 기준) |
||
부채총액 |
연결: 8조 4,729억원 (2020년 기준) 별도: 7조 6,123억원 (2020년 기준) |
||
직원 수 | 22,318명 (2020년 12월 31일 기준) |
[clearfix]
1. 개요
|
|
<rowcolor=#ffffff> 2014~2022 | 현재 |
|
<rowcolor=#ffffff> 삼성디스플레이 공식 회사 소개 영상 「Wanna Break New Ground?」 (2022) |
삼성그룹 내 디스플레이 제조사인 삼성디스플레이는 2021년 기준 연 매출 28조 7,559억 7,500만 원에 달하는 기업이다. 주력 제품인 중소형 OLED와 관련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삼성전자의 연결대상(종속) 회사이므로, 재무제표상 삼성전자와 하나의 기업으로 취급된다. 즉, 삼성디스플레이의 매출, 손익, 자산, 부채 등 모든 재무 정보는 삼성전자 재무제표에 포함된다.
본사는 원래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아산공장에 있었다. 그러나 2017년 삼성전자 기흥캠퍼스로 이전하면서 본사 인력과 일부 연구개발 부서가 삼성전자 파운드리 생산기지 내 여러 건물에 분산되어 입주하였다.
이후 삼성전자 기흥캠퍼스 근처에 SDR(삼성 디스플레이 리서치) 신사옥 건설을 추진, 2024년 6월 완공 예정이었으나 공사 지연으로 9월에 완공되어 입주를 시작하였다. SDR 완공으로 아산캠퍼스에 남아있던 일부 연구개발 인력을 포함하여, 기존에 삼성전자 건물에 있던 본사 인력 및 연구개발 인력이 기흥 SDR로 이동하였다. 단, 기흥에 있던 모든 연구개발 부서가 SDR로 옮긴 것은 아니며, 일부는 삼성전자 건물에 그대로 남아있다. [1]
2. 지배구조
2022년 9월 기준.주주명 | 지분율 |
삼성전자 | 84.80% |
삼성SDI | 15.20% |
합병 3사 중 일각이었던 SMD가 삼성SDI와 삼성전자의 합작사였기 때문에 삼성SDI로 일부 지분이 들어가게 되었다. 물론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애초에 전자가 SDI의 최대주주인 만큼 큰 상관은 없다. 다만 SDC 자체가 엄청난 알짜 회사인지라 상장사인 삼성SDI의 가치를 거론할 때 핵심 변수이기도 하다.
합병 직후부터 약칭에 대한 논란(?)이 있었는데 줄임말을 정하기가 참으로 애매한 사명이었기 때문. # 이는 지금도 비슷하나 한국어로 적을 때는 삼성D, 영문 약자는 그냥 SDC(Samsung Display Co., Ltd.)으로 사용하고 있다.
3. 역대 대표이사
- 박동건 (2012/2013 ~ 2016)
- 권오현 (2012 ~ 2013/2016 ~ 2017)
- 김기남 (2013)
- 이동훈 (2018 ~ 2020)
- 최주선 (2021 ~ 2024/11)
- 이청 (2024/11 ~ 현재)
4. 캠퍼스
국내에는 세 곳의 캠퍼스가 있으며, 각각 아산, 천안, 기흥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 쑤저우에도 8세대 LCD 팹이 있었으나 2021년 TCL 산하 CSOT에 매각되었다. 모듈 후공정 공장은 베트남, 중국(천진, 쑤저우, 동관)에 있으며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의 인도 시장 공략에 따라 인도 노이다에도 모듈 후공정 공장을 건설 중이다. LCD 관련 팹은 7,8L 등으로 OLED는 A1~A5로 부른다.- 기흥캠퍼스: 본사, 경영지원, R&D, 영업, 마케팅, 생산기술센터
- 아산1캠퍼스[2]: 대형 LCD를 생산했던 LCD 7-2L, 8L(8-1,8-2L) 및 OLED 생산중인 A4(구7-1L)
- 아산2캠퍼스: OLED를 생산중인 A2, A3
- 천안캠퍼스[3]: A1
2019년 시점에서 주요 생산기지는 거의 전부가 아산에 있다. 7, 8세대 LCD 라인인 L7-2와 L-8, AMOLED 팹인 A2~A4가 아산에 위치해 있으며 2019년에는 신규 라인인 A5의 공사도 재개되어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
한때는 천안시 집값 상승에 일조할 정도로 아산시 말고도 천안시까지 먹여 살리는 회사였으나 천안이나 아산이 수도권에 비해 인프라가 좋지 않고 주변여건도 안 좋다보니 젊은 인력의 퇴사가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인해 천안의 L3~L6 공장 역시 차례차례 가동을 중단하고 설비는 중고로 팔거나 스크랩 처리한 뒤 유휴공간은 삼성 TSP총괄에서 반도체 후공정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 결과적으로 천안에 남은 생산 팹은 삼성이 최초로 AMOLED를 양산한 A1이 전부다.
원래 기흥에도 L1~L2 LCD 공장이 있었지만 워낙 오래된 공정이라 모두 폐쇄했고, 대신 2017년에 연구개발, 경영지원, 영업·마케팅 등의 핵심 부서가 천안에서 기흥으로 옮겨왔다.
5. 역사
1991년 삼성전자는 LCD 패널 사업을 위해 'TFT-LCD사업 태스크포스'를 발족했다.1992년 10.4인치 VGA TFT-LCD를 처음 개발하고 1995년에 국내 최초로 생산 라인을 신설했다.
2001년 삼성SDI와 NEC 양사는 합작사 '삼성NEC모바일디스플레이'를 설립했다. #
2004년 2월 27일 NEC가 보유한 삼성NEC모바일디스플레이 주식 전부와 유기EL 관련 특허를 삼성SDI가 인수했다. #
2004년 4월 삼성전자와 소니는 합작법인 'S-LCD'를 설립했다. 지분구조는 삼성전자가 50%에 1주를 더 보유하고 있어 경영권을 가지고 있다. #
2006년에 삼성OLED가 삼성SDI에 합병되었다.
2012년 1월 삼성전자는 소니가 보유한 S-LCD 지분 3억2,999만주를 전량 매입하기로 했다. 지분 매입금액은 1조800억원(감가상각비 등 제외)이다. 업계에서는 소니 측에서 TV부문 실적 부진 및 휴대전화 사업 강화를 위해 소니에릭슨 합병 추진 자금이 필요해 지분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분석했다.[4] #
2012년 4월 삼성전자가 LCD 사업부를 분할하여 '삼성디스플레이'란 명칭으로 출범되었다.
2012년 7월 2일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와 S-LCD의 3개 법인이 합병하였다.
5.1. LCD 사업부
2012년 4월 삼성전자 LCD 사업부가 삼성전자에서 분사하여 삼성디스플레이가 되었다.2012년 7월 S-LCD와 SMD합병 이후에 LCD 사업부가 되었다. 분사 직전 2011년 LCD 사업 불황으로 인해 잠시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삼성디스플레이로 갈라져 나가면서 곧바로 흑자전환함과 동시에 고부가가치의 소형 고해상도 LCD 제품을 통해 잠깐 부활했다. 출범 직후에는 오히려 LCD사업부의 이익을 OLED사업부의 적자가 갉아먹는 형국이었다. IPS 방식과 유사한 PLS 방식의 고해상도 LCD 패널을 생산하여 Apple의 3세대 iPad, MacBook Pro Retina 디스플레이 및 구글 넥서스 10 등에 채용되었다. 물론 삼성전자의 여러 태블릿 컴퓨터나 노트북에도 사용되고 있다. 사실 이 PLS 방식이라는 것은 이미 1990년대 후반에 삼성전자에서 직접 특허출원했던 기술이다. 이후에 VA 방식을 LCD 전략으로 잡았으나, VA 방식보다 터치스크린 구현이 쉬운 IPS 방식이 떠오르자 가지고 있던 PLS 방식을 꺼내온 것이다.
2015년 말 중국에서 LCD 전문 기업이던 하이디스를 인수한 BOE를 필두로 생산량을 대폭 늘려 치킨게임을 시작했고 전세계적인 LCD 패널 가격 폭락이 일어나 LG와 삼성이 모두 고전했다.
2019년 10월 10일 QD디스플레이 투자 발표가 확정되었다. #
2020년 3월 삼성디스플레이는 LCD 사업 철수 결정을 발표하였다. 중국 쑤저우의 LCD 공장은 CSOT에 매각되었고 대신 CSOT의 지분 12.33%를 확보해 삼성디스플레이는 1대 주주인 TCL 다음으로 CSOT의 2대 주주가 되었다. #, #
5.2. OLED 사업부
OLED 사업부의 전신은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이다. 최초로 상용화된 OLED 패널 양산에 성공하였으며, 삼성전자의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과 Apple[5], 화웨이[6]의 OLED 패널 채용 스마트폰, 모토로라의 RAZR 시리즈 등에 사용되는 AMOLED 패널을 전량 납품하고 있다.합병 이후 삼성디스플레이를 먹여 살리며 LG디스플레이를 콩라인으로 만들었다.
2014년 들어 삼성전자의 실적악화로 LCD 사업부의 실적을 파먹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수직계열화의 역풍을 제대로 맞은 것. 또한 소형 디스플레이에선 여전히 넘사벽이지만 대형 패널 쪽은 LG의 WOLED에 밀리는 분위기이다. 삼성전자의 RGB 방식이 더 우수하긴 방식이지만 낮은 수율을 극복하지 못 하고 철수했다. 결국 LG디스플레이 중심의 WOLED가 수율을 계속 올리면서 상용화에서 앞서가고 있는 상황이다.
2015년 들어 BOE 등 중국 업체의 물량공세로 LCD 패널 가격이 폭락하면서 OLED 사업부의 이익이 급증하며 다시 이전 비중으로 돌아갔다. 패널을 크게 만들지 않아도 되는 중소형 모바일/IT 기기 OLED 분야는 삼성디스플레이가 비교우위를 갖고 있고, 패널을 크게 만들어야 하는 TV, 광고 OLED 분야는 LG디스플레이가 비교우위를 갖고 있는 상태인데, 삼성의 대형 OLED 제조방식은 오리지널 RGB 배열방식이라 컬러필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화질에서 이점이 있지만 픽셀을 하나씩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구를 대형화할 경우 본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기 어려워서 대형 OLED를 만들기에는 문제점이 많고 수율이 나쁘기 때문에 이익이 저조한 대형 OLED TV 산업을 축소하고 중소형 OLED에 집중하였기 때문이다. 반면 LG디스플레이는 여러 색의 OLED를 겹쳐 흰 빛을 내는 WOLED를 만들고 그 위에 컬러필터를 씌우는 방식으로, 컬러필터를 씌울 경우 빛이 그것을 통과하며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지만 대형 패널을 만들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대형 OLED 패널( OLED TV)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준비 중이다. Ultra Thin Glass같은 디스플레이 소재도 개발한다.
2018년부터 QD-OLED 패널 개발로 전략을 돌린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LCD에 양자점 필름을 씌운 QD-LCD TV와 모니터를 판매하고 있다.
인도에서 OLED 패널 생산에 돌입했다. #
LCD사업을 철수하면서 2019년에 사업부 조직을 대형디스플레이 사업부와 중소형디스플레이 사업부로 개편하였다. # 대형디스플레이 사업부에서는 TV와 모니터, 중소형디스플레이 사업부는 모바일 분야를 담당한다.
중소형 OLED 패널 출하 점유율 ◆ 일본기업 ◆ 중국기업 ◆ 한국기업 |
|||||
기업 | 2019 | 2020 | 2021 |
2022 1Q (전망) |
2022 2Q (전망) |
Sharp | 0.0% | 0.1% | 0.2% | 0.4% | 0.4% |
BOE | 5.6% | 8.7% | 10.5% | 14.8% | 15.5% |
CSOT | - | 0.9% | 3.3% | 3.3% | 3.8% |
Everdisplay | 1.3% | 0.9% | 0.2% | 0.5% | 0.7% |
Tianma | 0.6% | 0.4% | 1.4% | 1.7% | 3.0% |
Visionox | 2.2% | 1.5% | 2.3% | 4.1% | 4.4% |
중국총합 | 9.7% | 12.4% | 17.7% | 24.4% | 27.4% |
LG Display | 4.8% | 10.7% | 11.2% | 9.4% | 7.0% |
Samsung | 85.5% | 76.9% | 71.0% | 65.9% | 65.1% |
한국총합 | 90.3% | 87.6% | 82.2% | 74.4% | 72.1% |
자료=옴디아, 삼성디스플레이 |
AMOLED를 상용화시킨 기업답게 중•소형 OLED에서는 부동의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지만, BOE등 중국계기업과의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2023년 5월 미국의 마이크로 OLED 전문 기업 이매진을 2900억원에 인수했다. #
2024년 1월 삼성디스플레이가 CES2024 에서 XR 기기용 RGB 올레도스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화소밀도는 3500PPI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인수한 미국 기업 이매진의 RGB 올레도스도 전시한다. #
2023년부터 출시하는 미니 전 차종들에 들어가는 중앙 9.4인치 원형 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을 납품하고 있다.[7]
6. 기술
6.1. OLED
6.1.1. 소자
- LTPO
- 투 스택 탠덤
-
- 2024년 출시된 아이패드 프로의 11인치 모델에 적용되었다.
6.1.2. 재료
- M7 데이지
- M8 셀비아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B1 (2025년 하반기) #
- T1
- T2
- M8 대비 번인이 개선되었다는 평이 존재한다.
- 국산 재료 비중이 증가하였다.
- 녹색, 청색 소자에 중수소가 적용되었다.
- M13 대비 밝기 및 효율 20-30% 개선
- 적색 소자 중수소 도입으로 M13 대비 소자 수명 10-20% 개선
- 청색 인광을 최초로 도입하는 세대이다.
- 발광 효율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청색 소자의 수명은 기존 형광 소자 대비 줄어들 전망이다.
7. 자회사
8. 여담
- 가난을 이유로 고등학교도 못 다니는 미성년자가 일자리를 구한다는 종이를 들고 길거리를 돌아다니자, 삼성디스플레이 쪽에서 일자리를 제공한 미담이 화제였다. #
[1]
건물은 지하 5층~지상 15층 규모이며,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부품연구동(DSR)처럼 저층부가 연결된 2개의 빌딩으로 구성된다.
[2]
구
삼성전자 탕정사업장
[3]
삼성SDI 및
삼성전자와 같이 입주
[4]
소니는 매각 이후에도 삼성전자로부터 LCD를 조달 받기로 했고 일본 정부와 히타치, 도시바와 손을 잡고
재팬디스플레이를 설립하여 중소형 패널을 조달받고 있다.
[5]
iPhone X을 포함한 그 이후에 제품에 한하여 탑재되었다. 단 iPhone 11과 iPhone XR은 재팬디스플레이의 LCD패널을 사용하므로 제외
[6]
BOE의 패널을 쓰다 높은 불량률에 학을 떼고 삼성과 계약.
[7]
해치백(J01/F65, F66, F67),
컨트리맨(U25),
에이스맨(J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