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두베'''{{{#!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두산 베어스의 약칭}}}에 대한 내용은 [[두산 베어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두산 베어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두산 베어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두산 베어스의 약칭: }}}[[두산 베어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두산 베어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두산 베어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두베 Dubhe | 베타성 메라크 Merak | 감마성 페크다 Phecda | 델타성 메그레즈 Megrez | |
엡실론성 알리오스 Alioth | 제타성 미자르 Mizar | 에타성 알카이드 Alkaid | 세타성 탈리사 Talitha | |
이오타성 알카프라 Alkaphrah | 카파성 큰곰자리 카파 κ UMa | 람다성 타니아 보레알리스 Tania Borealis | 뮤성 타니아 오스트랄리스 Tania Australis | |
누성 알룰라 보레알리스 Alula Borealis | 크시성 큰곰자리 크시 ξ UMa | 오미크론성 큰곰자리 오미크론 ο UMa | 파이성 큰곰자리 파이1·2 π UMa | |
로성 큰곰자리 로 ρ UMa | 시그마성 알룰라 오스트랄리스 Alula Australis | 타우성 큰곰자리 타우 τ UMa | 웁실론성 큰곰자리 웁실론 υ UMa | |
피성 큰곰자리 피 φ UMa | 카이성 큰곰자리 카이 χ UMa | 프시성 큰곰자리 프시 ψ UMa | 오메가성 큰곰자리 오메가 ω UMa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큰곰자리 1 | 큰곰자리 2 | 큰곰자리 3 | 큰곰자리 4 | |
큰곰자리 5 | 큰곰자리 6 | 큰곰자리 7 | 큰곰자리 8 | |
그 외 큰곰자리에 속한 항성 | ||||
알코르 | 랄랑드 21185 | M40 | -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큰곰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큰곰자리의 항성 바이어 명명법 | ||||
시작 | α UMa 큰곰자리의 다중성 | → | β UMa 큰곰자리의 A형 주계열성 |
α UMa 두베 Dubhe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5h 40m 45.52666s |
적위 | -01° 56′ 34.2649″ | |
별자리 | 큰곰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A: 적색거성 B: A형 주계열성 | |
분광형 | A: K0III B: A5V | |
거리 | 123±2 광년 37.7±0.7 파섹 | |
반지름 | A: 26.85 R☉ B: ? R☉ | |
질량 | A: 3.7±0.4 M☉ B: 2.5±0.4 M☉ | |
평균 온도 | A: 4,650 K B: ? K | |
운동 | 시선속도 | -9.4 km/s |
자전 속도 | A: 2.63 km/s B: ? Km/s | |
공전 주기 | 44.45년 | |
이심률 | 0.439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1.79 | |
절대 등급 | -1.10±0.04 | |
광도 | A: 339 L☉ B: ? L☉ | |
명칭 | ||
두베, α UMa, 큰곰자리 알파, 50 UMa , NSV 5070, BD +62°1161 , FK5 417, GC 15185, HD 95689, HIP 54061, HR 4301, SAO 15384, PPM 17705, ADS 8035, CCDM J11037+6145AB , WDS J11037+6145AB |
1. 개요
두베/Dubhe두베 또는 큰곰자리 알파는 큰곰자리의 알파성으로 지구에서 대략 123 광년 떨어져 있는 삼중성계이다. 북두칠성의 그릇 쪽 끝부분에 위치한다.
2. 상세
두베(Dubhe)라는 명칭은 아랍어로 큰곰의 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zahr ad-dubb al-akbar(ظهر الدب الاكبر)의 dubb에서 따왔으며, 2016년 7월 IAU의 WGSN에서 두베라는 명칭이 공식적인 큰곰자리 알파별의 이름으로 확정되었다.이외에도 고대 이집트에선 눈이라는 뜻을 가진 Ak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으며, 인도에선 크라투(Kratu), 중국에선 북두의 첫번째 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北斗一(Běi Duhu yī)라는 명칭을 사용했었다. 동양권에서는 탐랑성(貪狼星)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개요 문단에서 상술했듯이 3개의 별로 구성된 삼중성계이며, 항성계는 K0III의 분광형을 가지고 있는 K형 적색거성인 A와 A5V의 분광형을 가지고 있는 A형 주계열성인 B, F7V의 분광형을 가지고 있는 F형 주계열성인 C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1개의 항성이 추가적으로 항성계의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고 한다.
이중, 두베 A는 밝기가 평균밝기에서 총밝기의 1/1000만큼 밝기가 변화하는 변광성으로, 6시간에서 최대 6.4일에 달하는 주기로 밝기가 변화하는 것이 관측되었다고 한다.
두베 A와 B는 0.49의 이심률로 44.45년에 1번씩 서로를 공전하고 있으며, 이 A-B 쌍과 C 사이의 공전주기와 장반경은 아직 연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베타별 메라크와 함께 북극성 방향을 가리키는 표지로 자주 사용된다. 메라크에서 두베로 향하는 선을 5배 연장하면 북극성에 이른다.
북두칠성에 속한 별들이 대부분 큰곰자리 운동성단이라고 명명된 성협의 구성원이지만, 큰곰자리 운동성단에 속한 수십개의 별들과는 다른 고유운동 방향과 속도를 가지고 있어, 우연히 한 시야에 보이도록 나열되어진 것일 뿐, 실제론 아무런 관련도 없는 별개의 천체이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