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837년에 발표된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크고 아름다운 레퀴엠. 정식명칭은 죽은자들을 위한 대미사곡(Grande Messe des morts)이지만 레퀴엠 텍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레퀴엠이라 부른다.2. 작곡 배경
1837년, 프랑스 정부는 1830년의 7월 혁명과 1835년에 발생한 루이 필립왕 암살미수사건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모식을 계획했는데 이 추모식에 쓰일 음악을 베를리오즈에게 부탁했다. 베를리오즈는 당시 33살밖에 안 된 젊은 음악가였는데 당대 최고의 음악가들을 제치고 젊은 베를리오즈에게 이런 대규모 프로젝트를 의뢰한것. 이는 사실 베를리오즈에게 호감이 있던 당시 내무장관 아드리안 가스파랑이 손을 쓴 것이었다. 베를리오즈는 가스파랑에게 이 곡을 헌정하기도 했다.문제는 이 곡을 의뢰한 시점이 3월 말이라는 데 있었다. 추모식은 7월에 있을 예정이라 여러 여건을 고려한다면 그야말로 후다닥 써내야 될 판이었다. 베를리오즈는 이전에 썼던 '장엄미사곡'의 주제도 일부 쓰면서 열심히 매달린 끝에 6월 29일에 전곡을 완성했다. 곡의 편성과 규모를 생각하면 3달만에 쓴 게 놀라울 따름.
그러나 추모식의 규모가 대폭 축소되는 바람에 앵발리드 대성당에서 초연될 예정이던 이곡의 연주가 취소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열심히 곡을 쓰고 초대형 편성의 오케스트라 등을 구성하느라고 빚까지 낸 베를리오즈 입장에선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었다.
이 때문에 베를리오즈는 위기를 맞았으나 새로운 기회가 찾아왔으니 그해 알제리에서 다무레몽이라는 장군이 전사하면서 알제리에서 전사한 다무레몽 장군과 전몰 장병들을 위한 추도식이 계획중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베를리오즈는 이 추도식에서 이 곡을 초연하게 하려고 애썼다.
결국 이것이 성사되어서 그해 12월 5일, 앵발리드 대성당에서 육군 주도의 전몰장병 추도식에서 이곡의 초연이 이루어졌다. 이후 1852년과 1867년에 개정판이 출판되기도 했다.
3. 악기 편성
이 곡의 악기편성은 실로 크고 아름답다. 처음부터 초대형 행사에 연주될 곡이라서 그렇기도 했지만 베를리오즈 자신이 크고 아름다운 편성을 좋아한 탓도 크다. 곡의 편성은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나다.- 오케스트라: 변형 4관 편성으로 플루트 4,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2, 클라리넷 2, 바순 8, 호른 12, 코넷 4, 튜바 4, 팀파니 16 [1], 큰북 2, 탐탐 4, 심벌즈 10,현악 5부(최소한도로 제1 바이올린 25, 제2바이올린 25, 비올라 20, 첼로 20, 콘트라베이스 18)
- 반다 1[2]: 코넷 4, 트롬본 4, 튜바 2
- 반다 2: 트럼펫 4, 트롬본 4
- 반다 3: 트럼펫 4, 트롬본 4
- 반다 4: 트럼펫 4, 트롬본 4, 오피클레이드 5 [3]
- 성악: 테너 독창, 혼성 6부 합창( 소프라노 와 알토 80, 제1,2 테너 60, 제1,2 베이스 60)
나중에 나온 구스타프 말러의 8번 교향곡 '천인교향곡'과 비교해도 엄청난 규모의 편성이다. 그리고 어디까지나 저것은 최소한의 편성이며 합창을 700-800명까지 늘릴수도 있다. 이런 크고 아름다운 악기 편성 때문에 연주가 많이 되는 편은 아니며 실제로 연주할 때는 규모를 줄이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