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3:34:26

덕주사

1. 개요2. 연혁3. 전설
3.1. 마의태자와 덕주공주의 전설3.2. 우공탑의 전설
4. 문화재

1. 개요

한자 : 德周寺 / 로마자 : Deokjusa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월악산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의 말사이다.

2. 연혁

파일:external/tong.visitkorea.or.kr/176540_image2_1.jpg
창건 연대는 신라 진평왕 9년인 557년에 월형산 월악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고는 하지만 막상 덕주사에서도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을 들어 '속설에 이르길 덕주부인이 창건하였다'라는 기록을 따라 후삼국시대~ 고려 초기인 10세기 중반에 창건했다고 보는 듯.

파일:external/tong.visitkorea.or.kr/176546_image2_1.jpg
현재 남아 있는 절은 원래 하덕주사로 불리던 절로 대동지지 등의 서적엔 지금의 마애불이 있는 절터를 상덕주사라 하고, 이곳으로 올라가는 초입에 있는 지금의 덕주사를 예전에는 하덕주사라고 하였다. 하지만 불행히도 한국 전쟁 당시 상ㆍ하덕주사는 군인들에 의해 소각되었고 지금은 하덕주사만이 1963년에 재건되어 덕주사로 남아 오늘날에 이른다. 이후 중창과 중건을 몇 번 하였는데, 1985년 중창 때에는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는 한수면 역리에 있던 고려시대 석조약사여래입상을 덕주사로 옮겨 봉안했다.[1] 이후 1998년에 새로 대웅보전을 지었고, 2007년부터 주지스님이 불사를 크게 일으켜 예전 전각 등을 복원하여 현재에 이른다. #, #

3. 전설

3.1. 마의태자와 덕주공주의 전설

이 마애불과 덕주사엔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막내아들 덕지(德摯) 왕자(또는 덕주공주)가 형인 마의태자와 함께 금강산으로 가던 도중 마애불이 있는 이곳에 머물러 절을 세우고, 금강산으로 떠난 형 마의태자를 그리며 여생을 보냈다는 전설이 전한다.[2]

전해 내려오는 바에 따르면 마의태자가 망국의 한을 품고 금강산으로 병력을 양성하러 떠날 때 잠시 월악산에 머물렀다. 그때 꿈에 관세음보살이 나타나 "마애불을 만들면 억조창생을 구제할 수 있다.' 하고 말하였다. 태자는 예사롭지 않은 꿈이라 생각하고 동생과 함께 계곡 물에 목욕재계하고 서쪽으로 이동하여 월악산 최고봉 아래에 8년간 마애불을 조각하며 세월을 보냈는데, 그 자리가 바로 덕주사 터였다고 한다. 이후 왕자는 계속 덕주사에 머물길 원하여 그곳에서 출가하여 여생을 보냈지만 마의태자는 끝내 금강산으로 갔다고 한다.

마의태자가 미륵불을 만들고 금강산에 들어가고, 덕지왕자는 마애불을 조성했다고도 하고, 고려가 마의태자를 미륵사에, 왕자를 덕주사에 감금하여 형제가 서로를 그리면서 불상을 새겼다는 전설도 있다. 왕자가 마애불이 되었고, 태자가 미륵사지 입상이 되었다고도 한다. 마애불이 덕지오아자의 얼굴, 미륵불이 마의태자의 얼굴을 따서 새겨진 것이라는 전설도 있다.

3.2. 우공탑의 전설

덕주사에는 우공탑(牛公塔)이라 하는 탑이 하나 있는데 여기에도 전설이 있다. 어느 날 덕주사 건물을 새로 지으려 하니 어디선가 건장한 황소 한 마리 나타나 건물을 지을 자재를 싣고 왔다. 그래서 승려들은 황소가 싣고 온 자재들로 새 건물을 짓는데, 자재가 부족할 때마다 황소가 다시 나타나서 부족한 자재를 싣고 와서 공사를 도왔다. 그렇게 황소의 도움으로 덕주사 건물을 완공했는데 황소는 어디론가 사라져버렸다. 이에 승려들은 덕주사 건물 완공에 큰 공을 세운 황소를 기려 탑을 세우니 바로 우공탑이라 한다. 이야기에 따라서는 덕주사 건물이 완공되자마자 황소가 쓰러져 죽었으므로, 황소가 죽은 자리에 우공탑을 세웠다고 한다. 우공(牛公)이 소를 높여 부른 말이다.

우공탑이 정확히 언제쯤 세워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

4. 문화재

파일:attachment/maebul.jpg
덕주사에서 1.6Km 떨어진 산속에 15 m쯤 되는 커다란 바위에 암각된 보물 406호 덕주사 마애여래입상이 있다. 대부분 돌계단으로 이루어진 코스라 등산에 익숙지 않은 사람은 꽤나 힘든 길이다. 얼굴은 길고 풍만하며, 눈은 기다랗고 코는 큼직하며 턱은 늘어졌는데, 산 아래 미륵사지 석불입상과 마주본다. 마애여래입상 옆에는 극락보전과 산신각 및 약수터가 있다.

절 입구에 남근석 3개가 있다. 월악산의 형상이 여자와 비슷하고 예로부터 여산신령이 다스리는 땅이라 음기가 강해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세웠다고 한다. 아낙네들이 아들을 낳기 위해 치성을 드리기도 했다고 하므로, 남아선호 신앙이 깃든 곳이었음을 알 수 있다.

덕주사 경내에는 위에서 이야기한 우공탑 외에도 서쪽 언덕 산 밑에 조선시대 부도 4기와 장대석이 있다. 전설로는 이 절의 승려들이 건물이 협소하여 부속건물을 지으려고 걱정할 때 어디선가 소가 나타나서 재목을 실어 날랐고 소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니 현재의 마애불 밑에 서므로 그곳에다 부속건물을 지었고, 소는 재목을 모두 실어다 놓은 다음 그 자리에서 죽었으므로 죽은 자리에 우탑을 세웠다고 한다. 부도에는 환적당(幻寂堂)ㆍ부유당(浮遊堂)ㆍ용곡당(龍谷堂)ㆍ홍파당(洪波堂)이라고 명문이 음각되었다.

이밖에도 덕주사 전방 약 2㎞ 지점에 있는 빈신사 터에는 보물 제94호로 지정된 사자빈신사지석탑(獅子頻迅寺址石塔)이 있다.

약사전의 약사여래입상은 고려시대 조성된 것으로 장인의 것이 아닌 신심이 돈독한 불자가 원력으로 소박하게 만든것이다. 아픈사람이 기도하고 자기 아픈 부위와 같은 부처의 몸을 긁어다 그 가루를 먹고 나았다는 전설이 있으며 긁은 자국이 남아 있다.

이외에 대불정릉엄신주비라는 비석이 있는데 비문의 첫줄은 대불정주라 음각된 한자로 시작하고 105자로 추정되는 범문(梵文)이 기록 되었다. 고려후기 성행하던 수능엄경(首楞嚴經)에 있는 능엄주(楞嚴呪)를 새긴 것으로 범문으로 된 비문이 현존하는것으로 유일하며 국보급이다. 고려후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덕주사 바로 옆에는 충청북도 기념물 제35호 덕주산성이 있는데 덕주공주가 피난하여 후일을 기약하며 쌓은 처음 쌓은 성이라고 전해오며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계속 증축된 흔적이 있어 한국의 전통 성곽 연구에 도움이 된다. 성은 석축과 토축의 혼합 형식으로, 조선시대에 쌓은 남문, 동문, 북문 등이 남아 있다. 덕주산성은 문경과 충주를 잇는 도로를 차단하는 전략적 요새지로서 월악산 산마루와 그 지맥을 둘러싸고 내성과 외성을 갖춘 나성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일반적인 성곽과는 달리 계곡을 성으로 쌓고 그밖에는 험준한 산 능선과 암벽을 이용하여 축조하였는데, 성벽은 2 m 높이로 쌓았다. 계곡 주변 계곡의 풍경이 아름답다.

전해오는 얘기론 몽골의 침입 당시인 1256년 4월에 몽고군 충주를 침략하여 충주성을 제압하고 충주산성을 공격하여 관리와 주민들은 두려워서 감히 항거하지 못하고 덕주산성으로 피난하였는데 몽고군이 추격하며 공격을 가하자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끼고 비바람과 번개, 벼락이 함께 들이쳤다는 전설이 있다. 또한 조선 말 명성황후 흥선대원군과의 권력 암투에서 패배할 것을 상정하고 은신처를 마련하려고 이곳에 성문을 축조하였다는 이야기도 전해온다.

[1] 이때 희종 2년(1206)에 조성된 고려시대의 금구가 출토되었다고 한다. [2] 속설에 위에서 말한 덕주부인이 마의태자의 누이인 덕주공주라 하기도 한다. 그러나 덕주공주는 전설에만 나오는 인물로, 경순왕의 후손과 관련된 기록에선 나오지 않는다. 그 때문에 진짜 경순왕의 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야사에서는 마의태자가 누이 덕주공주와 혼인 결합하여 완안함보 낳았다고도 한다.